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노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8번째 줄: 18번째 줄:
 
==활용==
 
==활용==
 
===비트코인===
 
===비트코인===
 +
* '''비트코인 코어'''
 
[[파일:비트코인 로고.png|썸네일|200픽셀|'''비트코인'''(bitcoin) 로고]]
 
[[파일:비트코인 로고.png|썸네일|200픽셀|'''비트코인'''(bitcoin) 로고]]
  
풀노드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필수적인 것으로, 비트코인에 실제로 보안을 지원하고 제공한다. 풀노드는 시스템 합의 규칙에 관한 [[트랜잭션]]과 블록을 확인하는 과정에 관여하여 완전한 검증 노드라 일컬어진다. 이를 통해 새로운 블록과 트랜잭션들을 블록체인에 전송할 수 있다.
+
: 풀노드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필수적인 것으로, 비트코인에 실제로 보안을 지원하고 제공한다. 풀노드는 시스템 합의 규칙에 관한 [[트랜잭션]]과 블록을 확인하는 과정에 관여하여 완전한 검증 노드라 일컬어진다. 이를 통해 새로운 블록과 트랜잭션들을 블록체인에 전송할 수 있다.
  
비트코인 풀노드는 '''[[비트코인 코어]]'''(Bitcoin Core) 등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완전한 블록체인 데이터를 내려받고 보존한다. 또한 방송 통신, 정보 [[암호화]] 및 암호 해독, [[합의 알고리즘]], 거래 인증 알고리즘을 통해 블록체인 거래 네트워크의 혼잡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한다.<ref name="바이낸스">〈[https://www.binance.vision/ko/blockchain/what-are-nodes 노드란 무엇인가요?]〉, 《바이낸스 아카데미》, 2018-08-12</ref> 일반 사용자부터 채굴자까지 모두 비트코인 네트워크 중 하나의 노드로 볼 수 있는데, 비트코인은 다중심화 특징을 갖고 있어 전체 네트워크 중에서도 비트코인 풀 노드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노드가 필요하다.<ref>〈[https://okcoinkr.zendesk.com/hc/ko/articles/360018252652-%EB%B8%94%EB%A1%9D%EC%B2%B4%EC%9D%B8-%EA%B8%B0%EC%88%A0-%EC%9A%A9%EC%96%B4 블록체인 기술용어]〉, 《오케이코인 코리아》, 2018-11-19</ref>
+
: 비트코인 풀노드는 '''[[비트코인 코어]]'''(Bitcoin Core) 등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완전한 블록체인 데이터를 내려받고 보존한다. 또한 방송 통신, 정보 [[암호화]] 및 암호 해독, [[합의 알고리즘]], 거래 인증 알고리즘을 통해 블록체인 거래 네트워크의 혼잡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한다.<ref name="바이낸스">〈[https://www.binance.vision/ko/blockchain/what-are-nodes 노드란 무엇인가요?]〉, 《바이낸스 아카데미》, 2018-08-12</ref> 일반 사용자부터 채굴자까지 모두 비트코인 네트워크 중 하나의 노드로 볼 수 있는데, 비트코인은 다중심화 특징을 갖고 있어 전체 네트워크 중에서도 비트코인 풀 노드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노드가 필요하다.<ref>〈[https://okcoinkr.zendesk.com/hc/ko/articles/360018252652-%EB%B8%94%EB%A1%9D%EC%B2%B4%EC%9D%B8-%EA%B8%B0%EC%88%A0-%EC%9A%A9%EC%96%B4 블록체인 기술용어]〉, 《오케이코인 코리아》, 2018-11-19</ref>
  
비트코인 초기에는 사용자 수가 적어,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컴퓨터]]를 실행하는 모든 클라이언트 개개인을 하나의 풀 노드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노드는 전체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보관한다. 네트워크에서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를 수신한 노드는 해당 거래에 대한 안전성과 준수 여부 등에 대한 검증을 한다.<ref name="산마루"></ref> 이후 검증에서 통과된 거래는 전체 네트워크에서 다른 노드에게로 전송된다. 따라서 데이터가 한 번 생성되면 이를 변조할 수 없게 된다. 즉, 비트코인 풀 노드의 수량이 많을수록 비트코인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더욱 안전해진다.
+
: 비트코인 초기에는 사용자 수가 적어,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컴퓨터]]를 실행하는 모든 클라이언트 개개인을 하나의 풀 노드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노드는 전체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보관한다. 네트워크에서 생성된 거래마다 정보를 수신한 노드는 해당 거래에 대한 안전성과 준수 여부 등에 대한 검증을 한다.<ref name="산마루"></ref> 이후 검증에서 통과된 거래는 전체 네트워크에서 다른 노드에게로 전송된다. 따라서 데이터가 한 번 생성되면 이를 변조할 수 없게 된다. 즉, 비트코인 풀 노드의 수량이 많을수록 비트코인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더욱 안전해진다.
  
* '''비트코인 코어'''
 
 
: 비트코인 풀노드는 다른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지만, 비트코인 코어(Bitcoin Core)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ref name="바이낸스"></ref> 비트코인 네트워크 상에서 거래를 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먼저 비트코인 노드에 연결해야 한다. 비트코인 풀노드는 100GB가 넘는 분산원장 데이터가 다 들어있는 노드로, 메모리 크기가 작은 노트북 [[하드웨어]] 용량에 맞먹는다. 방대한 용량이 필요하지만 풀노드만 가진 장점도 있는데, 정확한 [[금융]] 정보를 얻기 위해서 제3자에게 의존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비트코인의 가치는 신뢰가 필요없는 공유원장이라는 데 있다. 따라서 원칙을 고수하는 일부 보수적인 개발자들은 풀노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곧 비트코인의 기본 목적을 위배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 코어의 개발자인 [[쇼즈 브로부스트]](Sjors Provoost)는 풀노드를 사용하면 비트코인이 실재하는 블록체인이라는 사실을 인식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며 [[세그윗2x]](Segwit 2x)를 그 근거로 들었다. 세그윗2x는 2017년에 추진되었다가 커뮤니티의 반발로 무산된 비트코인의 블록 크기를 두 배로 늘리는 [[하드포크]]이다.
 
: 비트코인 풀노드는 다른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지만, 비트코인 코어(Bitcoin Core)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ref name="바이낸스"></ref> 비트코인 네트워크 상에서 거래를 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먼저 비트코인 노드에 연결해야 한다. 비트코인 풀노드는 100GB가 넘는 분산원장 데이터가 다 들어있는 노드로, 메모리 크기가 작은 노트북 [[하드웨어]] 용량에 맞먹는다. 방대한 용량이 필요하지만 풀노드만 가진 장점도 있는데, 정확한 [[금융]] 정보를 얻기 위해서 제3자에게 의존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비트코인의 가치는 신뢰가 필요없는 공유원장이라는 데 있다. 따라서 원칙을 고수하는 일부 보수적인 개발자들은 풀노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곧 비트코인의 기본 목적을 위배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 코어의 개발자인 [[쇼즈 브로부스트]](Sjors Provoost)는 풀노드를 사용하면 비트코인이 실재하는 블록체인이라는 사실을 인식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며 [[세그윗2x]](Segwit 2x)를 그 근거로 들었다. 세그윗2x는 2017년에 추진되었다가 커뮤니티의 반발로 무산된 비트코인의 블록 크기를 두 배로 늘리는 [[하드포크]]이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