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 파사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폭스바겐 글자.png|썸네일|300픽셀|'''[[폭스바겐]]'''(Volkswagen)]]
 
[[파일:폭스바겐 글자.png|썸네일|300픽셀|'''[[폭스바겐]]'''(Volkswagen)]]
  
'''폭스바겐 파사트'''(Volkswagen Passat)는 [[독일]]의 자동차 메이커인 '''[[폭스바겐]]'''의 D 세그먼트에 속하는 [[전륜구동]] 차종이다. 차명인 파사트는 독일어로 [[무역풍]]을 뜻한다. 경쟁 차량으로는 [[현대 쏘나타]], [[기아 K5]], [[쉐보레 말리부]], [[혼다 어코드]], [[토요타 캠리]], [[닛산 알티마]] 등이 있다.
+
'''파사트'''(Passat)는 독일의 자동차 메이커인 '''[[폭스바겐]]'''의 D 세그먼트에 속하는 전륜구동 차종이다. 차명인 파사트는 독일어로 [[무역풍]]을 뜻한다. '''폭스바겐 파사트'''(Volkswagen Passat)라고 한다. 경쟁 차량으로는 [[현대자동차㈜]]의 [[쏘나타]], [[기아]] [[K5]], [[쉐보레]] [[말리부]], [[혼다]] [[어코드]], [[토요타]] [[캠리]], [[닛산]] [[알티마]] 등이 있다.
 
{{:자동차 배너|폭스바겐}}
 
{{:자동차 배너|폭스바겐}}
  
 
==개요==
 
==개요==
폭스바겐 파사트는 폭스바겐의 매우 핵심적이면서도 성공적인 모델 중 하나로 폭스바겐 시대의 시작이라는 모토 아래, 1973년 5월 14일 독일 볼프스부르크 공장에서 첫 번째 생산을 시작하여 2020년 기준 47년간 생산을 계속하고 있다. 해당 모델은 수냉식 엔진, 전륜 구동 및 초현대식 스틸 섀시가 포함된 완전히 새로운 패밀리카의 등장을 알렸다. 파사트는 공랙식 후륜 구동의 후방 엔진을 장착한 타입3인 VW 1600을 계승한 중형 세그먼트 모델이다. 7세대 모델 이후 각 대륙 별로 다양한 버전의 파사트를 제공하고 있다.<ref> 라이드매거진 편집부, 〈[http://www.ridemag.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474 폭스바겐 파사트, 전세계 중형차 중 최초로 누적 생산량 3천만대 돌파]〉, 《라이드매거진》, 2019-04-09</ref>
+
파사트는 폭스바겐의 매우 핵심적이면서도 성공적인 모델 중 하나로 폭스바겐 시대의 시작이라는 모토 아래, 1973년 5월 14일 독일 볼프스부르크 공장에서 첫 번째 생산을 시작하여 2020년 기준 47년간 생산을 계속하고 있다. 해당 모델은 수냉식 엔진, 전륜 구동 및 초현대식 스틸 섀시가 포함된 완전히 새로운 패밀리카의 등장을 알렸다. 파사트는 공랙식 후륜 구동의 후방 엔진을 장착한 타입3인 VW 1600을 계승한 중형 세그먼트 모델이다. 7세대 모델 이후 각 대륙 별로 다양한 버전의 파사트를 제공하고 있다.<ref> 라이드매거진 편집부, 〈[http://www.ridemag.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474 폭스바겐 파사트, 전세계 중형차 중 최초로 누적 생산량 3천만대 돌파]〉, 《라이드매거진》, 2019-04-09</ref>
  
 
==주요 모델==
 
==주요 모델==
21번째 줄: 21번째 줄:
 
|8세대 파사트.jpg|'''8세대 파사트'''
 
|8세대 파사트.jpg|'''8세대 파사트'''
 
}}
 
}}
* '''1세대''' : 1세대 [[아우디 80]]베이스로 하여 1973년에 출시됐다. 프런트 펜더나 도어 패널 등을 공유하며, 세로로 배치된 엔진에 전륜구동 방식이다. 현대자동차㈜ [[포니]]를 디자인 한 것으로도 유명한 조르제토 쥬지아로가 디자인을 하였다. 바디 타입은 2도어 패스트백과 4도어 패스트백이 먼저 선보였고, 이후에 5도어 스테이션 왜건(바리안트)이 추가되었다. 1978년에 페이스 리프트를 거쳐 우레탄 범퍼가 적용되고, 방향 지시등이 헤드 램프 옆으로 옮겨지는 등 단정하게 바뀌었다.
+
* '''1세대''' : 1세대 [[아우디]] 80를 베이스로 하여 1973년에 출시됐다. 프런트 펜더나 도어 패널 등을 공유하며, 세로로 배치된 엔진에 전륜구동 방식이다. 현대자동차㈜ [[포니]]를 디자인 한 것으로도 유명한 조르제토 쥬지아로가 디자인을 하였다. 바디 타입은 2도어 패스트백과 4도어 패스트백이 먼저 선보였고, 이후에 5도어 스테이션 왜건(바리안트)이 추가되었다. 1978년에 페이스 리프트를 거쳐 우레탄 범퍼가 적용되고, 방향 지시등이 헤드 램프 옆으로 옮겨지는 등 단정하게 바뀌었다.
  
* '''2세대''' : 2세대 [[아우디 80]]를 베이스로 하여 여전히 세로로 배치된 엔진에 전륜구동 방식이나, 1984년에는 4륜구동이 추가되었다. 바디 타입은 5도어 해치백과 5도어 스테이션 왜건(바리안트) 등 2가지로 나뉘었고, 1981년에 2세대 파사트를 베이스로 한 4도어 세단인 산타나가 출시되었다.
+
* '''2세대''' : 2세대 아우디 80를 베이스로 하여 여전히 세로로 배치된 엔진에 전륜구동 방식이나, 1984년에는 4륜구동이 추가되었다. 바디 타입은 5도어 해치백과 5도어 스테이션 왜건(바리안트) 등 2가지로 나뉘었고, 1981년에 2세대 파사트를 베이스로 한 4도어 세단인 산타나가 출시되었다.
  
* '''3세대''' : [[아우디]]와의 플랫폼 공유에서 벗어나 독자 노선으로 탈바꿈하여 폭스바겐의 자체 플랫폼이 적용되었고, 세로로 배치된 엔진에서 가로로 배치된 엔진으로 바뀌었다. 에어로 다이내믹한 느낌을 고려한 라디에이터 그릴이 없는 프론트 디자인이 특징이며, 사이드 미러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4도어 세단이 중심이 되어 산타나로부터 파사트에 통합이 되었고, 이 외에 5도어 스테이션 왜건(바리안트)도 있었다. 미국 등 국가에 따라 퀀텀으로 붙여진 차명은 3세대 파사트부터 파사트로 통일되었다.
+
* '''3세대''' : 아우디와의 플랫폼 공유에서 독자 노선으로 탈바꿈하여 폭스바겐의 자체 플랫폼이 적용되었고, 세로로 배치된 엔진에서 가로로 배치된 엔진으로 바뀌었다. 에어로 다이내믹한 느낌을 고려한 라디에이터 그릴이 없는 프론트 디자인이 특징이며, 사이드 미러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4도어 세단이 중심이 되어 산타나로부터 파사트에 통합이 되었고, 이 외에 5도어 스테이션 왜건(바리안트)도 있었다. 미국 등 국가에 따라 퀀텀으로 붙여진 차명은 3세대 파사트부터 파사트로 통일되었다.
  
 
* '''4세대''' : 3세대 파사트의 개성적인 프론트 디자인에서 당시의 3세대 골프와 3세대 제타 등과의 패밀리 룩을 위해 일반적인 라디에이터 그릴이 있는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TDI 커먼레일 디젤 엔진이 처음 도입된 시점도 4세대 파사트부터이다. 4세대부터 대한민국에 공식 수입되기 시작했다.
 
* '''4세대''' : 3세대 파사트의 개성적인 프론트 디자인에서 당시의 3세대 골프와 3세대 제타 등과의 패밀리 룩을 위해 일반적인 라디에이터 그릴이 있는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TDI 커먼레일 디젤 엔진이 처음 도입된 시점도 4세대 파사트부터이다. 4세대부터 대한민국에 공식 수입되기 시작했다.
185번째 줄: 185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폭스바겐]]
 
* [[폭스바겐]]
* [[현대 쏘나타]]
 
* [[기아 K5]]
 
* [[쉐보레 말리부]]
 
* [[토요타 캠리]]
 
* [[혼다 어코드]]
 
* [[닛산 알티마]]
 
  
 
{{독일 자동차|검토 필요}}
 
{{독일 자동차|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