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환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쌍용자동차㈜ 글자.png|썸네일|300픽셀|'''[[쌍용자동차㈜]]'''(Ssangyong Motor)]]
 
[[파일:쌍용자동차㈜ 글자.png|썸네일|300픽셀|'''[[쌍용자동차㈜]]'''(Ssangyong Motor)]]
  
'''하동환'''(河東煥, He Dong Hwan, {{발음|河東煥}}, 1930년 7월 29일 ~ 2018년 5월 27일)은 서울의 드럼통 버스왕이라 불리던 자동차 기술자이며 '''[[쌍용자동차㈜]]''' 모태인 '''[[동아자동차공업㈜]]'''와 '''[[하동환 자동차 제작소]]'''<!--하동환 자동차제작소-->를 설립한 한국 자동차 신화의 주역 중 한 명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B%8F%99%ED%99%98 하동환]〉, 《위키백과》</ref>
+
'''하동환'''(河東煥, He Dong Hwan, {{발음|河東煥}}, 1930년 7월 29일 ~ 2018년 5월 27일)은 서울의 드럼통 버스왕이라 불리던 자동차 기술자이며 '''[[쌍용자동차]]''' 모태인 '''[[하동환 자동차 제작소]]'''<!--하동환 자동차제작소-->를 설립한 한국 자동차 신화의 주역 중 한 명이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B%8F%99%ED%99%98 하동환]〉, 《위키백과》</ref>
 
{{:자동차 배너|한국}}
 
{{:자동차 배너|한국}}
  
14번째 줄: 14번째 줄:
 
1966년에는 동남아 석유 부국인 브루나이에 하동환 자동차 공업이 설계하고 제작한 버스를 수출했다. [[현대자동차]]의 [[포니]]보다 10년 앞선 국내 최초 자동차 수출 기록이다. 하동환 버스는 1967년 [[베트남]]에도 수출했고, 이후 [[리비아]] 등지에도 선보였다. 1967년에 상공부의 자동차 산업 계열화 정책으로 [[신진자동차]] 계열사로 편입되면서 신진자동차에서 생산하던 [[토요타]] 버스를 위탁 생산하다가 1975년에 다시 신진자동차에서 독립하고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1966년에는 동남아 석유 부국인 브루나이에 하동환 자동차 공업이 설계하고 제작한 버스를 수출했다. [[현대자동차]]의 [[포니]]보다 10년 앞선 국내 최초 자동차 수출 기록이다. 하동환 버스는 1967년 [[베트남]]에도 수출했고, 이후 [[리비아]] 등지에도 선보였다. 1967년에 상공부의 자동차 산업 계열화 정책으로 [[신진자동차]] 계열사로 편입되면서 신진자동차에서 생산하던 [[토요타]] 버스를 위탁 생산하다가 1975년에 다시 신진자동차에서 독립하고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1974년 [[지프]] 차량 개발에 이어 [[소방차]] 등 특수자동차로 발을 넓힌 그는 1977년 사명을 [[동아자동차공업㈜]]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자회사 [[동아정기]]를 세웠고 1979년에 지금의 평택공장을 준공하였다. 1984년 [[코란도]]를 출시한 [[거화]]를 인수한 이후 코란도를 일본에까지 수출했고, 트랙터와 고속버스 등을 생산하며 승승장구했다.  
+
1974년 [[지프]] 차량 개발에 이어 [[소방차]] 등 특수자동차로 발을 넓힌 그는 1977년 사명을 [[동아자동차공업]]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자회사 [[동아정기]]를 세웠고 1979년에 지금의 평택공장을 준공하였다. 1984년 [[코란도]]를 출시한 [[거화]]를 인수한 이후 코란도를 일본에까지 수출했고, 트랙터와 고속버스 등을 생산하며 승승장구했다.  
  
 
하지만 무차입 경영을 선호했던 그는 외부자금을 조달해 자동차 연구개발에 거액을 투자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자 부담을 느꼈고, 자동차 사업에 관심이 많고 투자 여력이 큰 [[쌍용그룹]]에 1986년 회사를 매각했다. 회사 매각 후 하동환은 [[트레일러]]를 생산하는 [[동아정기]]를 운영했고, 인재 육성을 위한 [[한원장학회]]를 운영함과 동시에 [[한원그룹]]을 설립하였다. 1993년에는 [[미술]] 분야를 키우기 위해 [[한원미술관]]도 설립했다.
 
하지만 무차입 경영을 선호했던 그는 외부자금을 조달해 자동차 연구개발에 거액을 투자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자 부담을 느꼈고, 자동차 사업에 관심이 많고 투자 여력이 큰 [[쌍용그룹]]에 1986년 회사를 매각했다. 회사 매각 후 하동환은 [[트레일러]]를 생산하는 [[동아정기]]를 운영했고, 인재 육성을 위한 [[한원장학회]]를 운영함과 동시에 [[한원그룹]]을 설립하였다. 1993년에는 [[미술]] 분야를 키우기 위해 [[한원미술관]]도 설립했다.
31번째 줄: 31번째 줄:
 
* [[한원그룹]]
 
* [[한원그룹]]
 
* [[하동환 자동차 제작소]]
 
* [[하동환 자동차 제작소]]
* [[동아자동차공업㈜]]
 
* [[동아정기]]
 
 
* [[쌍용자동차㈜]]
 
* [[쌍용자동차㈜]]
 
* [[코란도]]
 
* [[코란도]]
  
 
{{자동차 인물|검토 필요}}
 
{{자동차 인물|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