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디난트 포르쉐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자동차 배너|유럽}}
 
{{:자동차 배너|유럽}}
  
==생애==
+
==약력==
 
===포르쉐 설립===
 
===포르쉐 설립===
페르디난트 포르쉐는 1875년 9월 3일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부이고 현재 체코의 일부인 보헤미아 지역에서 태어났다. 판금 기술자인 부친의 영향을 받아 어렸을 때부터 기계에 대한 대단한 재능을 보였고 10대에 공업대학에 들어갔다. 18살 때 비엔나의 벨라 에거(Bela Egger) 전기회사에 취직한 그는 일이 끝난 후에는 지역 공과대학에서 몰래 강의를 들었다. 전기회사에서 5년간 근무하는 동안 [[전기모터]]를 개발하는 등 [[엔지니어]]로서의 열정은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대단했다. 23살이 되던 해, 그는 다른 국가의 황실이나 왕실의 VIP들에게 마차를 맞춤 제작하는 회사인 야콥 로너(Jakob-Lohner)의 공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자동차 시대의 도래를 예감한 이 회사는 [[마차]] 대신 [[자동차]] 제작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 결과 첫선을 보인 차가 로너-포르쉐(ohner-Porsche)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개발 작업을 주도한 이는 바로 포르쉐였다. 이 차는 엄청난 무게의 전기모터 2개를 장착했다. 각자 앞쪽과 뒤쪽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형태로 [[휘발유]] [[엔진]]과 전기모터를 조합한 최초의 [[하이브리드차]]라는 명성을 얻었으며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에 출품돼 많은 관심을 받았다. 1902년 군대에서 운전 요원으로 복무한 그는 1906년 오스트로-다임러(Austro-Daimler)에 디자인 책임자로 부임했다. 포르쉐는 이곳에서 85마력의 [[프린츠 하인리히]](Prinz Heinrich)를 제작했다. 오스트리안 제국 황제 빌헬름 2세의 동생 헨리 왕자가 이 차를 개발해달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다임러 입사 10여 년 만에 그는 임원으로 승진했고 1916년 강의를 훔쳐 들어야 했던 비엔나공과대학교에서 명예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1924년 독일 슈투트가르트 공대에서 명예박사 학위 및 명예 교수직을 받으며 명성을 널리 알리게 된다. 페르디난트 포르쉐는 1931년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슈투트가르트에 [[스포츠카]]와 [[경주용 자동차]]를 전문 제작하는 포르쉐 엔지니어링 오피스(Porsche Engineering Office)를 설립했다. 아들인 [[페리 포르쉐]]와 사위, 옛 동료들과 힘을 합쳐 회사를 설립한 포르쉐는 초기에는 [[중형차]] 위주로 제작을 하다 사세를 확장하면서 다른 자동차 메이커의 [[콘셉트카]]를 외주 받아 제작하기도 했다. 특히 [[경주차]]에도 관심이 많았던 포르쉐는 1934년 실버 애로우(Silver Arrow)로 불렸던 P-바겐(P-Wagen)를 제작하기도 했다.
+
페르디난트 포르쉐는 1875년 9월 3일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부이고 현재 체코의 일부인 보헤미아 지역에서 태어난 그는 판금 기술자인 부친의 영향을 받아 어렸을 때부터 기계에 대한 대단한 재능을 보였고 10대에 공업대학에 들어갔다. 18살 때 비엔나의 벨라 에거(Bela Egger) 전기회사에 취직한 그는 일이 끝난 후에는 지역 공과대학에서 몰래 강의를 들었다. 전기회사에서 5년간 근무하는 동안 [[전기모터]]를 개발하는 등 [[엔지니어]]로서 그의 열정은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대단했다. 23살이 되던 해 그는 다른 국가의 황실이나 왕실의 VIP들에게 마차를 맞춤 제작하는 회사인 야콥 로너(Jakob-Lohner)의 공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자동차 시대의 도래를 예감한 이 회사는 [[마차]] 대신 [[자동차]] 제작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 결과 첫선을 보인 차가 로너-포르쉐(ohner-Porsche)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개발 작업을 주도한 이는 바로 포르쉐였다. 이 차는 엄청난 무게의 전기모터 2개를 장착했다. 각자 앞쪽과 뒤쪽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형태로 [[휘발유]] [[엔진]]과 전기모터를 조합한 최초의 [[하이브리드차]]라는 명성을 얻었으며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에 출품돼 많은 관심을 받았다. 1902년 군대에서 운전 요원으로 복무한 그는 1906년 오스트로-다임러(Austro-Daimler)에 디자인 책임자로 부임했다. 포르쉐는 이곳에서 85마력의 프린츠 하인리히(Prinz Heinrich)를 제작했다. 오스트리안 제국 황제 빌헬름 2세의 동생 헨리 왕자가 이 차를 개발해달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다임러 입사 10여 년 만에 그는 임원으로 승진했고 1916년 강의를 훔쳐 들어야 했던 비엔나공과대학교에서 명예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1924년 독일 슈투트가르트 공대에서 명예박사 학위 및 명예 교수직을 받으며 명성을 널리 알리게 된다. 페르디난트 포르쉐는 1931년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슈투트가르트에 [[스포츠카]]와 [[경주용 자동차]]를 전문 제작하는 포르쉐 엔지니어링 오피스(Porsche Engineering Office)를 설립했다. 아들인 [[페리 포르쉐]]와 사위, 옛 동료들과 힘을 합쳐 회사를 설립한 포르쉐는 초기에는 중형차 위주로 제작을 하다 사세를 확장하면서 다른 자동차 메이커의 콘셉트카를 외주 받아 제작하기도 했다. 특히 경주차에도 관심이 많았던 포르쉐는 1934년 실버 애로우(Silver Arrow)로 불렸던 P-바겐(P-Wagen)를 제작하기도 했다.  
 
 
 
===아돌프 히틀러와 인연===
 
===아돌프 히틀러와 인연===
1933년 [[독일]]의 수상이 된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는 정치적 기반을 다지기 위해 여러 방안을 강구하고 있었던 시기였다. 우선 경제부흥을 위해 자동차 산업의 성장이 우선돼야 했고 같은 맥락에서 [[고속도로]]의 건설도 필요했다. 히틀러가 생각한 경제부흥책은 국민 누구나 자동차를 소유해 산업 경기를 띄우는 것이었다. 그는 일찍부터 [[소형차]]에 관심이 많았던 포르쉐에 주목했고 이듬해 곧바로 실행에 옮겼다. 히틀러는 포르쉐와 마주한 자리에서 다음과 같은 주문을 했다. 어른 2명과 아이 2~3명이 충분히 탈 수 있어야 하며 7L의 연료로 100㎞를 갈 수 있을 것, 또 값은 1,000마르크 이하일 것 등이다. 그러면서 이 차의 개발에 필요한 공학 연구소를 만들어주고 연구비 등도 전부 지원해 주기로 했다. 포르쉐가 우려했던 가격 문제는 국민들이 우표 900마르크 어치를 사면 차 한 대를 준다는 방식으로 국민차 보급에 힘을 기울였다. 1936년 공개된 [[프로토타입]]은 수평 대향 4기통 1.1L 엔진에 최고 속도 98㎞/h, 최대출력 26.5마력의 성능을 지녔다. 간단한 구조와 우수한 내구성이 장점이었다. 특히 후면에 위치한 엔진과 [[후륜구동]]의 RR 방식은 나중에 포르쉐가 설계한 차들의 시초가 됐다. 디자인에 불만을 가졌던 히틀러는 70일간의 성능 테스트 결과를 보고 크게 만족했다. 그리고 이 차의 이름을 KdF(Kraft durch Freude)라고 불렀는데 기쁨의 힘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포르쉐는 히틀러와 달리 이 차의 이름을 독일어로 국민차라는 뜻인 [[폭스바겐]](Volkswagen)으로 불렀다. 독일의 소형차 생산을 예의주시하던 [[미국]]에서는 이때부터 이 차의 외관에서 모티브를 얻어 [[비틀]](Beetle, 딱정벌레)로 부르기 시작했다. 비틀은 지금까지 2,100만 대 이상 판매하여 역대 3번째로 가장 많이 팔리는 역사적인 모델이 됐다. 천재적인 디자이너에 의해 탄생한 소형차 비틀은 뛰어난 성능과 내구성, 앙증맞은 디자인, 저렴한 가격으로 세계인들을 매료시켰다. 그러나 국민차 비틀의 판매로 거둬들인 돈은 고스란히 전쟁 준비에 쓰였다. 전쟁 중에 폭스바겐 공장은 군수공장으로 바뀌었고 비틀은 생산이 중단됐으며 그동안 만들어 두었던 차는 전쟁에 이용됐다. 히틀러는 비틀의 주문과 함께 포르쉐에 군용 탱크의 개발도 주문했다. 1939년 제2차 세계대전 발발과 동시에 포르쉐의 공장은 군용차 생산공장으로 변했다. 포르쉐 박사는 1934년 히틀러와 괴벨스의 주도로 독일 시민권을 취득했고 1937년에는 독일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 통칭 나치당과 히틀러 친위대인 SS에 가입하였다. 1942년에는 SS 상급 지도자 직위를 수여받아 독일군의 군사 차량 개발 및 생산을 책임지게 된다. 그는 설계 노하우를 활용해 차량 외에도 전차 개발에 참여했는데, 제2차 세계대전 독일군을 상징하는 티거 전차와 티거II 전차의 개발에 참여했다.  하지만 세계를 정복하려던 나치 독일의 야망은 제2차 세계대전의 패배와 함께 무너졌고 독일은 소련과 연합군에 의해 동서로 분단되는 최후를 맞이했다. 포르쉐 박사는 전후 복구를 위해 [[프랑스]]와 [[영국]]에서 밀려드는 자동차 주문과 설계 외주 의뢰를 받으며 지냈으나 1945년 12월 자국 독일이 패전국이 되자 차와 탱크를 군수물자로 지원했다는 이유로 프랑스에 머물던 포르쉐는 전범으로 체포됐다. 아들 페리 포르쉐는 잡혔다 바로 풀려났으나 포르쉐는 20개월을 감옥에서 보내야 했다. 그가 감옥에 있을 때 포르쉐 기업은 아들 페리가 이끌었다. 자유의 몸으로 1949년 독일로 돌아온 포르쉐는 아들과 함께 포르쉐 재건에 나섰다. 포르쉐 이름을 최초로 사용한 [[포르쉐 356]]이 공개된 것도 이때다. 수작업으로 49대만 제작된 포르쉐 356은 이후 17년간 7만 8,000대가 생산됐으며 포르쉐 재기의 밑거름이 됐다. 1950년 심장마비로 쓰러진 후 1951년 1월 30일 75세를 일기로 슈투트가르트에서 뇌졸중으로 사망하였다. 사후인 1996년 그는 국제 모터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고 1999년에는 금세기 자동차 엔지니어 상을 받았다.<ref>〈[https://namu.wiki/w/%ED%8E%98%EB%A5%B4%EB%94%94%EB%82%9C%ED%8A%B8%20%ED%8F%AC%EB%A5%B4%EC%85%B0 페르디난트 포르셰]〉, 《나무위키》</ref><ref>안광호,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www=&artid=201304161620422&code=920508 (세기의 車 디자이너)8. 포르쉐 왕가의 전설, 페르디난트 포르쉐]〉, 《경향비즈》, 2013-04-16</ref>
+
1933년 독일의 수상이 된 아돌프 히틀러는 정치적 기반을 다지기 위해 여러 방안을 강구하고 있었던 시기였다. 우선 경제부흥을 위해 자동차 산업의 성장이 우선돼야 했고 같은 맥락에서 고속도로의 건설도 필요했다. 히틀러가 생각한 경제부흥책은 국민 누구나 자동차를 소유해 산업 경기를 띄우는 것이었다. 그는 일찍부터 [[소형차]]에 관심이 많았던 포르쉐에 주목했고 이듬해 곧바로 실행에 옮겼다. 히틀러는 포르쉐와 마주한 자리에서 다음과 같은 주문을 했다. 어른 2명과 아이 2~3명이 충분히 탈 수 있어야 하며 7L의 연료로 100㎞를 갈 수 있을 것, 또 값은 1,000마르크 이하일 것 등이다. 그러면서 이 차의 개발에 필요한 공학 연구소를 만들어주고 연구비 등도 전부 지원해 주기로 했다. 포르쉐가 우려했던 가격 문제는 국민들이 우표 900마르크 어치를 사면 차 한 대를 준다는 방식으로 국민차 보급에 힘을 기울였다. 1936년 공개된 [[프로토타입]]은 수평 대향 4기통 1.1L 엔진에 최고 속도 98㎞/h, 최대출력 26.5마력의 성능을 지녔다. 간단한 구조와 우수한 내구성이 장점이었다. 특히 후면에 위치한 엔진과 [[후륜구동]]의 RR 방식은 나중에 포르쉐가 설계한 차들의 시초가 됐다. 디자인에 불만을 가졌던 히틀러는 70일간의 성능 테스트 결과를 보고 크게 만족했다. 그리고 이 차의 이름을 KdF(Kraft durch Freude)라고 불렀는데 기쁨의 힘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포르쉐는 히틀러와 달리 이 차의 이름을 독일어로 국민차라는 뜻인 [[폭스바겐]](Volkswagen)으로 불렀다. 독일의 소형차 생산을 예의주시하던 미국에서는 이때부터 이 차의 외관에서 모티브를 얻어 [[비틀]](Beetle, 딱정벌레)로 부르기 시작했다. 비틀은 지금까지 2,100만 대 이상 판매하여 역대 3번째로 가장 많이 팔리는 역사적인 모델이 됐다. 천재적인 디자이너에 의해 탄생한 소형차 비틀은 뛰어난 성능과 내구성, 앙증맞은 디자인, 저렴한 가격으로 세계인들을 매료시켰다. 그러나 국민차 비틀의 판매로 거둬들인 돈은 고스란히 전쟁 준비에 쓰였다. 전쟁 중에 폭스바겐 공장은 군수공장으로 바뀌었고 비틀은 생산이 중단됐으며 그동안 만들어 두었던 차는 전쟁에 이용됐다. 히틀러는 비틀의 주문과 함께 포르쉐에 군용 탱크의 개발도 주문했다. 1939년 제2차 세계대전 발발과 동시에 포르쉐의 공장은 군용차 생산공장으로 변했다. 포르쉐 박사는 1934년 히틀러와 괴벨스의 주도로 독일 시민권을 취득했고 1937년에는 독일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 통칭 나치당과 히틀러 친위대인 SS에 가입하였다. 1942년에는 SS 상급 지도자 직위를 수여받아 독일군의 군사 차량 개발 및 생산을 책임지게 된다. 그는 설계 노하우를 활용해 차량 외에도 전차 개발에 참여했는데 2차대전 독일군을 상징하는 티거 전차와 티거II 전차의 개발에 참여했다.  하지만 세계를 정복하려던 나치 독일의 야망은 2차대전의 패배와 함께 무너졌고 독일은 소련과 연합군에 의해 동서로 분단되는 최후를 맞이했다. 포르쉐 박사는 전후 복구를 위해 프랑스와 영국에서 밀려드는 자동차 주문과 설계 외주 의뢰를 받으며 지냈으나 1945년 12월 자국 독일이 패전국이 되자 차와 탱크를 군수물자로 지원했다는 이유로 프랑스에 머물던 포르쉐는 전범으로 체포됐다. 아들 페리 포르쉐는 잡혔다 바로 풀려났으나 포르쉐는 20개월을 감옥에서 보내야 했다. 그가 감옥에 있을 때 포르쉐 기업은 아들 페리가 이끌었다. 자유의 몸으로 1949년 독일로 돌아온 포르쉐는 아들과 함께 포르쉐 재건에 나섰다. 포르쉐 이름을 최초로 사용한 포르쉐 356이 공개된 것도 이때다. 수작업으로 49대만 제작된 포르쉐 356은 이후 17년간 7만 8,000대가 생산됐으며 포르쉐 재기의 밑거름이 됐다. 1950년 심장마비로 쓰러진 후 1951년 1월 30일 75세를 일기로 슈투트가르트에서 뇌졸중으로 사망하였다. 사후인 1996년 그는 국제 모터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고 1999년에는 금세기 자동차 엔지니어 상을 받았다.<ref>〈[https://namu.wiki/w/%ED%8E%98%EB%A5%B4%EB%94%94%EB%82%9C%ED%8A%B8%20%ED%8F%AC%EB%A5%B4%EC%85%B0 페르디난트 포르셰]〉, 《나무위키》</ref><ref>안광호,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www=&artid=201304161620422&code=920508 (세기의 車 디자이너)8. 포르쉐 왕가의 전설, 페르디난트 포르쉐]〉, 《경향비즈》, 2013-04-16</ref>
  
 
==주요 활동==
 
==주요 활동==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