토카막 네트워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토카막 네트워크 로고.png|썸네일|200픽셀|'''토카막 네트워크'''(Tokamak Network)]]
+
[[파일:토카막 네트워크 로고.png|썸네일|200픽셀|'''토카막 네트워크'''(Tokamak Network) 로고]]
[[파일:토카막 네트워크 글자.png|썸네일|300픽셀|'''토카막 네트워크'''(Tokamak Network)]]
+
[[파일:토카막 네트워크 글자.png|썸네일|300픽셀|'''토카막 네트워크'''(Tokamak Network) 로고와 글자]]
  
[[파일:㈜온더 글자.png|썸네일|300픽셀|'''[[㈜온더]]'''(Onther)]]
+
[[파일:㈜온더 글자.png|썸네일|200픽셀|'''[[㈜온더]]'''(Onther)]]
 
[[파일:정순형.jpg|썸네일|200픽셀|'''[[정순형]]''' [[㈜온더]] 대표이사]]
 
[[파일:정순형.jpg|썸네일|200픽셀|'''[[정순형]]''' [[㈜온더]] 대표이사]]
[[파일:김휘경.jpg|썸네일|200픽셀|'''[[김휘경]]''' [[㈜온더]] 최고운영책임자(COO)]]
 
  
 
'''토카막 네트워크'''(Tokamak Network)는 [[㈜온더]](Onther)가 만든 [[이더리움]] 플라즈마 개발 프로젝트이다. 토카막 네트워크는 [[플라즈마EVM]](Plasma EVM) 기술을 기반으로 이더리움 메인체인과 연결되어 있으며, [[탈중앙화]]되고 [[튜링완전]]한 [[플라즈마]] 블록체인이다. 토카막 네트워크는 2019년 3월 28일에 열린 [[온더콘2]]에서 온더가 6개월 동안 연구해온 이더리움 확장성 솔루션인 토카막 네트워크를 공개하게 되었다.  
 
'''토카막 네트워크'''(Tokamak Network)는 [[㈜온더]](Onther)가 만든 [[이더리움]] 플라즈마 개발 프로젝트이다. 토카막 네트워크는 [[플라즈마EVM]](Plasma EVM) 기술을 기반으로 이더리움 메인체인과 연결되어 있으며, [[탈중앙화]]되고 [[튜링완전]]한 [[플라즈마]] 블록체인이다. 토카막 네트워크는 2019년 3월 28일에 열린 [[온더콘2]]에서 온더가 6개월 동안 연구해온 이더리움 확장성 솔루션인 토카막 네트워크를 공개하게 되었다.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배너|토카막 네트워크가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에 참가했습니다.}}
+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배너|토카막 네트워크가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에 참가합니다.}}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배너|토카막 네트워크(Tokamak Network)가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에 참여했습니다.}}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배너|토카막 네트워크(Tokamak Network)가 2019년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에 참여했습니다.}}
  
 
== 개요 ==
 
== 개요 ==
토카막 네트워크(Tokamak Network)는 [[이더리움]]과 동일한 스펙의 사이드체인으로 퍼블릭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으로 이더리움 메인체인의 애플리케이션들을 그대로 옮길 수 있고, 기존 이더리움 개발자 커뮤니티를 그대로 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다. 그리고 토카막 네트워크는 이더리움과 동일한 수준의 탈중앙성과 안전성을 보장하며, 높은 수준의 확장성을 제공하는 플라즈마 체인 구축 플랫폼이다.
+
토카막 네트워크(Tokamak Network)는 [[이더리움]]과 동일한 스펙의 사이드체인으로 퍼블릭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으로 이더리움 메인체인의 애플리케이션들을 그대로 옮길 수 있고, 기존 이더리움 개발자 커뮤니티를 그대로 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다. 그리고 토카막 네트워크는 이더리움과 동일한 수준의 탈중앙성과 안전성을 보장하며, 높은 수준의 확장성을 제공하는 플라즈마 체인 구축 플랫폼이다.
 +
 
 +
zk-DEX를 목표로 하며 기존의 OTC마켓을 블록체인화한 것이다. 악의적인 자금세탁이용경로가 될 가능성이 있지만 프라이버시를 지키는 암호화폐 거래를 목적으로 한다.
  
 
== 주요인물 ==
 
== 주요인물 ==
18번째 줄: 19번째 줄:
  
 
* '''[[김휘경]]''' : ㈜온더의 COO이며 [[숭실대학교]]에서 소프트웨어공학을 전공했다.
 
* '''[[김휘경]]''' : ㈜온더의 COO이며 [[숭실대학교]]에서 소프트웨어공학을 전공했다.
 +
* '''[[박주형]]''' : ㈜온더의 CTO이며 [[연세대학교]]에서 컴퓨터과학을 전공했다. 2018년 서울 홍릉 카이스트 대강당에서 개최된 서울이더리움밋업에서 Plasma EVM: state-enforceable construction 를 주제로 발표하였다.
  
 
== 특징 ==
 
== 특징 ==
49번째 줄: 51번째 줄:
 
* '''스팀(Steem)''' : 대부분 블록체인에서 DoS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트랜잭션마다 수수료를 지불하는 반면, 스팀(Steem)은 계정에 대역폭(Bandwidth)을 두어 무분별한 트랜잭션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 '''스팀(Steem)''' : 대부분 블록체인에서 DoS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트랜잭션마다 수수료를 지불하는 반면, 스팀(Steem)은 계정에 대역폭(Bandwidth)을 두어 무분별한 트랜잭션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 '''이오스(EOS)''' : 이오스의 경우, 블록체인의 엔드 유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21명의 BP로부터 Bandwidth, [[CPU]], [[RAM]]이라는 3가지의 컴퓨팅 리소스를 할당받아 블록체인을 사용할 수 있다. 이오스 블록체인에서 트랜잭션을 만들 때 필요한 리소스는 Bandwidth와 [[CPU]]로서, 이오스(EOS)의 보유량에 따라 트랜잭션을 보내는 계정에 의해 부담되고, 계정간 리소스 [[임대]]도 가능하다. [[RAM]]은 시장에서 거래가 가능한 자산이고 블록체인에 기록할 데이터를 저장하는 Storage로서 기능한다.<ref name="토카막 네트워크 백서">"[https://onther-tech.github.io/tokamak.network/assets/TokamakWhitepaper(Kor)_March,2020(v2).pdf Tokamak Network White Paper - 토카막 네트워크]", ''Onther Inc.''</ref>
+
* '''이오스(EOS)''' : 이오스의 경우, 블록체인의 엔드 유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21명의 BP로부터 Bandwidth, [[CPU]], [[RAM]]이라는 3가지의 컴퓨팅 리소스를 할당받아 블록체인을 사용할 수 있다. 이오스 블록체인에서 트랜잭션을 만들 때 필요한 리소스는 Bandwidth와 [[CPU]]로서, 이오스(EOS)의 보유량에 따라 트랜잭션을 보내는 계정에 의해 부담되고, 계정간 리소스 [[임대]]도 가능하다. [[RAM]]은 시장에서 거래가 가능한 자산이고 블록체인에 기록할 데이터를 저장하는 Storage로서 기능한다.<ref name="토카막 네트워크 백서">"[https://tokamak.network/paper/white-paper-kr.html Tokamak Network White Paper - 토카막 네트워크]", ''Onther Inc.''</ref>
  
 
== TON(TOKAMAK NETWORK TOKEN) ==
 
== TON(TOKAMAK NETWORK TOKEN) ==
55번째 줄: 57번째 줄:
  
 
== 로드맵 ==
 
== 로드맵 ==
* 2019년 1분기 : 플라즈마 EVM PoC
+
* 2018년 8월 : Plasma EVM, 거래 수수료 위임
* 2019년 2분기 : 화이트페이퍼 공개, Devdoc 공개, 퍼블릭 테스트넷 Faraday 공개
+
* 2018년 10월 : Plasma EVM PoC
* 2019년 3분기 : 트루빗 기반의 검증게임 공개
+
* 2019년 1분기 : 요청가능 Contract, 송금 수수료 위임 구현
* 2019년 4분기 : 토큰 이코노믹스 공개
+
* 2019년 2월 : 연속 리베이스, 성능 검사, 데모 (Dex), 데모 (MakerDAO), ERC20 (토큰)
* 2020년 1분기 : Staking Game, Economic Paper 공개
+
* 2019년 6월 : 백지 개발 문서, Public Testnet #1, 패러데이
* 2020년 2분기 : MTON Staking 공개, 퍼블릭 테스트넷 #2 Hertz 기반 Computation
+
* 2019년 3분기 : Truebit- like Verification 게임, Public Testnet #2, Hertz
* 2020년 3분기 : TON Staking V1 공개, 플라즈마 EVM의 챌린지 기능 공개
+
* 2019년 4분기 : 토카막 DAO, 토큰 노믹스 적용, Public Testnet #3, Pascal
* 2020년 4분기 : 퍼블릭 테스트넷 #3 파스칼 공개, TON Staking V2 공개, Tokamak DAO 공개 </ref>
+
* 2020년 1분기 : 대체 실행 모델, ZKP Dex PoC, Mother Plasma, Gauss
 +
* 2020년 2분기 : Grand Children Tokamak Plasma, ZKP Dex Stabilize, Child Plasma, Gauss-Tesla Tree
 +
* 2020년 3분기 : ZKP Dex Open
 +
* 2021년 1분기 : Serenity Applied Tokamak PoC
 +
* 2021년 3분기 : Serenity Tokamak<ref name> 토카막 네트워크 https://tokamak.network/kr/ </ref>
  
 
== 이슈 ==
 
== 이슈 ==
82번째 줄: 88번째 줄:
  
 
* 토카막 프로토콜의 "올바른 상태 변화 검증"은 다양한 영역과 산업에 최적화된 플랫폼을 만드는 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기존의 중앙화된 방식으로 블록체인 간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이나 체인 간 데이터를 중개하는 별도의 블록체인 레이어를 만들어 낼 필요 없이 매우 단순하면서도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일관된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가능하다. 토카막 플라즈마는 토큰 전송이라는 특정한 목적으로만 활용했던 전통 플라즈마의 응용 영역을 확장해 원래의 이더리움이 목표했던 금융과 비금융분야의 수많은 종류의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주된 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ref name="토카막 네트워크 백서"></ref>  
 
* 토카막 프로토콜의 "올바른 상태 변화 검증"은 다양한 영역과 산업에 최적화된 플랫폼을 만드는 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기존의 중앙화된 방식으로 블록체인 간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이나 체인 간 데이터를 중개하는 별도의 블록체인 레이어를 만들어 낼 필요 없이 매우 단순하면서도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일관된 상태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가능하다. 토카막 플라즈마는 토큰 전송이라는 특정한 목적으로만 활용했던 전통 플라즈마의 응용 영역을 확장해 원래의 이더리움이 목표했던 금융과 비금융분야의 수많은 종류의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주된 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ref name="토카막 네트워크 백서"></ref>  
 
==동영상==
 
<youtube>V1DOymitGZU</youtube>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토카막 네트워크 공식 홈페이지 - https://tokamak.network/
+
* 토카막 네트워크 공식 홈페이지 - https://tokamak.network/kr/
* 토카막 네트워크 공식 문서 사이트 - https://docs.tokamak.network/
+
* 토카막 네트워크 공식 문서 사이트 - https://plasma-evm.readthedocs.io/en/latest/index.html
* "[https://onther-tech.github.io/tokamak.network/assets/TokamakWhitepaper(Kor)_March,2020(v2).pdf Tokamak Network White Paper - 토카막 네트워크]", ''Onther Inc.''
+
* "[https://tokamak.network/paper/white-paper-kr.html Tokamak Network White Paper - 토카막 네트워크]", ''Onther Inc.''
* 장정우 기자, 〈[https://www.be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28381 (해시넷 콘퍼런스) K-POP부터 집단지성까지,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문제점 해결]〉, 《비아이뉴스》, 2019-10-15
 
  
== 같이 보기 ==
+
== 같이보기 ==
 
* [[㈜온더]]
 
* [[㈜온더]]
 
* [[정순형]]
 
* [[정순형]]
* [[김휘경]]
 
* [[박주형]]
 
* [[박정원]]
 
 
* [[플라즈마 EVM]]
 
* [[플라즈마 EVM]]
* [[2019년 해시넷 블록체인 콘퍼런스]]
+
* [[TON]]
  
 
{{블록체인 기술|검토 필요}}
 
{{블록체인 기술|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