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 파사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8세대 파사트.jpg|썸네일|300픽셀|'''폭스바겐 파사트'''(Volkswagen Passat)]]
+
[[파일:폭스바겐 파사트.JPG|썸네일|300픽셀|'''폭스바겐 파사트'''(Volkswagen Passat)]]
 
[[파일:폭스바겐 글자.png|썸네일|300픽셀|'''[[폭스바겐]]'''(Volkswagen)]]
 
[[파일:폭스바겐 글자.png|썸네일|300픽셀|'''[[폭스바겐]]'''(Volkswagen)]]
  
'''폭스바겐 파사트'''(Volkswagen Passat)는 [[독일]]의 자동차 메이커인 '''[[폭스바겐]]'''의 D 세그먼트에 속하는 [[전륜구동]] 차종이다. 차명인 파사트는 독일어로 [[무역풍]]을 뜻한다. 경쟁 차량으로는 [[현대 쏘나타]], [[기아 K5]], [[쉐보레 말리부]], [[혼다 어코드]], [[토요타 캠리]], [[닛산 알티마]] 등이 있다.
+
'''폭스바겐 파사트'''<!--파사트-->(Volkswagen Passat)는 독일의 자동차 메이커인 '''[[폭스바겐]]'''의 D 세그먼트에 속하는 전륜구동 차종이다. 차명인 파사트는 독일어로 무역풍을 뜻한다. 경쟁 차량으로는 [[현대자동차㈜]] [[쏘나타]], [[기아]] [[K5]], [[쉐보레]] [[말리부]], [[혼다]] [[어코드]], [[토요타]] [[캠리]], [[닛산]] [[알티마]] 등이 있다.
{{:자동차 배너|폭스바겐}}
 
  
 
==개요==
 
==개요==
폭스바겐 파사트는 폭스바겐의 매우 핵심적이면서도 성공적인 모델 중 하나로 폭스바겐 시대의 시작이라는 모토 아래, 1973년 5월 14일 독일 볼프스부르크 공장에서 첫 번째 생산을 시작하여 2020년 기준 47년간 생산을 계속하고 있다. 해당 모델은 수냉식 엔진, 전륜 구동 및 초현대식 스틸 섀시가 포함된 완전히 새로운 패밀리카의 등장을 알렸다. 파사트는 공랙식 후륜 구동의 후방 엔진을 장착한 타입3인 VW 1600을 계승한 중형 세그먼트 모델이다. 7세대 모델 이후 각 대륙 별로 다양한 버전의 파사트를 제공하고 있다.<ref> 라이드매거진 편집부, 〈[http://www.ridemag.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474 폭스바겐 파사트, 전세계 중형차 중 최초로 누적 생산량 3천만대 돌파]〉, 《라이드매거진》, 2019-04-09</ref>
+
파사트는 폭스바겐의 매우 핵심적이면서도 성공적인 모델 중 하나로 폭스바겐 시대의 시작이라는 모토 아래, 1973년 5월 14일 독일 볼프스부르크 공장에서 첫 번째 생산을 시작하여 2020년 기준 47년간 생산을 계속하고 있다. 해당 모델은 수냉식 엔진, 전륜 구동 및 초현대식 스틸 섀시가 포함된 완전히 새로운 패밀리카의 등장을 알렸다. 파사트는 공랙식 후륜 구동의 후방 엔진을 장착한 타입3인 VW 1600을 계승한 중형 세그먼트 모델이다. 7세대 모델 이후 각 대륙 별로 다양한 버전의 파사트를 제공하고 있다.<ref> 라이드매거진 편집부, 〈[http://www.ridemag.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474 폭스바겐 파사트, 전세계 중형차 중 최초로 누적 생산량 3천만대 돌파]〉, 《라이드매거진》, 2019-04-09</ref>
  
 
==주요 모델==
 
==주요 모델==
21번째 줄: 20번째 줄:
 
|8세대 파사트.jpg|'''8세대 파사트'''
 
|8세대 파사트.jpg|'''8세대 파사트'''
 
}}
 
}}
* '''1세대''' : 1세대 [[아우디 80]]베이스로 하여 1973년에 출시됐다. 프런트 펜더나 도어 패널 등을 공유하며, 세로로 배치된 엔진에 전륜구동 방식이다. 현대자동차㈜ [[포니]]를 디자인 한 것으로도 유명한 조르제토 쥬지아로가 디자인을 하였다. 바디 타입은 2도어 패스트백과 4도어 패스트백이 먼저 선보였고, 이후에 5도어 스테이션 왜건(바리안트)이 추가되었다. 1978년에 페이스 리프트를 거쳐 우레탄 범퍼가 적용되고, 방향 지시등이 헤드 램프 옆으로 옮겨지는 등 단정하게 바뀌었다.
+
* '''1세대''' : 1세대 [[아우디]] 80를 베이스로 하여 1973년에 출시됐다. 프런트 펜더나 도어 패널 등을 공유하며, 세로로 배치된 엔진에 전륜구동 방식이다. 현대자동차㈜ [[포니]]를 디자인 한 것으로도 유명한 조르제토 쥬지아로가 디자인을 하였다. 바디 타입은 2도어 패스트백과 4도어 패스트백이 먼저 선보였고, 이후에 5도어 스테이션 왜건(바리안트)이 추가되었다. 1978년에 페이스 리프트를 거쳐 우레탄 범퍼가 적용되고, 방향 지시등이 헤드 램프 옆으로 옮겨지는 등 단정하게 바뀌었다.
  
* '''2세대''' : 2세대 [[아우디 80]]를 베이스로 하여 여전히 세로로 배치된 엔진에 전륜구동 방식이나, 1984년에는 4륜구동이 추가되었다. 바디 타입은 5도어 해치백과 5도어 스테이션 왜건(바리안트) 등 2가지로 나뉘었고, 1981년에 2세대 파사트를 베이스로 한 4도어 세단인 산타나가 출시되었다.
+
* '''2세대''' : 2세대 아우디 80를 베이스로 하여 여전히 세로로 배치된 엔진에 전륜구동 방식이나, 1984년에는 4륜구동이 추가되었다. 바디 타입은 5도어 해치백과 5도어 스테이션 왜건(바리안트) 등 2가지로 나뉘었고, 1981년에 2세대 파사트를 베이스로 한 4도어 세단인 산타나가 출시되었다.
  
* '''3세대''' : [[아우디]]와의 플랫폼 공유에서 벗어나 독자 노선으로 탈바꿈하여 폭스바겐의 자체 플랫폼이 적용되었고, 세로로 배치된 엔진에서 가로로 배치된 엔진으로 바뀌었다. 에어로 다이내믹한 느낌을 고려한 라디에이터 그릴이 없는 프론트 디자인이 특징이며, 사이드 미러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4도어 세단이 중심이 되어 산타나로부터 파사트에 통합이 되었고, 이 외에 5도어 스테이션 왜건(바리안트)도 있었다. 미국 등 국가에 따라 퀀텀으로 붙여진 차명은 3세대 파사트부터 파사트로 통일되었다.
+
* '''3세대''' : 아우디와의 플랫폼 공유에서 독자 노선으로 탈바꿈하여 폭스바겐의 자체 플랫폼이 적용되었고, 세로로 배치된 엔진에서 가로로 배치된 엔진으로 바뀌었다. 에어로 다이내믹한 느낌을 고려한 라디에이터 그릴이 없는 프론트 디자인이 특징이며, 사이드 미러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4도어 세단이 중심이 되어 산타나로부터 파사트에 통합이 되었고, 이 외에 5도어 스테이션 왜건(바리안트)도 있었다. 미국 등 국가에 따라 퀀텀으로 붙여진 차명은 3세대 파사트부터 파사트로 통일되었다.
  
 
* '''4세대''' : 3세대 파사트의 개성적인 프론트 디자인에서 당시의 3세대 골프와 3세대 제타 등과의 패밀리 룩을 위해 일반적인 라디에이터 그릴이 있는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TDI 커먼레일 디젤 엔진이 처음 도입된 시점도 4세대 파사트부터이다. 4세대부터 대한민국에 공식 수입되기 시작했다.
 
* '''4세대''' : 3세대 파사트의 개성적인 프론트 디자인에서 당시의 3세대 골프와 3세대 제타 등과의 패밀리 룩을 위해 일반적인 라디에이터 그릴이 있는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TDI 커먼레일 디젤 엔진이 처음 도입된 시점도 4세대 파사트부터이다. 4세대부터 대한민국에 공식 수입되기 시작했다.
39번째 줄: 38번째 줄:
 
==특징==
 
==특징==
 
===디자인===
 
===디자인===
새롭게 부분변경을 거쳐 공개된 2020 북미형 파사트는 기존 폭스바겐 브랜드의 공통된 디자인 컨셉이었던, 단조롭고 동그랗던 부드러운 이미지를 탈피하여 전체적으로 날렵해진 외형을 가지고 있다. 내외관 스타일링 변화에 초점을 두고 전면 그릴과 헤드램프에 굵직한 선을 더했으며 리어램프는 더욱 길고 얇아졌다. 실내에는 터치 지원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적용되며, 인조 가죽이나 나파 가죽과 같은 소재와 색상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전면부 디자인은 그릴과 범퍼, 헤드램프 디자인이 변경됐다. LED 주간주행등은 헤드램프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했다. 모든 트림에 LED 헤드램프가 기본 사양이다. 리어램프 내부 그래픽이 변경됐으며, PASSAT 레터링이 트렁크 중앙에 배치됐다. 범퍼 하단에는 일체형 듀얼 머플러팁이 적용됐다. 실내에는 신규 스티어링 휠과 3세대 MIB3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포함된 디스플레이가 탑재됐다. 기존의 아날로그 시계는 삭제됐다. 6.5인치 디스플레이를 기본으로 8인치, 9.2인치 내비게이션 디스플레이가 옵션으로 제공된다.<ref> 김한솔 기자, 〈[https://www.top-rider.com/news/articleView.html?idxno=60113 신형 파사트 GT 디젤 국내 출시 임박, 연비는 14.9km/ℓ]〉, 《탑라이더》, 2020-08-25</ref>
+
새롭게 부분변경을 거쳐 공개된 2020 북미형 파사트는 내외관 스타일링 변화에 초점을 두고 전면 그릴과 헤드램프에 굵직한 선을 더했으며 리어램프는 더욱 길고 얇아졌다. 실내에는 터치 지원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적용되며, 인조 가죽이나 나파 가죽과 같은 소재와 색상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퍼포먼스===
 
===퍼포먼스===
53번째 줄: 52번째 줄:
 
* '''주차 거리 컨트롤'''(Park Distance Control) : 사용 가능한 주차 스티어링 어시스턴트(파크 어시스트)는 운전자의 차량에 충분한 주차 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차량을 평행 또는 수직으로 공간 안팎으로 조향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액셀러레이터, 브레이크, 시프터를 작동시키면 나머지는 작동된다.
 
* '''주차 거리 컨트롤'''(Park Distance Control) : 사용 가능한 주차 스티어링 어시스턴트(파크 어시스트)는 운전자의 차량에 충분한 주차 공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차량을 평행 또는 수직으로 공간 안팎으로 조향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액셀러레이터, 브레이크, 시프터를 작동시키면 나머지는 작동된다.
  
* '''사각지대 모니터'''(Blind Spot Monitor) : 놓칠 수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이다. 만약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려고 한다면, 사각지대 모니터는 운전자의 사각지대에 있을 수 있는 다른 차들을 경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차량에는 레인 어시스트가 장착되어 있을 때 사용 가능한 액티브 사각지대 모니터링도 차량이 사각지대에 있을 때 차선을 변경하려 할 경우 차선을 유지하기 위해 레인 어시스트의 한도 내에서 역방향 조향할 수 있다.
+
* '''사각지대 모니터'''(Blind Spot Monitor) : 사각지대 모니터링은 여러분이 놓칠 수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이다. 만약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려고 한다면, 사각지대 모니터는 운전자의 사각지대에 있을 수 있는 다른 차들을 경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차량에는 레인 어시스트가 장착되어 있을 때 사용 가능한 액티브 사각지대 모니터링도 차량이 사각지대에 있을 때 차선을 변경하려 할 경우 차선을 유지하기 위해 레인 어시스트의 한도 내에서 역방향 조향할 수 있다.
  
* '''후방 교통 경고'''(Rear Traffic Alert) : 백업 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센서는 후진 시 자신의 경로에서 교차하는 감지된 차량을 경고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차량을 제동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
* '''후방 교통 경고'''(Rear Traffic Alert) : 후방 교통 경고 시스템은 백업 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센서는 후진 시 자신의 경로에서 교차하는 감지된 차량을 경고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차량을 제동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 '''라이트 어시스트'''(Light Assist) : 사용 가능한 하이 빔 컨트롤(라이트 어시스트)은 37mph 이상의 속도에서 하이 빔을 자동으로 켜서 어두운 도로의 가시성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백미러 밑면에 장착된 카메라는 당신의 하이 빔을 켜준다. 그리고 나서 그것은 당신보다 앞서가는 차량이나 다가오는 차량의 위치, 차량 속도, 그리고 다른 환경 및 교통 조건에 따라 그것들을 다시 꺼버린다.
 
* '''라이트 어시스트'''(Light Assist) : 사용 가능한 하이 빔 컨트롤(라이트 어시스트)은 37mph 이상의 속도에서 하이 빔을 자동으로 켜서 어두운 도로의 가시성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백미러 밑면에 장착된 카메라는 당신의 하이 빔을 켜준다. 그리고 나서 그것은 당신보다 앞서가는 차량이나 다가오는 차량의 위치, 차량 속도, 그리고 다른 환경 및 교통 조건에 따라 그것들을 다시 꺼버린다.
74번째 줄: 73번째 줄:
 
* '''미디어 및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 6.3 인치 터치 스크린 사운드 시스템을 사용하면 두 가지 이상의 감각을 통해 음악을 경험할 수 있다. 투명 유리 디스플레이 뒤에있는 음성 제어 및 직관적 인 근접 센서를 통해 차이를 보고 느끼고 들을 수 있다.
 
* '''미디어 및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 6.3 인치 터치 스크린 사운드 시스템을 사용하면 두 가지 이상의 감각을 통해 음악을 경험할 수 있다. 투명 유리 디스플레이 뒤에있는 음성 제어 및 직관적 인 근접 센서를 통해 차이를 보고 느끼고 들을 수 있다.
  
* '''펜더 프리미엄 오디오 시스템'''(Fender Premium Audio System) : 펜더 프리미엄 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400와트 앰프와 9개의 스피커를 이용 가능하다.
+
* '''Fender® Premium Audio System''' : 펜더® 프리미엄 오디오 시스템(Fender Premium Audio System)통해 400와트 앰프와 9개의 스피커를 이용 가능하다.
  
 
* '''원격 및 연결 기능''' : 푸시 버튼 시작 기능이 있는 키리스 액세스를 사용하면 주머니에서 키를 꺼내지 않고도 차량을 잠그고, 잠금 해제하고, 시동하고, 운전할 수 있다. 브레이크를 누르고 시작 버튼을 누르면 엔진이 작동하고 작동할 준비가 된다.
 
* '''원격 및 연결 기능''' : 푸시 버튼 시작 기능이 있는 키리스 액세스를 사용하면 주머니에서 키를 꺼내지 않고도 차량을 잠그고, 잠금 해제하고, 시동하고, 운전할 수 있다. 브레이크를 누르고 시작 버튼을 누르면 엔진이 작동하고 작동할 준비가 된다.
81번째 줄: 80번째 줄:
  
 
* '''앱 연결''' : 앱을 시작하려면 호환되는 스마트 폰을 연결하고 선택한 앱이 폭스바겐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지 확인해야한다.<ref name = "폭스바겐 공식 홈페이지"></ref>
 
* '''앱 연결''' : 앱을 시작하려면 호환되는 스마트 폰을 연결하고 선택한 앱이 폭스바겐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지 확인해야한다.<ref name = "폭스바겐 공식 홈페이지"></ref>
 
==서비스==
 
* '''서비스 플러스''' : 보증기간 내 3년 동안 차량의 관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특정 소모품 교환을 지원해주는 서비스 프로그램이다. 폭스바겐 공식 딜러에서 판매된 차량에 적용되며 공식 서비스의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폭스바겐 서비스 플러스는 2020년 7월 1일 이후 등록한 차량에 적용된다. 서비스 항목과 모델 별 제공 횟수로는 정기점검과 엔진오일+오일필터의 경우 모델 공통 3회, 에어컨필터와 에어클리너의 경우 모델 공통 1회, 디젤 모델 한정으로 요소수의 경우 [[아테온]], [[투아렉]] 모델 3회, 와이퍼블레이드의 경우 투아렉 모델 2회가 제공된다.
 
 
* '''케어프리 서비스''' : 보증기간 내 3년동안 서비스 주기에 맞추어 체계적인 차량관리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교체 빈도가 높은 소모품 항목을 서비스 주기에 따라 횟수 제한 없이 무제한으로 제공해주며, 각 모델의 서비스 주기에 맞추어 공식 서비스센터의 체계적인 차량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폭스바겐 케어프리 서비스는 2018년 3월부터 2020년 6월 30일까지 등록된 차량에 적용된다. 서비스 항목과 서비스 주기는 정기점검의 경우 서비스 경고등 점등 또는 매 30,000km 또는 2년 선도래 시, 엔진오일+오일필터의 경우 서비스 경고등 점등 또는 디젤 모델은 매 30,000km 또는 2년 선도래 시, 가솔린 모델은 매 15,000km 또는 1년 선도래 시에 제공된다. 에어컨필터의 경우 60,000km 또는 2년 선도래 시, 에어클리너의 경우 디젤 모델은 매 2번째 엔진오일 교체 시, 가솔린 모델은 매 4번째 엔진오일 교체 시 제공된다. 디젤 모델의 연료필터의 경우 매 3번째 엔진오일 교체 시 제공되며, 가솔린 모델의 점화플러그의 경우 매 60,000km마다 서비스가 제공된다.
 
 
* '''서비스 패키지''' : 차량 관리에 꼭 필요한 소모품들을 최대 30%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해주는 패키지 상품이다. 부품 및 공임을 최대 30%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구입 가능하며, 차량관리에 꼭 필요한 소모품으로 구성되었고, 구매 후 부품 및 공임이 인상되어도 추가 비용이 없다. 또한 엔진오일 패키지 구매 시 무상점검 2회 제공되며, 구매일로부터 5년이라는 넉넉한 사용기간을 가진다.
 
 
* '''중고차 웰컴 서비스''' : 중고차를 구매했다면, 보증기간이 끝났더라도, 공식 서비스를 합리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준비되었다. 중고차 등록일로부터 6개월 이내 공식 서비스를 첫 방문한 중고차 고객인 경우 무상 차량 점검 서비스와 첫 방문 서비스 30% 할인 혜택이 제공된다.
 
 
* '''모빌리티 개런티''' : 폭스바겐 공식 딜러에서 구입한 차량에 대한 종합 서비스 관리 프로그램이며, 보증 수리 기간 내에 차량 운행 중 갑작스러운 문제 발생 시 24시간 고객지원센터로 연락하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보증 수리 기간 내에 운행 중 차량의 문제가 발생한 경우 긴급출동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연료 주입 서비스는 연 2회까지 가능하며, 계기판 주행가능 거리 표시가 '0'일 경우에만 서비스가 제공된다. 배터리 점프 서비스는 연 5회까지 제공 받을 수 있다. 차량의 고장으로 인해 운행이 불가능하거나 긴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가장 가까운 서비스센터로 무상 견인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연 1회 거주지로부터 10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 차량운행이 불가하여 지정서비스센터에서 차량 수리로 인해 숙박하게 될 경우 20만원까지의 숙박비를 지원준다.
 
 
* '''사고 차량 지원''' : 폭스바겐 오너를 위한 사고 차량 지원 프로그램은 갑작스러운 사고 시 견인 등의 현장지원부터 보험, 수리 등 처음부터 끝까지 책임져준다. 사고 발생에서 수리 기간 동안 사용한 교통비를 지원해주고, 사고 수리 시 수리 금액에 따라 최대 20만원 금액의 서비스 바우처를 고객에게 발급해주며, 사고 차량의 견적금액이 잔존가를 초과하는 차량에 대해 고객이 수리를 원할 경우 최대 30%까지 부품 할인을 지원해준다. 또한 사고 발생 지점에서 서비스센터까지 혹은 서비스센터에서 고객이 원하시는 장소까지의 이동 중 1회에 한해 무상 탁송 서비스를 제공해준다.<ref name = "폭스바겐 공식 홈페이지"></ref>
 
  
 
==제원==
 
==제원==
145번째 줄: 131번째 줄:
 
|align=center|25.5kg.m
 
|align=center|25.5kg.m
 
|align=center|40.8kg.m
 
|align=center|40.8kg.m
|align=center|40.8kg.m
+
|align=center|32.6kg.m
 
|-
 
|-
 
|align=center|연비
 
|align=center|연비
 
|align=center|자동 12.1 km/ℓ
 
|align=center|자동 12.1 km/ℓ
 
|align=center|DCT 13.6~15.1 km/ℓ
 
|align=center|DCT 13.6~15.1 km/ℓ
|align=center|DCT 14.9 km/ℓ
+
|align=center|DCT 9~11 km/ℓ
 
|-
 
|-
 
|align=center|구동방식
 
|align=center|구동방식
165번째 줄: 151번째 줄:
 
==현황==
 
==현황==
 
2023년 9세대 파사트가 기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와 순수 자동차 등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폭스바겐 그룹의 모듈형 플랫폼인 MQB(Modular Transverse Matrix)를 이용해 차체 크기를 키우고, 현행 파사트 대비 약 50mm가 늘어날 휠베이스는 더욱 넉넉한 실내공간을 확보한다. 또한 기존에 가로배치 형태로 탑재되던 엔진 위치를 세로방향으로 변경시켜 무게배분과 주행성능의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ref> 김민정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017206625770560&mediaCodeNo=257&gtrack=sok 폭스바겐, 9세대 '파사트' 2023년 출시 예정…국내는?]〉, 《이데일리》, 2020-05-19</ref> 폭스바겐이 9세대 파사트에 세로배치 엔진을 탑재할 경우 기존 전륜구동 방식에서 후륜구동 및 후륜기반 4륜구동 방식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지만, 기존의 전륜구동 방식을 그대로 고수할 경우 같은 그룹내 아우디의 엔진 배치방식을 활용할 것으로 전해진다. 아우디의 경우 전륜구동 및 전륜기반 4륜구동 시스템인 콰트로를 활용하면서 세로형 엔진 배치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파워트레인은 기존 가솔린과 디젤 라인업 이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가 전면에 나선다. 폭스바겐은 9세대 파사트가 데뷔하는 2023년에는 충전 시스템이 현재보다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앞세워 친환경 중심의 라인업 개편도 동시에 안착시킨다는 전략이다. 대형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로터리 방식의 전자식 기어레버가 적용될 예정이다.<ref> 〈[http://www.dailycar.co.kr/content/news.html?type=view&autoId=36561 폭스바겐, 9세대로 변신하는 파사트..PHEV 국내 투입할까?]〉, 《데일리카》, 2020-05-15</ref>
 
2023년 9세대 파사트가 기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와 순수 자동차 등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폭스바겐 그룹의 모듈형 플랫폼인 MQB(Modular Transverse Matrix)를 이용해 차체 크기를 키우고, 현행 파사트 대비 약 50mm가 늘어날 휠베이스는 더욱 넉넉한 실내공간을 확보한다. 또한 기존에 가로배치 형태로 탑재되던 엔진 위치를 세로방향으로 변경시켜 무게배분과 주행성능의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ref> 김민정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017206625770560&mediaCodeNo=257&gtrack=sok 폭스바겐, 9세대 '파사트' 2023년 출시 예정…국내는?]〉, 《이데일리》, 2020-05-19</ref> 폭스바겐이 9세대 파사트에 세로배치 엔진을 탑재할 경우 기존 전륜구동 방식에서 후륜구동 및 후륜기반 4륜구동 방식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지만, 기존의 전륜구동 방식을 그대로 고수할 경우 같은 그룹내 아우디의 엔진 배치방식을 활용할 것으로 전해진다. 아우디의 경우 전륜구동 및 전륜기반 4륜구동 시스템인 콰트로를 활용하면서 세로형 엔진 배치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파워트레인은 기존 가솔린과 디젤 라인업 이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가 전면에 나선다. 폭스바겐은 9세대 파사트가 데뷔하는 2023년에는 충전 시스템이 현재보다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앞세워 친환경 중심의 라인업 개편도 동시에 안착시킨다는 전략이다. 대형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로터리 방식의 전자식 기어레버가 적용될 예정이다.<ref> 〈[http://www.dailycar.co.kr/content/news.html?type=view&autoId=36561 폭스바겐, 9세대로 변신하는 파사트..PHEV 국내 투입할까?]〉, 《데일리카》, 2020-05-15</ref>
2020년 9월 [[국토교통부]]는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파사트 1.8 TSI GP 등 2개 차종 916대에 대해 앞 좌석 등받이 조절 레버가 반대 방향으로 장착돼 등받이 고정이 불안정하고 사고 발생 시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있어 리콜 조치를 내렸다.<ref> 박한용 기자, 〈[http://www.gp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67491 현대·기아차, 볼보, 아우디폭스바겐 등 2만7000여대 리콜 행렬]〉, 《지피코리아》, 2020-09-22</ref>
+
[[국토교통부]]는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파사트 1.8 TSI GP 등 2개 차종 916대에 대해 앞 좌석 등받이 조절 레버가 반대 방향으로 장착돼 등받이 고정이 불안정하고 사고 발생 시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있어 리콜 조치를 내렸다.<ref> 박한용 기자, 〈[http://www.gp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67491 현대·기아차, 볼보, 아우디폭스바겐 등 2만7000여대 리콜 행렬]〉, 《지피코리아》, 2020-09-22</ref>
  
 
{{각주}}
 
{{각주}}
177번째 줄: 163번째 줄:
 
* 〈[http://www.dailycar.co.kr/content/news.html?type=view&autoId=35122 폭스바겐, 쏘나타보다 저렴한 파사트 공개..한국시장 투입하나?]〉, 《데일리카》, 2019-11-13
 
* 〈[http://www.dailycar.co.kr/content/news.html?type=view&autoId=35122 폭스바겐, 쏘나타보다 저렴한 파사트 공개..한국시장 투입하나?]〉, 《데일리카》, 2019-11-13
 
* 김한솔 기자, 〈[https://www.top-rider.com/news/articleView.html?idxno=28616 폭스바겐 파사트 부분변경 미국내 출시, 한국은?]〉, 《탑라이더》, 2019-11-27
 
* 김한솔 기자, 〈[https://www.top-rider.com/news/articleView.html?idxno=28616 폭스바겐 파사트 부분변경 미국내 출시, 한국은?]〉, 《탑라이더》, 2019-11-27
* 김한솔 기자, 〈[https://www.top-rider.com/news/articleView.html?idxno=60113 신형 파사트 GT 디젤 국내 출시 임박, 연비는 14.9km/ℓ]〉, 《탑라이더》, 2020-08-25
 
 
* 폭스바겐 파사트 네이버 자동차 - https://auto.naver.com/car/lineup.nhn?yearsId=129033
 
* 폭스바겐 파사트 네이버 자동차 - https://auto.naver.com/car/lineup.nhn?yearsId=129033
 
* 김민정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017206625770560&mediaCodeNo=257&gtrack=sok 폭스바겐, 9세대 '파사트' 2023년 출시 예정…국내는?]〉, 《이데일리》, 2020-05-19
 
* 김민정 기자,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017206625770560&mediaCodeNo=257&gtrack=sok 폭스바겐, 9세대 '파사트' 2023년 출시 예정…국내는?]〉, 《이데일리》, 2020-05-19
185번째 줄: 170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폭스바겐]]
 
* [[폭스바겐]]
* [[현대 쏘나타]]
 
* [[기아 K5]]
 
* [[쉐보레 말리부]]
 
* [[토요타 캠리]]
 
* [[혼다 어코드]]
 
* [[닛산 알티마]]
 
  
{{독일 자동차|검토 필요}}
+
{{자동차 종류|검토 필요}}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