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2번째 줄: 12번째 줄:
 
포드모터컴퍼니(Ford Motor Company)는 세계적인 자동차 및 모빌리티(Automotive and Mobility) 회사이며 자동차, 금융서비스, 포드 스마트 모빌리티(Ford Smart Mobility)<ref>〈[https://media.ford.com/content/fordmedia/fna/us/en/news/2016/03/11/ford-smart-mobility-llc-established--jim-hackett-named-chairman.html Ford Smart Mobility LLC Established to Develop, Invest in Mobility Services; Jim Hackett Named Subsidiary Chairman]〉, 《Ford Media Center》, 2016-03-11</ref>와 중앙재무운영(Central Treasury Operation)에 주력하는 기업이다. 자동차 사업에는 포드 승용차, 트럭, SUV, 전기차 및 [[링컨]] 고급차 등 차종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디자인, 제조, 마케팅 및 서비스가 들어있으며, 금융서비스 사업은 포드 모터 크레디트 컴퍼니(Ford Motor Credit Company LLC))에서 발생하는 차량관련 금융과 임대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포드 스마트 모빌리티는 소비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연결, 모빌리티, 자율주행, 소비자 체험 및 데이터분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중앙재무운영 분야는 주로 자동차 사업부를 대상으로 한 투자, 리스크관리 및 자금조달 업무를 담당한다.<ref>"[https://www.reuters.com/companies/F.N F.N - Ford Motor Company Profile]", ''Reuters''</ref>
 
포드모터컴퍼니(Ford Motor Company)는 세계적인 자동차 및 모빌리티(Automotive and Mobility) 회사이며 자동차, 금융서비스, 포드 스마트 모빌리티(Ford Smart Mobility)<ref>〈[https://media.ford.com/content/fordmedia/fna/us/en/news/2016/03/11/ford-smart-mobility-llc-established--jim-hackett-named-chairman.html Ford Smart Mobility LLC Established to Develop, Invest in Mobility Services; Jim Hackett Named Subsidiary Chairman]〉, 《Ford Media Center》, 2016-03-11</ref>와 중앙재무운영(Central Treasury Operation)에 주력하는 기업이다. 자동차 사업에는 포드 승용차, 트럭, SUV, 전기차 및 [[링컨]] 고급차 등 차종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디자인, 제조, 마케팅 및 서비스가 들어있으며, 금융서비스 사업은 포드 모터 크레디트 컴퍼니(Ford Motor Credit Company LLC))에서 발생하는 차량관련 금융과 임대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포드 스마트 모빌리티는 소비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연결, 모빌리티, 자율주행, 소비자 체험 및 데이터분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중앙재무운영 분야는 주로 자동차 사업부를 대상으로 한 투자, 리스크관리 및 자금조달 업무를 담당한다.<ref>"[https://www.reuters.com/companies/F.N F.N - Ford Motor Company Profile]", ''Reuters''</ref>
  
포드는 [[브라질]]의 SUV 제조업체 [[트롤러]](Troller)를 완전자회사로 두고 있고, 영국 스포츠카 제조업체 [[애스턴마틴]](Aston Martin)의 8% 지분과 중국 자동차제조사 [[장링자동차]](Jiangling Motors)의 지분 32%를 가지고 있으며 [[중국]](长安福特, Changan Ford), [[타이완]](Ford Lio Ho), [[태국]](오토얼라이언스 컴퍼니, AutoAlliance Thailand), [[터키]](포드 오토산, Ford Otosan)와 [[러시아]](포드 솔레르스, Ford Sollers) 등 여러 나라에서 [[합자기업]]을 운영하고 있다. 포드는 1925년부터 [[일본]]에서 포드자동차회사를 운영하였으며 [[제2차 세계대전]] 시절인 1940년에 사업을 중단하였다가 전쟁 후에 일본자동차메이커 [[마쯔다]]와 합작하여 사업을 운영하였다. 1979년에 마쯔다(Mazda)의 지분 24.5%를 인수하고 1996년에 33.4%로 보유 지분을 늘여 [[대주주]]로 되었다가 2000년대에 진입하면서 경영의 어려움으로 지분을 매각하기 시작하였다. 2015년에 마지막 2.1% 지분을 매각하고 2016년에 일본시장에서 철수하였다. 1989년과 2000년에 영국의 [[재규어]](Jaguar)와 [[랜드로버]](Land Rover)를 인수하였다가 2008년 3월에 [[인도 (국가)|인도]]의 [[타타자동차]](Tata Motors)에 양도하였으며 1999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간에 [[스웨덴]]의 자동차메이커 [[볼보]](Volvo)를 소유하고 있다가 2010년에 [[중국]]의 [[지리자동차]](Geely Automobile)에 양도하였다. 2011년에 1938년부터 [[미국]], [[캐나다]], [[멕시코]] 및 [[중동]] 지역을 대상으로 운영하던 엔트리 레벨(entry-level) 렉셔리카 브랜드(luxury cars brand)인 [[머큐리 (자동차)|머큐리]](Mercury) 사업을 중단하였다.  
+
포드는 [[브라질]]의 SUV 제조업체 [[트롤러]](Troller)를 완전자회사로 두고 있고, 영국 스포츠카 제조업체 [[애스턴마틴]](Aston Martin)의 8% 지분과 중국 자동차제조사 [[장링자동차]](Jiangling Motors)의 지분 32%를 가지고 있으며 [[중국]](长安福特, Changan Ford), [[타이완]](Ford Lio Ho), [[태국]](오토얼라이언스 컴퍼니, AutoAlliance Thailand), [[터키]](포드 오토산, Ford Otosan)와 [[러시아]](포드 솔레르스, Ford Sollers) 등 여러 나라에서 [[합자기업]]을 운영하고 있다. 포드는 1925년부터 [[일본]]에서 포드자동차회사를 운영하였으며 [[제2차 세계대전]] 시절인 1940년에 사업을 중단하였다가 전쟁 후에 일본자동차메이커 [[마쯔다]]와 합작하여 사업을 운영하였다. 1979년에 마쯔다(Mazda)의 지분 24.5%를 인수하고 1996년에 33.4%로 보유 지분을 늘여 [[대주주]]로 되었다가 2000년대에 진입하면서 경영의 어려움으로 지분을 매각하기 시작하였다. 2015년에 마지막 2.1% 지분을 매각하고 2016년에 일본시장에서 철수하였다. 1989년과 2000년에 영국의 [[재규어]](Jaguar)와 [[랜드로버]](Land Rover)를 인수하였다가 2008년 3월에 [[인도]]의 [[타타자동차]](Tata Motors)에 양도하였으며 1999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간에 [[스웨덴]]의 자동차메이커 [[볼보]](Volvo)를 소유하고 있다가 2010년에 [[중국]]의 [[지리자동차]](Geely Automobile)에 양도하였다. 2011년에 1938년부터 [[미국]], [[캐나다]], [[멕시코]] 및 [[중동]] 지역을 대상으로 운영하던 엔트리 레벨(entry-level) 렉셔리카 브랜드(luxury cars brand)인 [[머큐리]](Mercury) 사업을 중단하였다.  
  
 
2008년에 포드는 전 세계 90여개의 공장과 시설에서 213,000명의 [[직원]]을 [[고용]]하여 532만대의 자동차를 생산하였으며 2015년에는 자동차 생산수량 기준으로 [[토요타]], [[폭스바겐]], [[현대자동차]], [[제너럴모터스]](GM) 다음에 있었으며 글로벌 5대 자동차 메이커 중의 하나로 있었다. 2018년 [[포춘]](Fortune)이 평가한 500대 기업 리스트에서 포드는 2017년의 글로벌 수익 1,567억 달러를 가지고 미국 본토 기업 중에서 11번째 순위로 평가를 받았다. 2019년도 포드의 영업액은 1,559억 달러이고 영업이익은 5.74억 달러이며 순이익은 0.47억 달러이다. 총자산 규모는 2,585.37억 달러 수준에 이른다.
 
2008년에 포드는 전 세계 90여개의 공장과 시설에서 213,000명의 [[직원]]을 [[고용]]하여 532만대의 자동차를 생산하였으며 2015년에는 자동차 생산수량 기준으로 [[토요타]], [[폭스바겐]], [[현대자동차]], [[제너럴모터스]](GM) 다음에 있었으며 글로벌 5대 자동차 메이커 중의 하나로 있었다. 2018년 [[포춘]](Fortune)이 평가한 500대 기업 리스트에서 포드는 2017년의 글로벌 수익 1,567억 달러를 가지고 미국 본토 기업 중에서 11번째 순위로 평가를 받았다. 2019년도 포드의 영업액은 1,559억 달러이고 영업이익은 5.74억 달러이며 순이익은 0.47억 달러이다. 총자산 규모는 2,585.37억 달러 수준에 이른다.
525번째 줄: 525번째 줄:
  
 
==제품과 서비스==
 
==제품과 서비스==
===자동차 브랜드===
+
===자동차===
 
포드는 글로벌에서 포드(Ford) 브랜드로 여러 종류의 자동차를 판매하고 미국 시장에서 링컨(Lincoln) 브랜드로 럭셔리 자동차를 판매한다. 회사 설립후 포드나 링컨 외 에도 여러 브랜드를 사용한 적이 있다. 1939년에 머큐리(Mercury) 브랜드를 출시하여 2011년까지 생산을 하다가 판매부진으로 철소하고 1958년에 에드셀(Edsel) 브랜드를 출시하였다가 판매부진으로 1960년에 철소하였으며 1985년에 미국시장을 대상으로 포드독일에서 생산한 브랜드 머쿠어(Merkur)를 출시하였다가 1989년에 철소하였다.   
 
포드는 글로벌에서 포드(Ford) 브랜드로 여러 종류의 자동차를 판매하고 미국 시장에서 링컨(Lincoln) 브랜드로 럭셔리 자동차를 판매한다. 회사 설립후 포드나 링컨 외 에도 여러 브랜드를 사용한 적이 있다. 1939년에 머큐리(Mercury) 브랜드를 출시하여 2011년까지 생산을 하다가 판매부진으로 철소하고 1958년에 에드셀(Edsel) 브랜드를 출시하였다가 판매부진으로 1960년에 철소하였으며 1985년에 미국시장을 대상으로 포드독일에서 생산한 브랜드 머쿠어(Merkur)를 출시하였다가 1989년에 철소하였다.   
  
포드는 1989년에 영국의 스포츠카 메이커 애스턴마틴(Aston Martin)을 인수하였다가 2007년 3월에 8%의 지분을 남기고 전량 매각을 추진하였으며 1999년에 스웨덴의 볼보(Volvo)를 인수하였다가 2010년에 중국의 저장 지리 홀딩 그룹(Zhejiang Geely Holding Group)에 매각하였다. 2008년 11월에 보유중인 일본 마쯔다 33.4%의 지분을 13.4%로 조정하였고 2010년 11월에 3% 지분을 남겼으며 2015년 9월에 잔여 지분을 처분하고 2016년에 일본사업운영을 중단하여 111년의 운영 역사를 종결하였다.  2008년 3월에 영국에 있는 재규어(Jaguar)와 랜드로버(Land Rover) 회사와 브랜드 전부를 [[인도 (국가)|인도]]의 [[타타자동차]](Tata Motors)에 양도하였으며 2018년 4월에는 점차적으로 북미에서 운영하는 하나의 모델 무스탕(Mustang)외 전부의 모델을 폐지하고 트럭과 SUV에 주력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
포드는 1989년에 영국의 스포츠카 메이커 애스턴마틴(Aston Martin)을 인수하였다가 2007년 3월에 8%의 지분을 남기고 전량 매각을 추진하였으며 1999년에 스웨덴의 볼보(Volvo)를 인수하였다가 2010년에 중국의 저장 지리 홀딩 그룹(Zhejiang Geely Holding Group)에 매각하였다. 2008년 11월에 보유중인 일본 마쯔다 33.4%의 지분을 13.4%로 조정하였고 2010년 11월에 3% 지분을 남겼으며 2015년 9월에 잔여 지분을 처분하고 2016년에 일본사업운영을 중단하여 111년의 운영 역사를 종결하였다.  2008년 3월에 영국에 있는 재규어(Jaguar)와 랜드로버(Land Rover) 회사와 브랜드 전부를 인도의 타타자동차(Tata Motors)에 양도하였으며 2018년 4월에는 점차적으로 북미에서 운영하는 하나의 모델 무스탕(Mustang)외 전부의 모델을 폐지하고 트럭과 SUV에 주력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 <현존 브랜드>
 
* <현존 브랜드>
611번째 줄: 611번째 줄:
 
|}
 
|}
  
===자동차 대표 모델===
+
* 자동차 대표모델
  
 
'''1) 포드 모델 T (Ford Model T)'''
 
'''1) 포드 모델 T (Ford Model T)'''
672번째 줄: 672번째 줄:
 
[[파일:컨티넨탈 MKⅡ.jpg|썸네일|300픽셀|'''1956 컨티넨탈 MKⅡ'''(1956 Continental Mark II)]]
 
[[파일:컨티넨탈 MKⅡ.jpg|썸네일|300픽셀|'''1956 컨티넨탈 MKⅡ'''(1956 Continental Mark II)]]
  
컨티넨탈 MKⅡ는 포드유럽의 컨티넨탈 사업부가 1956년부터 1957년사이에 출시하였던 울트라 럭셔리 쿠페(ultra-luxury coupe)모델이다. 1939년부터 1948년사이에 판매를 추진하였던 링컨(Lincoln)에 이어 포드유럽의 제조실력을 보여주는 모델이며 포드의 플래그십(Flagship)모델이었다.  
+
컨티넨탈 MKⅡ는 포드유럽의 컨티넨탈 사업부가 1956년부터 1957년사이에 출시하였던 울트라 럭셔리 쿠페(ultra-luxury coupe)모델이다. 1939년부터 1948년사이에 판매를 추진하였던 링컨 컨티넨탈(Lincoln Continental)에 이어 포드유럽의 제조실력을 보여주는 모델이며 포드의 플래그십(Flagship)모델이었다.  
  
 
그 시대에 미국에서 생산한 고급차로서 컨티켄탈 MKⅡ는 롤스로이스(Rolls-Royce)의 실버 클라우드(Silver Cloud)를 주요 경쟁제품으로 개발되었다. 2-도어 하드톱 외형에 Y-Block V8 엔진과 자동변속기를 장착하였으며 나머지 부분은 품질보증의 소오로 전부 수작업방식으로 조립을 추진하였고 파워 스티어링, 파워 브레이크, 파워 윈도우, 파워 시트, 파워 벤트 윈도우 등의 소비자 편의 기능을 부여하였다. 유일한 옵션은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였다.
 
그 시대에 미국에서 생산한 고급차로서 컨티켄탈 MKⅡ는 롤스로이스(Rolls-Royce)의 실버 클라우드(Silver Cloud)를 주요 경쟁제품으로 개발되었다. 2-도어 하드톱 외형에 Y-Block V8 엔진과 자동변속기를 장착하였으며 나머지 부분은 품질보증의 소오로 전부 수작업방식으로 조립을 추진하였고 파워 스티어링, 파워 브레이크, 파워 윈도우, 파워 시트, 파워 벤트 윈도우 등의 소비자 편의 기능을 부여하였다. 유일한 옵션은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였다.
804번째 줄: 804번째 줄:
 
레인저 전기자동차 출시 후 시중에는 납축전지가 겨울에 충전할 때 환경온도의 유지필요로 가열을 진행하고 니켈 수소 전지를 충전할 때 산열이 필요한 등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이슈사항들이 제출되었다. 2002년에 레인저 전기자동차는 종산이 되었으며 포드 자체는 이 모델의 생산을 다시 진행할 타산이 없다고 밝혔다.
 
레인저 전기자동차 출시 후 시중에는 납축전지가 겨울에 충전할 때 환경온도의 유지필요로 가열을 진행하고 니켈 수소 전지를 충전할 때 산열이 필요한 등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이슈사항들이 제출되었다. 2002년에 레인저 전기자동차는 종산이 되었으며 포드 자체는 이 모델의 생산을 다시 진행할 타산이 없다고 밝혔다.
  
===버스===
+
===뻐스===
 
[[파일:2016 포드 트랜짓 350.jpg|썸네일|300픽셀|'''2016 포드 트랜짓 350'''(2016 Ford Transit 350)]]
 
[[파일:2016 포드 트랜짓 350.jpg|썸네일|300픽셀|'''2016 포드 트랜짓 350'''(2016 Ford Transit 350)]]
  
828번째 줄: 828번째 줄:
  
 
== 프리미어 오토모티브 그룹 ==
 
== 프리미어 오토모티브 그룹 ==
[[프리미어 오토모티브 그룹]](PAG)은 포드 회사 내의 조직부서이며, 1999년에 고급 자동차 시장의 비즈니스 운영을 감독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링컨]], [[머큐리 (자동차)|머큐리]], [[재규어]], [[랜드로버]], [[애스턴마틴]], [[볼보]] 등 6개의 고급 브랜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8년에 글로벌 금융위기가 오기 전까지 [[영국]] [[런던]]에서 본부를 운영했다. 또한, 포드는 15년 동안 프리미어 오토모티브 그룹을 만들고 발전시키는데 약 170억 달러를 투자했다.
+
프리미어 오토모티브 그룹(PAG)은 포드 회사 내의 조직부서이며, 1999년에 고급 자동차 시장의 비즈니스 운영을 감독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링컨, 머큐리, 재규어, 랜드로버, 애스턴마틴, 볼보 등 6개의 고급 브랜드로 구성되어있으며, 2008년에 글로벌 금융위기가 오기 전까지 영국 런던에서 본부를 운영했다. 또한, 포드는 15년 동안 프리미어 오토모티브 그룹을 만들고 발전시키는데 약 170억 달러를 투자했다.
  
 
;링컨
 
;링컨
[[파일:링컨 글자.png|썸네일|300픽셀|'''[[링컨]]'''(LINCOLN)]]
+
[[파일:링컨 컨티넨탈 글자.png|썸네일|300픽셀|'''[[링컨 컨티넨탈]]'''(LINCOLN)]]
  
[[링컨]](LINCOLN)은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 포드의 럭셔리 브랜드이다. 또한, 20세기부터 성공한 사람이 타는 고급 자동차의 아이콘으로 자리잡았으며, 우아함과 품격을 갖춘 대표적인 아메리칸 클래식으로 미국에서 사랑과 지지를 받는 브랜드이다. 링컨은 1917년에 [[헨리 릴런드]](Henly Leland)가 설립한 회사이다. 1922년에 포드가 인수했으며, [[헨리 릴런드]]는 링컨 브랜드가 편입된 이후에도 포드의 럭셔리카 개발을 담당했다. 1990년대부터 럭셔리 브랜드 링컨은 독일과 일본 고급 차들에 밀려 입지를 잃었다. 결국, [[재규어]]와 [[볼보]] 등이 소속된 포드 산하의 프리미어 오토모티브 그룹에 소속되었다. 포드는 2002년에 [[링컨]] 브랜드를 다시 부활시켰으며, 2000년대 중반 [[링컨]]은 중형 스포츠 세단인 [[제퍼]](MKZ) 출시를 시작으로 MK 라인업 모델을 출시하고 있다. {{자세히|링컨}}
+
[[링컨 컨티넨탈]](LINCOLN)은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 포드의 럭셔리 브랜드이다. 또한, 20세기부터 성공한 사람이 타는 고급 자동차의 아이콘으로 자리잡았으며, 우아함과 품격을 갖춘 대표적인 아메리칸 클래식으로 미국에서 사랑과 지지를 받는 브랜드이다. 링컨은 1917년에 [[헨리 릴런드]](Henly Leland)가 설립한 회사이다. 1922년에 포드가 인수했으며, 헨리 릴런드는 링컨 브랜드가 편입된 이후에도 포드의 럭셔리카 개발을 담당했다. 1990년대부터 럭셔리 브랜드 링컨은 독일과 일본 고급 차들에 밀려 입지를 잃었다. 결국, 재규어와 볼보 등이 소속된 포드 산하의 프리미어 오토모티브 그룹에 소속되었다. 포드는 2002년에 링컨 브랜드를 다시 부활시켰으며, 2000년대 중반 링컨은 중형 스포츠 세단인 제퍼(MKZ) 출시를 시작으로 MK 라인업 모델을 출시하고 있다.{{자세히|링컨}}
  
 
;머큐리
 
;머큐리
[[파일:머큐리 (자동차) 글자.png|썸네일|300픽셀|'''[[머큐리 (자동차)|머큐리]]'''(Mercury)]]
+
[[파일:머큐리 글자.png|썸네일|300픽셀|'''[[머큐리]]'''(Mercury)]]
  
[[머큐리 (자동차)|머큐리]](Mercury)는 1938년에 에드셀 포드가 설립한 포드의 준고급 브랜드이자 링컨과 포드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그 사이에서 중간단계 역할을 하는 브랜드이다. 1960년대에는 '남자들의 차'라는 슬로건을 내걸며 인지도를 얻었으며, 1980년대에는 포드와 기아자동차가 협업하여 머큐리 세이블(Mercury Sable)을 판매했다. 머큐리 세이블은 머큐리의 마퀴스(Marquis)를 대체하기 위한 중형급의 세단 및 에스테이트로 설계된 자동차이다. 미국 시장에서 포드 토러스의 고급화 버전의 모델로 통했으며, 미래지향적인 디자인과 준수한 품질의 성능이 뛰어난 자동차이다. 미국에서 판매된 머큐리 세이블은 총 3종의 가솔린 엔진과 2종 자동변속기를 탑재했으며, 단 3개월 동안 493대를 판매했고, 1990년대에는 1,579대를 판매했다. 하지만, 2000년대부터 가장 안 팔리는 자동차로 상황이 악화되어 판매량 부진과 하락세를 기록했다. 결국, 2011년 1월 4일에 모든 자동차가 단종되었다.
+
[[머큐리]](Mercury)는 1938년에 에드셀 포드가 설립한 포드의 준고급 브랜드이자 링컨과 포드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그 사이에서 중간단계 역할을 하는 브랜드이다. 1960년대에는 '남자들의 차'라는 슬로건을 내걸며 인지도를 얻었으며, 1980년대에는 포드와 기아자동차가 협업하여 머큐리 세이블(Mercury Sable)을 판매했다. 머큐리 세이블은 머큐리의 마퀴스(Marquis)를 대체하기 위한 중형급의 세단 및 에스테이트로 설계된 자동차이다. 미국 시장에서 포드 토러스의 고급화 버전의 모델로 통했으며, 미래지향적인 디자인과 준수한 품질의 성능이 뛰어난 자동차이다. 미국에서 판매된 머큐리 세이블은 총 3종의 가솔린 엔진과 2종 자동변속기를 탑재했으며, 단 3개월 동안 493대를 판매했고, 1990년대에는 1,579대를 판매했다. 하지만, 2000년대부터 가장 안 팔리는 자동차로 상황이 악화되어 판매량 부진과 하락세를 기록했다. 결국, 2011년 1월 4일에 모든 자동차가 단종되었다.{{자세히|머큐리}}
  
 
;재규어
 
;재규어
 
[[파일:재규어 글자.png|썸네일|300픽셀|'''[[재규어]]'''(Jaguar)]]
 
[[파일:재규어 글자.png|썸네일|300픽셀|'''[[재규어]]'''(Jaguar)]]
  
[[재규어]](Jaguar)는 포드 산하의 프리미어 오토모티브 그룹 소속이다. 1984년에 상장회사로 분리되면서 독립한 재규어는 존 이건(John Egan)의 경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판매보다는 품질 관리와 인도기일 엄수 및 생산성 향성에 주력했으며, 약 1만 명의 인력 중 3분의 1정도를 정리했다. 하지만, 포드가 1990년에 인수한 후에는 이익을 내지 못했고, 소비자 신뢰도 면에서 업계 최저를 기록했다. 이후에도, 유럽의 전략형 승용차 포드 몬데오(Ford Mondeo)와 플랫폼을 공유했던 X타입이 상업적인 실패를 거듭했다. 이에, 디트로이트 모터쇼에서 새로운 스타일의 쿠페형 컨셉트 모델을 공개했으며, 독일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XK(X150)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2008년에 포드는 금융위기를 맞아 재규어를 [[인도 (국가)|인도]]의 [[타타그룹]](Tata Group)에 매각했다.
+
[[재규어]](Jaguar)는 포드 산하의 프리미어 오토모티브 그룹 소속이다. 1984년에 상장회사로 분리되면서 독립한 재규어는 존 이건(John Egan)의 경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판매보다는 품질 관리와 인도기일 엄수 및 생산성 향성에 주력했으며, 약 1만 명의 인력 중 3분의 1정도를 정리했다. 하지만, 포드가 1990년에 인수한 후에는 이익을 내지 못했고, 소비자 신뢰도 면에서 업계 최저를 기록했다. 이후에도, 유럽의 전략형 승용차 포드 몬데오(Ford Mondeo)와 플랫폼을 공유했던 X타입이 상업적인 실패를 거듭했다. 이에, 디트로이트 모터쇼에서 새로운 스타일의 쿠페형 컨셉트 모델을 공개했으며, 독일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XK(X150)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2008년에 포드는 금융위기를 맞아 재규어를 인도의 타타그룹(Tata Group)에 매각했다.{{자세히|재규어}}
  
 
;랜드로버
 
;랜드로버
 
[[파일:랜드로버 글자.png|썸네일|300픽셀|'''[[랜드로버]]'''(Land Rover)]]
 
[[파일:랜드로버 글자.png|썸네일|300픽셀|'''[[랜드로버]]'''(Land Rover)]]
  
[[랜드로버]](Land Rover)는 포드의 자회사이며, 사륜구동 자동차 전문 회사이다. 1994년에 레이랜드가 비엠더블유에 매각했으며, 다시 2000년에 포드가 인수했다. 랜드로버의 디자인은 지프를 벤치마킹한 영국의 문화 아이콘 중 하나이다. 1970년에는 세계 최고급 SUV라는 명성을 누리게 했던 대표작인 레인지로버(Range Rover)를 출시하기도 했다. 레인지로버 클래식으로 알려진 이 1세대 자동차는 사륜구동 모델 최초로 ABS 브레이크와 에어서스펜션 및 전자식 트랙션 컨트롤 시스템을 탑재했다. 2008년에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아 포드는 랜드로버를 인도의 [[타타그룹]]에 매각했다.
+
[[랜드로버]](Land Rover)는 포드의 자회사이며, 사륜구동 자동차 전문 회사이다. 1994년에 레이랜드가 비엠더블유에 매각했으며, 다시 2000년에 포드가 인수했다. 랜드로버의 디자인은 지프를 벤치마킹한 영국의 문화 아이콘 중 하나이다. 1970년에는 세계 최고급 SUV라는 명성을 누리게 했던 대표작인 레인지로버(Range Rover)를 출시하기도 했다. 레인지로버 클래식으로 알려진 이 1세대 자동차는 사륜구동 모델 최초로 ABS 브레이크와 에어서스펜션 및 전자식 트랙션 컨트롤 시스템을 탑재했다. 2008년에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아 포드는 랜드로버를 인도의 타타그룹에 매각했다.{{자세히|랜드로버}}
  
 
;애스턴마틴
 
;애스턴마틴
 
[[파일:애스턴마틴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애스턴마틴]]'''(ASTON MARTIN)]]
 
[[파일:애스턴마틴 글자.png|썸네일|300픽셀|'''[[애스턴마틴]]'''(ASTON MARTIN)]]
  
[[애스턴마틴]](Aston Martin)은 1913년에 설립된 포드산하의 자동차 브랜드이며, 1925년부터 시작해서 20세기 동안 총 7번 도산한 회사이다. 1974년에도 법정관리에 들어갔으며, 1년 후에 미국과 영국의 투자자들에게 매각되어 공장이 재가동되기도 했다. 1987년에는 포드가 브랜드 인수를 시작하여 1991년에 포드로 완전히 인수되었다. 또한, 1993년에는 DB시리즈인 DB7은 제네바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되어 총 7,000여 대 이상을 판매하기도 했다. 이후, 애스턴마틴은 1994년에 포드로부터 적극적인 투자와 다양한 모델 개발 및 기술 지원을 받았다. 하지만, 2007년에 애스턴마틴을 사모펀드를 포함한 일단의 투자자들에게 회사를 매각했다. 또한, 2008년 이후에는 쿠웨이트의 다르 투자회사(Dar Investment), 아딘 투자회사(Adeem Investment), 영국의 사업가 존 신더스(John Sinders)가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고, 포드는 지분의 일부분만을 가지고 있다. {{자세히|애스턴마틴}}
+
[[애스턴마틴]](Aston Martin)은 1913년에 설립된 포드산하의 자동차 브랜드이며, 1925년부터 시작해서 20세기 동안 총 7번 도산한 회사이다. 1974년에도 법정관리에 들어갔으며, 1년 후에 미국과 영국의 투자자들에게 매각되어 공장이 재가동되기도 했다. 1987년에는 포드가 브랜드 인수를 시작하여 1991년에 포드로 완전히 인수되었다. 또한, 1993년에는 DB시리즈인 DB7은 제네바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되어 총 7,000여 대 이상을 판매하기도 했다. 이후, 애스턴마틴은 1994년에 포드로부터 적극적인 투자와 다양한 모델 개발 및 기술 지원을 받았다. 하지만, 2007년에 애스턴마틴을 사모펀드를 포함한 일단의 투자자들에게 회사를 매각했다. 또한, 2008년 이후에는 쿠웨이트의 다르 투자회사(Dar Investment), 아딘 투자회사(Adeem Investment), 영국의 사업가 존 신더스(John Sinders)가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고, 포드는 지분의 일부분만을 가지고 있다.{{자세히|애스턴마틴}}
  
 
;볼보
 
;볼보
 
[[파일:볼보 글자.png|썸네일|300픽셀|'''[[볼보]]'''(Volvo)]]
 
[[파일:볼보 글자.png|썸네일|300픽셀|'''[[볼보]]'''(Volvo)]]
  
[[볼보]](Volvo)는 스웨덴의 대표적인 기업이며, 유럽과 미국의 안전하고 튼튼한 고급 승용차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볼보의 대표적인 자동차 세단 S90은 전체 판매량의 8%를 차지하고 있다. 1999년 볼보는 상용차에 집중하기 위해서 볼보 승용차 사업부를 포드가 100% 지분으로 인수했다. 포드는 기존 볼보의 후륜구동 차량들을 자사와 공유하는 전륜구동 섀시로 변경했고, 스타일링도 이전의 각진 스타일에서 매끈한 스타일로 변경했다. 하지만, 2010년에 중국의 [[지리자동차]](吉利汽车)가 결국 15억 달러에 볼보 승용차 사업부를 인수했다. {{자세히|볼보}}
+
[[볼보]](Volvo)는 스웨덴의 대표적인 기업이며, 유럽과 미국의 안전하고 튼튼한 고급 승용차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볼보의 대표적인 자동차 세단 S90은 전체 판매량의 8%를 차지하고 있다. 1999년 볼보는 상용차에 집중하기 위해서 볼보 승용차 사업부를 포드가 100% 지분으로 인수했다. 포드는 기존 볼보의 후륜구동 차량들을 자사와 공유하는 전륜구동 섀시로 변경했고, 스타일링도 이전의 각진 스타일에서 매끈한 스타일로 변경했다.하지만, 2010년에 중국의 지리자동차(吉利汽车)가 결국 15억 달러에 볼보 승용차 사업부를 인수했다.{{자세히|볼보}}
  
 
== 현황 ==
 
== 현황 ==
 
;디지털 혁신 기업
 
;디지털 혁신 기업
2019년 11월, 페이턴트사이트(PatentSight)에 따르면 디지털 기술 측면에서의 혁신적인 글로벌 기업들이 보유한 특허기술 역량에 랭킹을 매긴 '디지털 혁신 기업 TOP 100'에서 포드는 5단계 상승했다. 포드는 타 경쟁사들과 비교해보면 디지털 기술 분야와 전기자동차 및 자율주행 자동차 분야 등 빠른 성장을 이루었다. 포드의 포트폴리오는 2013년부터 계속해서 증가했으며, 질적인 측면에서도 높은 성과를 거두었다. 매년 3개 이상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으며, 타 경쟁사들과 비교해 봐도 2배에서 3배 더 많은 특허를 출원하고 있다. 포드는 영국 런던에서 순수 전기자동차 SUV 모델인 [[머스탱 마하-E]](Mustang Mach-E)를 공개한 바 있으며, 전기자동차 라인업을 확대하기 위해 유럽에서 판매하는 모든 자동차의 전기자동차 옵션을 제공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포드는 "2024년까지 유럽 시장에 총 17종의 전기자동차를 출시하고, 2022년부터는 전기자동차의 판매 비중이 내연기관 자동차를 능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
2019년 11월, 페이턴트사이트(PatentSight)에 따르면 디지털 기술 측면에서의 혁신적인 글로벌 기업들이 보유한 특허기술 역량에 랭킹을 매긴 '디지털 혁신 기업 TOP 100'에서 포드는 5단계 상승했다. 포드는 타 경쟁사들과 비교해보면 디지털 기술 분야와 전기자동차 및 자율주행 자동차 분야 등 빠른 성장을 이루었다. 포드의 포트폴리오는 2013년부터 계속해서 증가했으며, 질적인 측면에서도 높은 성과를 거두었다. 매년 3개 이상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으며, 타 경쟁사들과 비교해 봐도 2배에서 3배 더 많은 특허를 출원하고 있다. 포드는 영국 런던에서 순수 전기자동차 SUV 모델인 머스탱 마하-E(Mustang Mach-E)를 공개한 바 있으며, 전기자동차 라인업을 확대하기 위해 유럽에서 판매하는 모든 자동차의 전기자동차 옵션을 제공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포드는 "2024년까지 유럽 시장에 총 17종의 전기자동차를 출시하고, 2022년부터는 전기자동차의 판매 비중이 내연기관 자동차를 능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율주행
 
;자율주행
2020년 6월, 포드는 [[모빌아이]](Mobileye)의 [[아이큐]](EyeQ) 칩과 [[소프트웨어]]를 핵심으로 하는 자사의 자율주행 기술인 [[코-파일럿360]](Co-Pilot360)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을 발표했으며, [[핸즈프리]] 드라이빙 기술도 추가했다. 이 기술은 [[액티브 드라이브 어시스트]](Active Drive Assist) 기능을 제공하며, 핸즈프리 드라이빙 기능은 일부 구간에서 운전자가 운전대에서 손을 놓고 있어도 자동차가 스스로 조향하여 주행 차로를 유지하는 기능이다.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AE)에 따르면 기준 레벨 3의 자율주행 자동차 판매가 허용되어 있는 미국 시장에서 판매할 수 있다. 포드는 운전자 주의력 감지를 위해 적외선 카메라를 설치했다. 이 카메라는 시선과 머리 위치를 추적하여 핸즈프리 모드 및 도로에서 작동하는 핸즈온 레인 센터링 모드 등과 관련하여 운전자가 도로에서 집중할 수 있게 유도하는 기능도 있다. 포드 코-파일럿360 2.0 스탠더드 패키지는 순수 전기자동차 마하-E에 적용했으며, 차선유지 시스템(Lane-Keeping System)에 대한 두 가지 상향된 기능인 도로 가장자리 감지(Road Edge Detection)와 사각지대 지원(Blind Spot Assist) 기능 또한 적용했다. 2020년에는 2022년에 출시 예정인 준중형 SUV 이스케이프의 하이브리드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한 자율주행 자동차도 공개했다. 포드가 미국의 자율주행 기술 개발 스타트업인 아르고에이아이(Argo AI)와 개발 중인 4세대 자율주행 자동차이다. 포드는 아르고에이아이에 10억 달러를 투자하여 80%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 4세대 자율주행 자동차는 고화질 카메라와 고감도 레이더 센서 및 고급 라이다(LiDAR) 기술 등을 적용했다.
+
2020년 6월, 포드는 모빌아이(Mobileye)의 아이큐(EyeQ) 칩과 소프트웨어를 핵심으로 하는 자사의 자율주행 기술인 코-파일럿360(Co-Pilot360)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을 발표했으며, 핸즈프리 드라이빙 기술도 추가했다. 이 기술은 액티브 드라이브 어시스트(Active Drive Assist) 기능을 제공하며, 핸즈프리 드라이빙 기능은 일부 구간에서 운전자가 운전대에서 손을 놓고 있어도 자동차가 스스로 조향하여 주행 차로를 유지하는 기능이다. 국제자동차기술협회(SAE)에 따르면 기준 레벨 3의 자율주행 자동차 판매가 허용되어 있는 미국 시장에서 판매할 수 있다. 포드는 운전자 주의력 감지를 위해 적외선 카메라를 설치했다. 이 카메라는 시선과 머리 위치를 추적하여 핸즈프리 모드 및 도로에서 작동하는 핸즈온 레인 센터링 모드 등과 관련하여 운전자가 도로에서 집중할 수 있게 유도하는 기능도 있다. 포드 코-파일럿360 2.0 스탠더드 패키지는 순수 전기자동차 마하-E에 적용했으며, 차선유지 시스템(Lane-Keeping System)에 대한 두 가지 상향된 기능인 도로 가장자리 감지(Road Edge Detection)와 사각지대 지원(Blind Spot Assist) 기능 또한 적용했다. 2020년에는 2022년에 출시 예정인 준중형 SUV 이스케이프의 하이브리드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한 자율주행 자동차도 공개했다. 포드가 미국의 자율주행 기술 개발 스타트업인 아르고에이아이(Argo AI)와 개발 중인 4세대 자율주행 자동차이다. 포드는 아르고에이아이에 10억 달러를 투자하여 80%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 4세대 자율주행 자동차는 고화질 카메라와 고감도 레이더 센서 및 고급 라이다(LiDAR) 기술 등을 적용했다.
 
 
== 한국 딜러사 ==
 
포드 자동차의 한국 딜러사는 [[선인자동차㈜]], [[프리미어모터스㈜]], [[㈜더파크모터스]] 등이 있다.
 
  
 
==미래 계획==
 
==미래 계획==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