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체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팝체인 로고.png|썸네일|200픽셀|'''팝체인'''(Popchain)]]
+
[[파일:팝체인 로고.jpg|썸네일|200픽셀|'''팝체인'''(Popchain) 로고]]
[[파일:팝체인 글자.png|썸네일|300픽셀|'''팝체인'''(Popchain)]]
 
  
'''팝체인'''<!--팝 체인-->(Popchain)은 콘텐츠 거래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팝체인의 화폐 단위는 PCH이다. 팝체인은 기존의 유통사 중심의 콘텐츠 산업 구조를 타파하고,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하며 중간 유통 매개자 없이 창작하는 사람과 소비자간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개발된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다.<ref>〈[https://popchain.org/whitepaper/POPCHAIN_WHITEPAPER_KR.pdf 팝체인 백서]〉, 《POPCHAIN》</ref> 창작자는 팝체인 플랫폼 안에서 글, 그림, 영상,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를 선보일 수 있고, 플랫폼의 오픈 소스를 활용하여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축할 수 있다. 저작권자는 본인 소유의 콘텐츠가 보급될 때 자체적으로 저작권가격(Copyright Price)을 책정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그 해당 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함으로써 별도의 해택을 받을 수 있다. 기존 콘텐츠 산업은 B2C 기반으로 유통과정에서 막대한 이윤 창출로 인해 실제 창작자는 그만큼의 혜택을 받지 못한 반면 팝체인은 창작자가 자신의 콘텐츠를 C2C기반으로 제공해 B2C기반보다 더 많은 이윤창출과 더불어 저작권 보호가 가능하다. <ref> 김경태 기자〈[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html?no=416558 팝체인, 디지털 콘텐츠 유통 플랫폼 '팝체인' 선 봬]〉, 《프라임경제》, 2018-05-14 17:41:59 </ref>
+
'''팝체인'''(Popchain)은 콘텐츠 거래를 위한 [[암호화폐]]이다. 한국의 더이앤엠(The E&M) 회사가 개발했다. 팝체인의 화폐 단위는 PCH이다. 팝체인은 기존의 유통사 중심의 콘텐츠 산업 구조를 타파하고,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하며 중간 유통 매개자 없이 창작하는 사람과 소비자간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개발된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다.<ref>〈[https://popchain.org/whitepaper/POPCHAIN_WHITEPAPER_KR.pdf 팝체인 백서]〉, 《POPCHAIN》</ref> 창작자는 팝체인 플랫폼 안에서 글, 그림, 영상,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를 선보일 수 있고, 플랫폼의 오픈 소스를 활용하여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축할 수 있다. 저작권자는 본인 소유의 콘텐츠가 보급될 때 자체적으로 저작권가격(Copyright Price)을 책정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그 해당 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함으로써 별도의 해택을 받을 수 있다. 기존 콘텐츠 산업은 B2C 기반으로 유통과정에서 막대한 이윤 창출로 인해 실제 창작자는 그만큼의 혜택을 받지 못한 반면 팝체인은 창작자가 자신의 콘텐츠를 C2C기반으로 제공해 B2C기반보다 더 많은 이윤창출과 더불어 저작권 보호가 가능하다. <ref> 김경태 기자〈[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html?no=416558 팝체인, 디지털 콘텐츠 유통 플랫폼 '팝체인' 선 봬]〉, 《프라임경제》, 2018-05-14 17:41:59 </ref>
 
 
==주요 인물==
 
 
 
팝체인은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포괄적인 개발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10명의 박사들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암호 작성법, 인터넷 정보안전, 빅데이터, 클라우딩 등 여러배경을 가지고있는 50여명의 알고리즘 엔지니어 및 프로그래머로 구성되어있다. Zheng Yang은 팝체인의 설립자이자 개발팀 총괄로써 알고리즘 디자인과 비전, 머신러닝을 담당하고 Liang Liang은 개발팀에서 제품과 경제 모델 디자인을 담당하였다. Jin Lim은 플랫폼 및 브랜드 전략기법을 연구하고, Hansin Kim은 아시아 비즈니스를 전담으로 해외 비즈니스 시장에서 파트너쉽 계약을 맡고 있다. Stephen Wang은 기술총괄, Neil Han은 제품총괄, Tim Leon은 아키텍처 디자인, Vladimir Zhitov는 파이낸셜 컨설턴트로 팝체인에서 역할을 맡고 있다.
 
연구 개발팀 이외에 4명의 고문을 두고 있다. Kononov Vasilii, Sebastian Bitzen 은 기술고문으로, Thomas d alonzo는 법률고문으로, 딘 쑤(Dinh Xu)는 지역 운영 및 관리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ref> 소셜세이브〈[http://socialsave.net/221276543855 빗썸프로 상장 팝체인(popchain), PCH코인 분석과 전망]〉, 《네이버 블로그》, 2018-05-15 19:59:00 </ref>
 
  
 
==특징==
 
==특징==
[[파일:팝체인 01.jpg|썸네일|400픽셀|'''팝체인'''(Popchain) 로고]]
 
 
팝체인은 다른 콘텐츠 유통 시스템과는 다른 차별화된 특징을 가진다.  
 
팝체인은 다른 콘텐츠 유통 시스템과는 다른 차별화된 특징을 가진다.  
  
24번째 줄: 17번째 줄: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HTTP [[프로토콜]]은 불안정성(Low Resiliency), 과도한 중앙화(Hyper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HTTP [[프로토콜]]은 불안정성(Low Resiliency), 과도한 중앙화(Hyper
Centralization), 느린 속도(Latency Problem) 등이 문제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팝체인은 플랫폼에 [[IPFS]](The Inter Planetary File System)을 도입함으로써 네트워크 속도와 데이터의 안정성을 개선하였다. 플랫폼 참여자들은 팝체인을 통하여 동영상 등 대용량 파일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일부 노드와의 연결이 끊어지더라도 팝체인은 탈중앙화된 시스템을 통해 생태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
Centralization), 느린 속도(Latency Problem) 등이 문제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팝체인은 플랫폼에 IPFS(The Inter Planetary File System)을 도입함으로써 네트워크 속도와 데이터의 안정성을 개선하였다. 플랫폼 참여자들은 팝체인을 통하여 동영상 등 대용량 파일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일부 노드와의 연결이 끊어지더라도 팝체인은 탈중앙화된 시스템을 통해 생태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확장성===  
 
===확장성===  
  
팝체인 참여자는 플랫폼이 지원하는 [[사이드체인]](Side Chain) 기술을 활용하여 생태계 내에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기 아이돌 또는 연예인의 경우 스스로 자신의 토큰을 발행하고 이를 판매 또는 분배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스타의 콘서트 티켓 및 상품 등을 구매하는 수단으로서 해당 토큰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오프라인 활동, 티켓 상호 교환 등을 위해 토큰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기 연예인 관련 토큰의 발행 등 기능 지원은 연예인에게 기존 팝체인 유저들을 자신의 팬으로 흡수할 기회를 부여하는 한편, 해당 연예인의 팬들이 팝체인 플랫폼에 참여하여 생태계가 확장되는 효과를 함께 기대할 수 있다.
+
팝체인 참여자는 플랫폼이 지원하는 [[사이드 체인]](Side Chain) 기술을 활용하여 생태계 내에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기 아이돌 또는 연예인의 경우 스스로 자신의 토큰을 발행하고 이를 판매 또는 분배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스타의 콘서트 티켓 및 상품 등을 구매하는 수단으로서 해당 토큰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오프라인 활동, 티켓 상호 교환 등을 위해 토큰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인기 연예인 관련 토큰의 발행 등 기능 지원은 연예인에게 기존 팝체인 유저들을 자신의 팬으로 흡수할 기회를 부여하는 한편, 해당 연예인의 팬들이 팝체인 플랫폼에 참여하여 생태계가 확장되는 효과를 함께 기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팝체인의 플랫폼 및 생태계는 일반 디지털 콘텐츠 및 라이브 방송 이외에 엔터테인먼트 영역 전반으로 확장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팝체인의 플랫폼 및 생태계는 일반 디지털 콘텐츠 및 라이브 방송 이외에 엔터테인먼트 영역 전반으로 확장될 수 있다.
  
 
==작동원리 및 기술==
 
==작동원리 및 기술==
  
팝체인은 [[마스터노드]] 시스템을 사용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보안, 컴퓨팅의 속도를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서비스 증명(PoSe)을 통해 데이터 저장 서비스를 제공한다. 참여자들이 팝체인 네트워크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고 플랫폼은 마스터 노드 시스템을 통해 초당 2,000회 이상의 트랜잭션을 지원하는 동시에 리눅스, 윈도우, OS X 등의 운영체제를 포함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활용이 가능하다.
+
팝체인은 [[마스터노드]]시스템을 사용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보안, 컴퓨팅의 속도를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서비스 증명(PoSe)을 통해 데이터 저장 서비스를 제공한다. 참여자들이 팝체인 네트워크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고 플랫폼은 마스터 노드 시스템을 통해 초당 2,000회 이상의 트랜잭션을 지원하는 동시에 리눅스, 윈도우, OS X 등의 운영체제를 포함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활용이 가능하다.
  
 
===PoW와 PoSe 합의 알고리즘===
 
===PoW와 PoSe 합의 알고리즘===
42번째 줄: 35번째 줄:
  
 
사이드체인 프로토콜은 팝체인 캐시가 팝체인에서 다른 체인으로 안전하게 전송되고, 다른 체인에서 팝체 인으로 재전송 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생태계 내에 추가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자면 가수는 팝체인에서 제공하는 API를 활용하여 스마트계약이 포함된 사이드체인을 통해 직접 자신 만의 토큰을 만들어 배포할 수 있고, 팬들, 즉 구매자는 이 토큰을 사서 음반 및 콘서트 티켓, 굿즈와 같은 상품을 상호교환 할 수 있다.
 
사이드체인 프로토콜은 팝체인 캐시가 팝체인에서 다른 체인으로 안전하게 전송되고, 다른 체인에서 팝체 인으로 재전송 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생태계 내에 추가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자면 가수는 팝체인에서 제공하는 API를 활용하여 스마트계약이 포함된 사이드체인을 통해 직접 자신 만의 토큰을 만들어 배포할 수 있고, 팬들, 즉 구매자는 이 토큰을 사서 음반 및 콘서트 티켓, 굿즈와 같은 상품을 상호교환 할 수 있다.
<ref> 명섭이〈[http://blog.bsmind.co.kr/2072 팝체인(popchain), 블록체인 적용한 합리적인 콘텐츠 유통 플랫폼 발표]〉, 《울랄라 뽕 IT》, 2018-05-05 23:56:00 </ref>
+
<ref> 명섭이〈[http://blog.bsmind.co.kr/2072 팝체인(popchain), 블록체인 적용한 합리적인 콘텐츠 유통 플랫폼 발표]〉, 《울랄라 뽕 IT》, 2018-05-05 23:56:00 </ref>
 +
 
 +
==팀==
 +
 
 +
팝체인은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포괄적인 개발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10명의 박사들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암호 작성법, 인터넷 정보안전, 빅데이터, 클라우딩 등 여러배경을 가지고있는 50여명의 알고리즘 엔지니어 및 프로그래머로 구성되어있다. Zheng Yang은 팝체인의 설립자이자 개발팀 총괄로써 알고리즘 디자인과 비전, 머신러닝을 담당하고 Liang Liang은 개발팀에서 제품과 경제 모델 디자인을 담당하며 Will Sangwon Son은 팝체인 콘텐츠 관련 각종 신사업을 추진하며 E&M의 이사로 재직중이다. Jin Lim은 플랫폼 및 브랜드 전략기법을 연구하고, Hansin Kim은 아시아 비즈니스를 전담으로 해외 비즈니스 시장에서 파트너쉽 계약을 맡고 있다. Stephen Wang은 기술총괄, Neil Han은 제품총괄, Tim Leon은 아키텍처 디자인, Vladimir Zhitov는 파이낸셜 컨설턴트로 팝체인에서 역할을 맡고 있다.
 +
연구 개발팀 이외에 4명의 고문을 두고 있다. Kononov Vasilii, Sebastian Bitzen 은 기술고문으로, Thomas d alonzo는 법률고문으로, 딘 쑤(Dinh Xu)는 지역 운영 및 관리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ref> 소셜세이브〈[http://socialsave.net/221276543855 빗썸프로 상장 팝체인(popchain), PCH코인 분석과 전망]〉, 《네이버 블로그》, 2018-05-15 19:59:00 </ref>
  
 
==논란==
 
==논란==
팝체인은 코인을 발행한지 2주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심지어 ICO도 하지 않고 [[빗썸]]에 단독으로 상장될뻔 했다. 백서를 보면, 30%의 토큰만 비공개 세일 판매라고 되어 있으나 현재 총 20억개의 토큰 중 91.4%에 해당하는 토큰을 단 두 명이 소유하고 있다. 나머지 9.6%의 토큰만 21명이 소량으로 나누어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는 비정상적인 구조이며 시세조작이 충분히 가능한 상황이라고 비난을 받았으며 또한 소스코드도 유명 암호화폐 모네로의 소스코드를 그대로 붙여 넣은 흔적도 발견되었다.
+
팝체인은 코인을 발행한지 2주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심지어 ICO도 하지 않고 [[빗썸]]에 단독으로 상장되었다. 백서를 보면, 30%의 토큰만 비공개 세일 판매라고 되어 있으나 현재 총 20억개의 토큰 중 91.4%에 해당하는 토큰을 단 두 명이 소유하고 있다. 나머지 9.6%의 토큰만 21명이 소량으로 나누어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는 비정상적인 구조이며 시세조작이 충분히 가능한 상황이라고 비난을 받았으며 또한 소스코드도 유명 암호 화폐 모네로의 소스코드를 그대로 붙여 넣은 흔적도 발견되었다.
 
정리하자면 빗썸 거래소의 홈페이지에 팝체인의 개발과정과 정보도 명시되어 있지 않고 ICO도 거치지 않은 팝체인 코인을 단독으로 상장했으며 토큰 홀더 수도 18명으로 매우 적은 수치이다. 심지어 상위 홀더 2명이 지분의 90%를 차지했다.<ref> 임유경 기자〈[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516180116&type=det&re=zdk 팝체인 "2명이 토큰 91% 보유 논란은 오해"]〉, 《ZDnet Korea》, 2018-05-16 18:17:00 </ref>
 
정리하자면 빗썸 거래소의 홈페이지에 팝체인의 개발과정과 정보도 명시되어 있지 않고 ICO도 거치지 않은 팝체인 코인을 단독으로 상장했으며 토큰 홀더 수도 18명으로 매우 적은 수치이다. 심지어 상위 홀더 2명이 지분의 90%를 차지했다.<ref> 임유경 기자〈[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516180116&type=det&re=zdk 팝체인 "2명이 토큰 91% 보유 논란은 오해"]〉, 《ZDnet Korea》, 2018-05-16 18:17:00 </ref>
  
61번째 줄: 59번째 줄:
 
* 2019년: Official POPCHAIN 서비스 1.0
 
* 2019년: Official POPCHAIN 서비스 1.0
 
* 2020년: Official POPCHAIN 서비스 2.0 <ref> 소셜세이브〈[http://socialsave.net/221276543855 빗썸프로 상장 팝체인(popchain), PCH코인 분석과 전망]〉, 《네이버 블로그》, 2018-05-15 19:59:00 </ref>
 
* 2020년: Official POPCHAIN 서비스 2.0 <ref> 소셜세이브〈[http://socialsave.net/221276543855 빗썸프로 상장 팝체인(popchain), PCH코인 분석과 전망]〉, 《네이버 블로그》, 2018-05-15 19:59:00 </ref>
 +
  
 
{{각주}}
 
{{각주}}
  
 
==참고자료==
 
==참고자료==
* 소셜세이브〈[http://socialsave.net/221276543855 빗썸프로 상장 팝체인(popchain), PCH코인 분석과 전망]〉, 《네이버 블로그》, 2018-05-15 19:59:00
+
*소셜세이브〈[http://socialsave.net/221276543855 빗썸프로 상장 팝체인(popchain), PCH코인 분석과 전망]〉, 《네이버 블로그》, 2018-05-15 19:59:00
* 김동욱 기자〈[http://www.etnews.com/20180518000277 (단독 인터뷰)허백영 빗썸 대표 "팝체인 논란, 이유 불문 고객에게 사죄"...직원 유착 의혹은 사실무근]〉, 《전자신문 Etnews》, 2018-05-18
+
*김동욱 기자〈[http://www.etnews.com/20180518000277 (단독 인터뷰)허백영 빗썸 대표 "팝체인 논란, 이유 불문 고객에게 사죄"...직원 유착 의혹은 사실무근]〉, 《전자신문 Etnews》, 2018-05-18
* 임유경 기자〈[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516180116&type=det&re=zdk 팝체인 "2명이 토큰 91% 보유 논란은 오해"]〉, 《ZDnet Korea》, 2018-05-16 18:17:00  
+
*임유경 기자〈[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80516180116&type=det&re=zdk 팝체인 "2명이 토큰 91% 보유 논란은 오해"]〉, 《ZDnet Korea》, 2018-05-16 18:17:00  
* 소셜세이브〈[http://socialsave.net/221276543855 빗썸프로 상장 팝체인(popchain), PCH코인 분석과 전망]〉, 《네이버 블로그》, 2018-05-15 19:59:00
+
*소셜세이브〈[http://socialsave.net/221276543855 빗썸프로 상장 팝체인(popchain), PCH코인 분석과 전망]〉, 《네이버 블로그》, 2018-05-15 19:59:00
* 명섭이〈[http://blog.bsmind.co.kr/2072 팝체인(popchain), 블록체인 적용한 합리적인 콘텐츠 유통 플랫폼 발표]〉, 《울랄라 뽕 IT》, 2018-05-05 23:56:00  
+
*명섭이〈[http://blog.bsmind.co.kr/2072 팝체인(popchain), 블록체인 적용한 합리적인 콘텐츠 유통 플랫폼 발표]〉, 《울랄라 뽕 IT》, 2018-05-05 23:56:00  
 
* 김경태 기자〈[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html?no=416558 팝체인, 디지털 콘텐츠 유통 플랫폼 '팝체인' 선 봬]〉, 《프라임경제》, 2018-05-14 17:41:59
 
* 김경태 기자〈[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html?no=416558 팝체인, 디지털 콘텐츠 유통 플랫폼 '팝체인' 선 봬]〉, 《프라임경제》, 2018-05-14 17:41:59
 +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 [[더이앤엠]](The E&M)
 
* [[빗썸]]
 
* [[빗썸]]
 
* [[트론]]
 
* [[트론]]
  
{{암호화폐 종류|검토 필요}}
+
{{암호화폐 종류}}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