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 머스탱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6세대 머스탱.jpg|썸네일|300픽셀|'''포드 머스탱'''(Ford Mustang)]]
+
[[파일:6세대 머스탱.jpg|썸네일|300픽셀|'''머스탱'''(Mustang)]]
 
[[파일:포드 글자.png|썸네일|300픽셀|'''[[포드]]'''(Ford)]]
 
[[파일:포드 글자.png|썸네일|300픽셀|'''[[포드]]'''(Ford)]]
  
'''포드 머스탱'''(Mustang)은 미국의 자동차 회사인 '''[[포드]]'''(Ford)가 1964년 후반에 출시한 [[자동차]]이다. 2021년 기준, 현행 모델은 2014년부터 판매를 개시한 6세대이다. [[쉐보레 콜벳]](Chevrolet Corvette), [[포드]] [[픽업트럭]]과 함께 미국을 상징하는 차량들 중 하나로, [[포니카]]와 [[머슬카]]를 통틀어서 제일 인지도가 높은 모델이다. 흔히 '''무스탕'''이라고 부르기도 하나 머스탱이 정확한 발음이다. 차명인 머스탱은 야생마라는 뜻으로, 차량 엠블럼 또한 달리는 말 모양이다.
+
'''머스탱'''(Mustang)은 미국의 자동차 회사인 '''[[포드]]'''(Ford)가 1964년 후반에 출시한 [[자동차]]이다. 2021년 기준, 현행 모델은 2014년부터 판매를 개시한 6세대이다. [[쉐보레 콜벳]](Chevrolet Corvette), [[포드]] [[픽업트럭]]과 함께 미국을 상징하는 차량들 중 하나로, [[포니카]]와 [[머슬카]]를 통틀어서 제일 인지도가 높은 모델이다. 흔히 '''무스탕'''이라고 부르기도 하나 머스탱이 정확한 발음이다. 차명인 머스탱은 야생마라는 뜻으로, 차량 엠블럼 또한 달리는 말 모양이다.
 
{{:자동차 배너}}
 
{{:자동차 배너}}
  
 
==개요==
 
==개요==
포드 머스탱은 지난 1964년 처음 세상에 모습을 보였다. 포드는 컴팩트한 사이즈에 대배기량 엔진을 얹은 포니카 시대를 예견하고 1964년 머스탱을 출시했다. 처음 등장한 머스탱은 [[2인승]]이었지만 포드는 여기에 뒷좌석을 추가했고 이후 머스탱은 날개 돋친 듯 팔리기 시작했다.<ref>홍성일 기자,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668 세상에서 가장 '비싼' 포드 머스탱은?]〉, 《더구루》, 2020-02-08</ref> 머스탱은 첫 출시 이후 끊임 없이 생산중인 미국 자동차의 대표적인 장수 모델이다. 긴 역사만큼 재미있는 스토리도 많고 미디어에서도 상당히 자주 다루었다.<ref name="나무">〈[https://namu.wiki/w/%ED%8F%AC%EB%93%9C%20%EB%A8%B8%EC%8A%A4%ED%83%B1 포드 머스탱]〉, 《나무위키》</ref> 2017년 세계 머스탱 등록 대수는 125,809대로,  스포츠 쿠페 차량 등록 대수에서 세계 1위를 차지했다.<ref>카가이 인턴, 〈[http://www.carguy.kr/news/articleView.html?idxno=31588 포드 머스탱,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스포츠 쿠페로 선정]〉, 《카가이》, 2018-04-18</ref> 2019년에는 전 세계 스포츠카 가운데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이 포드 머스탱인 것으로 집계되기도 했다. 세계적인 시장 정보 분석 및 제공 업체인 IHS마켓에 따르면 머스탱의 2019년 판매 대수는 10만 2,090대로 단일 모델로는 스포츠카 가운데 가장 많이 팔렸다.<ref>민병권 기자,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1009 세계 시장에서 먹힌 미국 야생마, 포드 머스탱]〉, 《디지털투데이》, 2020-04-21</ref> 이로써 포드 머스탱은 5년 연속 스포츠가 부문 글로벌 베스트셀링카 타이틀을 차지하는 한편 2020년에는 남자들이 선호하는 머슬카 탑10 중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ref>〈[http://autos.koreadaily.com/%ED%8F%AC%EB%93%9C-%EB%A8%B8%EC%8A%A4%ED%83%B1-1%EB%93%B1-%EB%82%A8%EC%9E%90%EB%93%A4%EC%9D%98-%EC%84%A0%ED%98%B8%ED%95%98%EB%8A%94-top-10-%EB%A8%B8%EC%8A%AC%EC%B9%B4/ ‘포드 머스탱’ 1등, 남자들의 선호하는 TOP 10 머슬카]〉, 《온더로드》, 2020-12-30</ref> 이렇듯 머스탱은 지난 50년 동안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스포츠카]]의 자리도 유지하고 있다. 전 세계  146개 나라에서 판매되고 있는 머스탱은 에코 부스트, GT, GT350 , 불릿(BULLITT), 쉘비(Shelby) 등 12개의 파생모델을 가지고 있다.<ref>김흥식 기자, 〈[http://www.autohera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730 포르쉐 말고 '포드 머스탱'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스포츠카]〉, 《오토헤럴드》, 2020-04-18</ref>
+
머스탱은 지난 1964년 처음 세상에 모습을 보였다. 포드는 컴팩트한 사이즈에 대배기량 엔진을 얹은 포니카 시대를 예견하고 1964년 머스탱을 출시했다. 처음 등장한 머스탱은 [[2인승]]이었지만 포드는 여기에 뒷좌석을 추가했고 이후 머스탱은 날개 돋친 듯 팔리기 시작했다.<ref>홍성일 기자,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8668 세상에서 가장 '비싼' 포드 머스탱은?]〉, 《더구루》, 2020-02-08</ref> 머스탱은 첫 출시 이후 끊임 없이 생산중인 미국 자동차의 대표적인 장수 모델이다. 긴 역사만큼 재미있는 스토리도 많고 미디어에서도 상당히 자주 다루었다.<ref name="나무">〈[https://namu.wiki/w/%ED%8F%AC%EB%93%9C%20%EB%A8%B8%EC%8A%A4%ED%83%B1 포드 머스탱]〉, 《나무위키》</ref> 2017년 세계 머스탱 등록 대수는 125,809대로,  스포츠 쿠페 차량 등록 대수에서 세계 1위를 차지했다.<ref>카가이 인턴, 〈[http://www.carguy.kr/news/articleView.html?idxno=31588 포드 머스탱,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스포츠 쿠페로 선정]〉, 《카가이》, 2018-04-18</ref> 2019년에는 전 세계 스포츠카 가운데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이 포드 머스탱인 것으로 집계되기도 했다. 세계적인 시장 정보 분석 및 제공 업체인 IHS마켓에 따르면 머스탱의 2019년 판매 대수는 10만 2,090대로 단일 모델로는 스포츠카 가운데 가장 많이 팔렸다.<ref>민병권 기자,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1009 세계 시장에서 먹힌 미국 야생마, 포드 머스탱]〉, 《디지털투데이》, 2020-04-21</ref> 이로써 포드 머스탱은 5년 연속 스포츠가 부문 글로벌 베스트셀링카 타이틀을 차지하는 한편 2020년에는 남자들이 선호하는 머슬카 탑10 중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ref>〈[http://autos.koreadaily.com/%ED%8F%AC%EB%93%9C-%EB%A8%B8%EC%8A%A4%ED%83%B1-1%EB%93%B1-%EB%82%A8%EC%9E%90%EB%93%A4%EC%9D%98-%EC%84%A0%ED%98%B8%ED%95%98%EB%8A%94-top-10-%EB%A8%B8%EC%8A%AC%EC%B9%B4/ ‘포드 머스탱’ 1등, 남자들의 선호하는 TOP 10 머슬카]〉, 《온더로드》, 2020-12-30</ref> 이렇듯 머스탱은 지난 50년 동안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스포츠카]]의 자리도 유지하고 있다. 전 세계  146개 나라에서 판매되고 있는 머스탱은 에코 부스트, GT, GT350 , 불릿(BULLITT), 쉘비(Shelby) 등 12개의 파생모델을 가지고 있다.<ref>김흥식 기자, 〈[http://www.autohera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730 포르쉐 말고 '포드 머스탱'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스포츠카]〉, 《오토헤럴드》, 2020-04-18</ref>
  
 
==역사==
 
==역사==
12번째 줄: 12번째 줄:
 
[[파일:포드 머스탱 1세대.png|썸네일|300픽셀|'''머스탱 1세대'''(Mustang 1st)]]
 
[[파일:포드 머스탱 1세대.png|썸네일|300픽셀|'''머스탱 1세대'''(Mustang 1st)]]
  
포드 머스탱의 시작은 1964년 4월, [[뉴욕세계박람회]]에서 공개와 당시에 당일 2만 2천여 대의 주문을 받을 만큼 엄청난 인기를 누렸다. 이는 경제적이면서도 빠르고 새로운 젊은이들은 타겟팅한 전략의 성공이었다.<ref name="김성민">김성민 에디터, 〈[http://motornomad.co.kr/magazine/?q=YToy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zOjQ6InBhZ2UiO2k6MTt9&bmode=view&idx=6013238&t=board&category=3q40B6288Q (자동차 리뷰) 아메리칸 머슬카의 자존심, 포드 머스탱 (1) - 머스탱의 역사와 변화]〉, 《모터노마드》</ref> 포드 머스탱 1세대는 제품 담당 책임자인 도날드 프레이(Donald Frey)가 기획하고, 당시 포드의 사업본부장이었던 리 아이아코카(Lee Iacocca)가 성공시킨 모델이다. 머스탱은 발매 후 2년 만에 세 개의 포드 공장에서 약 150만 대의 머스탱을 생산할 정도로 큰 인기를 누렸다. 초기 프로토타입은 2개의 좌석에 [[엔진]]을 중앙에 두었던 [[로드스터]]였다. 이 초기 모델은 이후 [[링컨]](Lincoln)-[[머큐리]](Mercury) 사업부의 디자인 스튜디오에 있던 데이비드 애쉬와 존 오로스가 4개 좌석의 형태로 리모델링한다. 개발 비용을 줄이기 위해, 기존에 다른 모델에 사용되었던 여러 가지 부품들을 많이 채용했다. 섀시, 현가장치와 동력 전달 계통 부품의 대부분을 포드 팰콘과 포드 페어레인에서 가져왔고 프레임은 1964년 포드 팰콘에 채택되었던 프레임을 사용했다. 하지만 새 프레임 때문에 발생한 내구성 문제로 좀 더 견고한 [[컨버터블]] 모델이 [[하드탑]] 모델보다 먼저 판매되었다. 머스탱의 전장은 팰콘과 같지만, 축거는 머스탱이 조금 짧다. 전폭 역시 1,732밀리미터로 팰콘보다 61밀리미터 짧다. 6기통 엔진을 탑재한 차중은 1,170킬로그램이고, V8 엔진을 탑재한 모델은 1,360킬로그램이다.<ref name="위키">〈[https://ko.wikipedia.org/wiki/%ED%8F%AC%EB%93%9C_%EB%A8%B8%EC%8A%A4%ED%83%B1 포드 머스탱]〉, 《위키백과》</ref> 대한민국에서는 1969년부터 1972년까지 영화배우 신성일이 직수입하여 타고 다니면서 널리 알려졌다.<ref>김영우 기자, 〈[https://it.donga.com/18817/ (카톡쇼S) 신성일부터 원빈까지, 연예인 자동차 '썰' 풀기]〉, 《아이티동아》, 2014-07-24</ref>
+
머스탱의 시작은 1964년 4월, 뉴욕세계박람회에서 공개와 당시에 당일 2만 2천여 대의 주문을 받을 만큼 엄청난 인기를 누렸다. 이는 경제적이면서도 빠르고 새로운 젊은이들은 타겟팅한 전략의 성공이었다.<ref name="김성민">김성민 에디터, 〈[http://motornomad.co.kr/magazine/?q=YToy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zOjQ6InBhZ2UiO2k6MTt9&bmode=view&idx=6013238&t=board&category=3q40B6288Q (자동차 리뷰) 아메리칸 머슬카의 자존심, 포드 머스탱 (1) - 머스탱의 역사와 변화]〉, 《모터노마드》</ref> 포드 머스탱 1세대는 제품 담당 책임자인 도날드 프레이(Donald Frey)가 기획하고, 당시 포드의 사업본부장이었던 리 아이아코카(Lee Iacocca)가 성공시킨 모델이다. 머스탱은 발매 후 2년 만에 세 개의 포드 공장에서 약 150만 대의 머스탱을 생산할 정도로 큰 인기를 누렸다. 초기 프로토타입은 2개의 좌석에 [[엔진]]을 중앙에 두었던 [[로드스터]]였다. 이 초기 모델은 이후 [[링컨]](Lincoln)-[[머큐리]](Mercury) 사업부의 디자인 스튜디오에 있던 데이비드 애쉬와 존 오로스가 4개 좌석의 형태로 리모델링한다. 개발 비용을 줄이기 위해, 기존에 다른 모델에 사용되었던 여러 가지 부품들을 많이 채용했다. 섀시, 현가장치와 동력 전달 계통 부품의 대부분을 포드 팰콘과 포드 페어레인에서 가져왔고 프레임은 1964년 포드 팰콘에 채택되었던 프레임을 사용했다. 하지만 새 프레임 때문에 발생한 내구성 문제로 좀 더 견고한 [[컨버터블]] 모델이 [[하드탑]] 모델보다 먼저 판매되었다. 머스탱의 전장은 팰콘과 같지만, 축거는 머스탱이 조금 짧다. 전폭 역시 1,732밀리미터로 팰콘보다 61밀리미터 짧다. 6기통 엔진을 탑재한 차중은 1,170킬로그램이고, V8 엔진을 탑재한 모델은 1,360킬로그램이다.<ref name="위키">〈[https://ko.wikipedia.org/wiki/%ED%8F%AC%EB%93%9C_%EB%A8%B8%EC%8A%A4%ED%83%B1 포드 머스탱]〉, 《위키백과》</ref> 대한민국에서는 1969년부터 1972년까지 영화배우 신성일이 직수입하여 타고 다니면서 널리 알려졌다.<ref>김영우 기자, 〈[https://it.donga.com/18817/ (카톡쇼S) 신성일부터 원빈까지, 연예인 자동차 '썰' 풀기]〉, 《아이티동아》, 2014-07-24</ref>
  
 
===2세대===
 
===2세대===
19번째 줄: 19번째 줄:
 
[[파일:포드 머스탱 4세대.jpg|썸네일|300픽셀|'''머스탱 4세대'''(Mustang 4th)]]
 
[[파일:포드 머스탱 4세대.jpg|썸네일|300픽셀|'''머스탱 4세대'''(Mustang 4th)]]
  
포드 머스탱 2세대가 나올 당시, [[미국]]의 [[자동차]] 시장은 엄청난 위기를 겪게 되었다. 1973년 유류 파동으로 인해 미국 시장의 급락과 유가의 급등, 강화된 [[배출가스]] 규제 등으로 고배기량, 고마력을 자랑하던 미국차들에 엄청난 영향을 주며 1974년 [[크라이슬러]](Chrysler)는 [[바라쿠다]](Barracuda)와 [[챌린저]](Challenger)를 단종하기도 했다. [[아메리칸모터스]](American Motors)의 [[재블린]](Javelin)은 1974년에, [[제너럴모터스]](GM)의 [[카마로]](Camaro)와 [[파이어버드]](Firebird)는 1972년 이후로 생산이 중단됐다.<ref name="김성민"></ref> 포드 머스탱 또한 8기통 4.8L 엔진을 갖췄던 1세대 머스탱에서 4기통 I4 2.3L 엔진과 6기통 V6 2.8L 엔진을 적용한 2세대 머스탱이 출시되며 차량의 성능이 떨어지는 사태를 맞이한다. 리 아이아코카는 1세대 머스탱이 최초에 기획된 컨셉과 맞지 않다고 믿고 있었기 때문에, 머스탱 II 프로젝트에는 초기 기획자가 전면에 나서도록 해 2세대 머스탱을 완전히 새롭게 디자인하여 1974년에 발표했다. 머스탱 II는 또 다른 소형차인 포드 [[핀토]](Pinto)와 그 뿌리를 함께 하고 있었다. 미국 시장이 힘든 상황에서도 머스탱 II 판매는 호조를 보여, 첫해에만 400,000만대 이상을 판매했다. 머스탱 II에는 랙 앤 피니언(rack-and-pinion) 방식의 조향장치와 소음과 진동을 상당히 감소시킨 분리형 엔진 서브프레임과 같은 기술이 도입되었다. 2도어 [[쿠페]]와 3도어 [[해치백]] 모델이 있었다.<ref name="위키"></ref>
+
머스탱 2세대가 나올 당시, [[미국]]의 [[자동차]] 시장은 엄청난 위기를 겪게 되었다. 1973년 유류 파동으로 인해 미국 시장의 급락과 유가의 급등, 강화된 [[배출가스]] 규제 등으로 고배기량, 고마력을 자랑하던 미국차들에 엄청난 영향을 주며 1974년 [[크라이슬러]](Chrysler)는 [[바라쿠다]](Barracuda)와 [[챌린저]](Challenger)를 단종하기도 했다. [[아메리칸모터스]](American Motors)의 [[재블린]](Javelin)은 1974년에, [[제너럴모터스]](GM)의 [[카마로]](Camaro)와 [[파이어버드]](Firebird)는 1972년 이후로 생산이 중단됐다.<ref name="김성민"></ref> 포드 머스탱 또한 8기통 4.8L 엔진을 갖췄던 1세대 머스탱에서 4기통 I4 2.3L 엔진과 6기통 V6 2.8L 엔진을 적용한 2세대 머스탱이 출시되며 차량의 성능이 떨어지는 사태를 맞이한다. 리 아이아코카는 1세대 머스탱이 최초에 기획된 컨셉과 맞지 않다고 믿고 있었기 때문에, 머스탱 II 프로젝트에는 초기 기획자가 전면에 나서도록 해 2세대 머스탱을 완전히 새롭게 디자인하여 1974년에 발표했다. 머스탱 II는 또 다른 소형차인 포드 [[핀토]](Pinto)와 그 뿌리를 함께 하고 있었다. 미국 시장이 힘든 상황에서도 머스탱 II 판매는 호조를 보여, 첫해에만 400,000만대 이상을 판매했다. 머스탱 II에는 랙 앤 피니언(rack-and-pinion) 방식의 조향장치와 소음과 진동을 상당히 감소시킨 분리형 엔진 서브프레임과 같은 기술이 도입되었다. 2도어 [[쿠페]]와 3도어 [[해치백]] 모델이 있었다.<ref name="위키"></ref>
  
 
===3세대===
 
===3세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