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톤자동차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파일:지리자동차 글자.png|썸네일|300픽셀|'''[[지리자동차]]'''(吉利汽车)]]
 
[[파일:지리자동차 글자.png|썸네일|300픽셀|'''[[지리자동차]]'''(吉利汽车)]]
  
'''프로톤자동차'''<!--프로톤 자동차-->(Proton, Perusahaan Otomobil Nasional)는 1983년에 국영기업으로 설립된 [[말레이시아]](Malaysia) 최대의 자동차 제조 기업이다. 프로톤이라는 이름은 '''P'''e'''r'''usahaan '''Oto'''mobil '''N'''asional이라는 말레이어의 줄임말로, 해석하면 국립 자동차 회사가 된다. 1993년에 [[페로두아]](Perodua)가 생기기 전까지는 말레이시아의 유일한 자동차 회사였으며, 2012년 이후 민영화되었다. 자회사로 1996년에 인수한 영국의 스포츠카 제조사 [[로터스자동차]](Lotus Cars)가 있으며, 모회사는 중국의 '''[[지리자동차]]'''(Geely Automobile) 그룹이다.
+
'''프로톤자동차'''<!--프로톤 자동차-->(Proton, Perusahaan Otomobil Nasional)는 1983년에 국영기업으로 설립된 [[말레이시아]](Malaysia) 최대의 자동차 제조 기업이다. 프로톤이라는 이름은 '''P'''e'''r'''usahaan '''Oto'''mobil '''N'''asional이라는 말레이어의 줄임말로, 해석하면 국립 자동차 회사가 된다. 1993년에 [[페로듀아]](Perodua)가 생기기 전까지는 말레이시아의 유일한 자동차 회사였으며, 2012년 이후 민영화되었다. 자회사로 1996년에 인수한 영국의 스포츠카 제조사 [[로터스자동차]](Lotus Cars)가 있으며, 모회사는 중국의 '''[[지리자동차]]'''(Geely Automobile) 그룹이다.
 
{{:자동차 배너|현대}}
 
{{:자동차 배너|현대}}
  
9번째 줄: 9번째 줄:
 
프로톤자동차는 말레이시아의 경제개발을 이끈 [[마하티르 빈 모하마드]](Mahathir bin Mohamad)의 국산 자동차 육성 정책으로 설립된 기업으로, 말레이시아가 경제적으로 어느 정도 여유가 생기면서 자동차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맞춰서 산업 고도화와 함께 적절한 가격에 적당한 자동차를 보급하려는 목적에서 프로톤자동차를 설립하게 되었다. 그리고 프로톤자동차를 밀어주고 외화유출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최대 200%에 달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수입 차량 관세를 부여해서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수입차와 비교했을 때 강력한 가격경쟁력을 갖추게 되면서 막 자가용 보급이 늘어나기 시작한 말레이시아 내수 시장을 중심으로 급속히 성장하며 1990년대 말레이시아의 마이카 시대를 선도한 기업이 되었고, 말레이시아는 국산 자동차 브랜드의 점유율이 높은 흔치 않은 나라가 되었다. 하지만 성공에 너무 심취한 나머지 자체 개발 자동차들의 품질이 외국 수입차에 비해서 품질이 떨어졌기 때문에 혹평을 받았으며, 이로 인하여 수출시장 개척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서 말레이시아 내수 시장에 의존하는 경향이 커져갔다. 내수시장 의존도가 커진 영향으로 소형차 라인업은 매우 상세하지만 이외의 라인업이 심각하게 부실하였고, 그래도 자국 시장에서는 높은 관세로 시장점유율은 어느정도 유지가 되었지만, 말레이시아 자국 내에서도 프로톤자동차의 후속 자동차들이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것은 달리 지지 않았기 때문에. 경쟁업체인 페로두아가 급속히 성장하면서 점유율이 크게 추락해버렸고, 그로 인해 경영난을 겪다가 중국 지리 자동차에 인수되었다. 프로톤의 설립을 주도한 마하티르는 프로톤이 품질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끝내 중국기업에 인수된 것에 대해서 크게 안타까워하며 눈물을 흘렸고, 이 때문에 총리로 복귀했을 때 제2국민차 계획을 내세우기도 했지만 현실적으로 문제들에 부딪히면서 아쉬움을 뒤로하고 포기해버렸다. 이와 같은 프로트는 원래 [[현대자동차]](HYUNDAI MOTOR COMPANY)처럼 [[미쓰비시]](Mitsubishi Motors)의 차량을 [[뱃지 엔지니어링]](Badge Engineering)으로 생산하던 회사였다.
 
프로톤자동차는 말레이시아의 경제개발을 이끈 [[마하티르 빈 모하마드]](Mahathir bin Mohamad)의 국산 자동차 육성 정책으로 설립된 기업으로, 말레이시아가 경제적으로 어느 정도 여유가 생기면서 자동차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맞춰서 산업 고도화와 함께 적절한 가격에 적당한 자동차를 보급하려는 목적에서 프로톤자동차를 설립하게 되었다. 그리고 프로톤자동차를 밀어주고 외화유출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최대 200%에 달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수입 차량 관세를 부여해서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수입차와 비교했을 때 강력한 가격경쟁력을 갖추게 되면서 막 자가용 보급이 늘어나기 시작한 말레이시아 내수 시장을 중심으로 급속히 성장하며 1990년대 말레이시아의 마이카 시대를 선도한 기업이 되었고, 말레이시아는 국산 자동차 브랜드의 점유율이 높은 흔치 않은 나라가 되었다. 하지만 성공에 너무 심취한 나머지 자체 개발 자동차들의 품질이 외국 수입차에 비해서 품질이 떨어졌기 때문에 혹평을 받았으며, 이로 인하여 수출시장 개척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서 말레이시아 내수 시장에 의존하는 경향이 커져갔다. 내수시장 의존도가 커진 영향으로 소형차 라인업은 매우 상세하지만 이외의 라인업이 심각하게 부실하였고, 그래도 자국 시장에서는 높은 관세로 시장점유율은 어느정도 유지가 되었지만, 말레이시아 자국 내에서도 프로톤자동차의 후속 자동차들이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것은 달리 지지 않았기 때문에. 경쟁업체인 페로두아가 급속히 성장하면서 점유율이 크게 추락해버렸고, 그로 인해 경영난을 겪다가 중국 지리 자동차에 인수되었다. 프로톤의 설립을 주도한 마하티르는 프로톤이 품질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 끝내 중국기업에 인수된 것에 대해서 크게 안타까워하며 눈물을 흘렸고, 이 때문에 총리로 복귀했을 때 제2국민차 계획을 내세우기도 했지만 현실적으로 문제들에 부딪히면서 아쉬움을 뒤로하고 포기해버렸다. 이와 같은 프로트는 원래 [[현대자동차]](HYUNDAI MOTOR COMPANY)처럼 [[미쓰비시]](Mitsubishi Motors)의 차량을 [[뱃지 엔지니어링]](Badge Engineering)으로 생산하던 회사였다.
  
그러나 프로톤은 1990년대부터 사실상 미쓰비시와의 기술 종속 관계를 탈피한 현대자동차와 달리 로터스 인수 이후인 2004년에서야 독자 엔진인 [[캠프로]](CamPro) 엔진을 개발하여 양산차에 적용하기 시작했고, 현재까지도 많은 차량의 베이스엔 미쓰비시의 흔적이 남아 있는 등 여전히 미쓰비시의 그림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물론 사실상의 [[토요타]](Toyota Motor Corporation)-[[다이하츠]](Daihatsu Motor Co) 현지 생산기지로 전락한 경쟁업체인 페로두아보다는 상황이 나은 편이라고 할 수 있으며, 랜서 기반의 [[인스피라]](Inspira)가 단종된 후에는 미쓰비시의 흔적을 거의 다 털어냈다. 그러나 대신 스즈키와 혼다로부터 일부 기술을 받아와서 소형 미니밴과 중형차 라인을 보충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탈디자인]](Italdesign), [[피닌파리나]](Pininfarina)등 유럽 디자인 펌에 디자인을 맡기거나 로터스 출신 말레이시아인 디자이너 [[아즐란 오스만]](Azlan Othman)을 필두로 한 디자인 역량 강화에 집중하여 외관 디자인을 개선하는 데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다만 대중의 평가는 외관만 좋아졌을 뿐 성능에는 큰 차이가 없어 경쟁력이 없다는 평가가 많다. 이외에도 안전 사항을 강화하여 호주 ANCAP(Australasian New Car Assessment Program)에서 별 5개를 받는 등 여러 가지 노력을 통해 개선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사실 이러한 개선 노력의 배경에는 프로톤의 점유율이 2000년대 들어 20%대까지 추락하고 2004년에 [[페로두아]]에 역전된 이후 페로두아가 30%대로 성장하게 된 상황이 있다. 가격만으로 더 이상 경쟁력을 갖출 수 없다는 많은 평가들로 인하여 동기가 유발되어 개선의 노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프로톤자동차는 2017년 더이상의 적자를 이기지 못하고, 정부에 주도하에 브랜드를 포함한 채로 매각을 진행했으며, 2017년 4월에서 6월 사이에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될 듯했었는데 2017년 3월 말에 지리 자동차가 갑자기 프로톤과의 의견차이로 사이가 벌어져 인수를 포기함으로써 [[푸조]](Peugeot)-[[시트로엥]](Citroën)이 프로톤과 로터스의 새 주인으로 확정될 듯 했지만, 2017년 5월 24일부로 지리자동차가 프로톤과 로터스의 새 주인이 되었고 협상은 7월에 마무리되었다.<ref name="나무위키">프로톤 자동차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D%94%84%EB%A1%9C%ED%86%A4</ref>
+
그러나 프로톤은 1990년대부터 사실상 미쓰비시와의 기술 종속 관계를 탈피한 현대자동차와 달리 로터스 인수 이후인 2004년에서야 독자 엔진인 [[캠프로]](CamPro) 엔진을 개발하여 양산차에 적용하기 시작했고, 현재까지도 많은 차량의 베이스엔 미쓰비시의 흔적이 남아 있는 등 여전히 미쓰비시의 그림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물론 사실상의 [[토요타]](Toyota Motor Corporation)-[[다이하츠]](Daihatsu Motor Co) 현지 생산기지로 전락한 경쟁업체인 페로두아보다는 상황이 나은 편이라고 할 수 있으며, 랜서 기반의 [[인스피라]](Inspira)가 단종된 후에는 미쓰비시의 흔적을 거의 다 털어냈다. 그러나 대신 스즈키와 혼다로부터 일부 기술을 받아와서 소형 미니밴과 중형차 라인을 보충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탈디자인]](Italdesign), [[피닌파리나]](Pininfarina)등 유럽 디자인 펌에 디자인을 맡기거나 로터스 출신 말레이시아인 디자이너 [[아즐란 오스만]](Azlan Othman)을 필두로 한 디자인 역량 강화에 집중하여 외관 디자인을 개선하는 데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다만 대중의 평가는 외관만 좋아졌을 뿐 성능에는 큰 차이가 없어 경쟁력이 없다는 평가가 많다. 이외에도 안전 사항을 강화하여 호주 ANCAP(Australasian New Car Assessment Program)에서 별 5개를 받는 등 여러 가지 노력을 통해 개선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사실 이러한 개선 노력의 배경에는 프로톤의 점유율이 2000년대 들어 20%대까지 추락하고 2004년에 페로듀아에 역전된 이후 페로듀아가 30%대로 성장하게 된 상황이 있다. 가격만으로 더 이상 경쟁력을 갖출 수 없다는 많은 평가들로 인하여 동기가 유발되어 개선의 노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프로톤자동차는 2017년 더이상의 적자를 이기지 못하고, 정부에 주도하에 브랜드를 포함한 채로 매각을 진행했으며, 2017년 4월에서 6월 사이에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될 듯했었는데 2017년 3월 말에 지리 자동차가 갑자기 프로톤과의 의견차이로 사이가 벌어져 인수를 포기함으로써 [[푸조]](Peugeot)-[[시트로엥]](Citroën)이 프로톤과 로터스의 새 주인으로 확정될 듯 했지만, 2017년 5월 24일부로 지리자동차가 프로톤과 로터스의 새 주인이 되었고 협상은 7월에 마무리되었다.<ref name="나무위키">프로톤 자동차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D%94%84%EB%A1%9C%ED%86%A4</ref>
  
 
== 생산 차량 ==
 
== 생산 차량 ==
92번째 줄: 92번째 줄:
 
* [[지리자동차]]
 
* [[지리자동차]]
 
* [[지리자동차그룹]]
 
* [[지리자동차그룹]]
* [[페로두아]]
 
 
* [[말레이시아]]
 
* [[말레이시아]]
  
 
{{자동차 회사|검토 필요}}
 
{{자동차 회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