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 로고.png|썸네일|200픽셀|'''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KDC)]]
+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KDC)'''은 중국과 한국 그리고 전세계의 [[블록체인]] 기술기업들을 상대로 사업 컨설팅과 비즈니스 서포팅을 제공하는 [[볼록체인]] 및 [[디지털화폐]] 연구, 개발회사이다.<ref name="사람인">〈[http://www.saramin.co.kr/zf_user/company-info/view-inner-info?csn=1788600520 한국디지탈화폐연구원]〉, 《사람인》</ref>
[[파일: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 글자.png|썸네일|300픽셀|'''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KDC)]]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KDC)은 중국과 한국 그리고 전 세계의 [[블록체인]] 기술기업들을 상대로 사업 컨설팅과 비즈니스 서포팅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및 [[디지털화폐]] 연구원이다.<ref name="사람인">〈[http://www.saramin.co.kr/zf_user/company-info/view-inner-info?csn=1788600520 한국디지탈화폐연구원]〉, 《사람인》</ref>
 
  
 
==개요==
 
==개요==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은 2016년도에 설립되었으며<ref name="사람인"></ref>, 서울 강남구에 위치해 있다. 온·오프라인 마케팅, 커뮤니티 구축, 미디어 홍보, 마이스 개최, 협력 파트너사 발굴 및 매칭 등 서비스를 통해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위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 컨설팅 회사이다.<ref>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876333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 ONE.TOP과 MOU 체결]〉, 《뉴스와이어》, 2018-10-01</ref>
+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은 2016년도에 설립되었으며<ref name="사람인"></ref>, 서울 강남구에 위치해있다. 온·오프라인 마케팅, 커뮤니티 구축, 미디어 홍보, 마이스 개최, 협력 파트너사 발굴 및 매칭 등 서비스를 통해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위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 컨설팅 회사이다.<ref>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876333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 ONE.TOP과 MOU 체결]〉, 《뉴스 와이어》, 2018-10-01</ref>
  
 
==주요인물==
 
==주요인물==
* '''[[채향란]]''' :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KDC)의 대표(CEO)이다.
+
*[[채향란]]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KDC)의 CEO이다.
 
+
==주요산업==
==주요 사업==
 
 
===비즈니스 전략===
 
===비즈니스 전략===
 
*사업 기획서 및 백서 개발
 
*사업 기획서 및 백서 개발
16번째 줄: 12번째 줄:
 
*업계분석, 시장조사 및 분석
 
*업계분석, 시장조사 및 분석
 
*비즈니스 모델분석 및 최적화
 
*비즈니스 모델분석 및 최적화
 
 
===기술 지원===
 
===기술 지원===
 
*퍼블릭/프라이빗 체인 개발
 
*퍼블릭/프라이빗 체인 개발
23번째 줄: 18번째 줄:
 
*DAPP/블록체인게임
 
*DAPP/블록체인게임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
 
 
===투융자 서비스===
 
===투융자 서비스===
 
*투자 및 융자 자본
 
*투자 및 융자 자본
 
*크라우드 펀딩
 
*크라우드 펀딩
 
*STO 솔루션 제공
 
*STO 솔루션 제공
 
 
===마케팅 서비스===
 
===마케팅 서비스===
 
*종합 마케팅 컨설팅
 
*종합 마케팅 컨설팅
 
*온라인 마케팅
 
*온라인 마케팅
 
*SNS 및 커뮤니티 관리<ref>한국디지털화폐연구소, 〈[http://kdcbit.com/#firstPage About KDC]〉, 《KDC 공식 홈페이지》</ref>
 
*SNS 및 커뮤니티 관리<ref>한국디지털화폐연구소, 〈[http://kdcbit.com/#firstPage About KDC]〉, 《KDC 공식 홈페이지》</ref>
 
 
==제휴==
 
==제휴==
===원탑(ONE.TOP)과 업무협약===
+
===ONE.TOP 업무협약(MOU)===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KDC)이 향후 상호 간의 발전을 위하여 [[원탑]](ONE.TOP)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아울러 KDC는 원탑(ONE.TOP)에 입성하여 ONE.TOP과 함께 한국사무소를 정식 출범했다. 중국에서 많은 지사를 설립한 ONE.TOP은 사업 규모를 꾸준히 확대하고 있으며, MOU 체결 후 쌍방은 프로젝트의 평가, 홍보, 양성, 커뮤니티 구축, 투자, 인기 프로젝트 로드쇼 등 다양한 방면에서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ref>Lica Choi 기자, 〈[http://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819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 블록체인 프로젝트 평가 모델 스스로 개발한 기관 ONE.TOP과 MOU 체결]〉, 《블록타임스TV닷컴》, 2018-10-02</ref>
+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KDC)이 향후 상호 간의 발전을 위하여 ONE.TOP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아울러 KDC는 ONE.TOP에 입성하여 ONE.TOP과 함께 한국사무소를 정식 출범했다.중국에서 많은 지사를 설립한 ONE.TOP은 사업 규모를 꾸준히 확대하고 있으며 MOU 체결 후 쌍방은 프로젝트의 평가, 홍보, 양성, 커뮤니티 구축, 투자, 인기 프로젝트 로드쇼 등 다양한 방면에서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ref>Lica Choi기자, 〈[http://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819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 블록체인 프로젝트 평가 모델 스스로 개발한 기관 ONE.TOP과 MOU 체결]〉, 《블록타임스TV닷컴》, 2018-10-02</ref>
 
 
 
===디신퉁 업무협약===
 
===디신퉁 업무협약===
[[디신퉁]]은 부동산 분야 [[블록체인]] 기술개발과 신사업 추진을 내용으로 하는 업무협약을 한국의 [[부동산블록체인연구소]](RBI)와 디신퉁의 협력 파트너인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KDC)와 함께 체결했다. 이들 3사는 부동산 블록체인 관련 신기술을 홍보하고, 투자유치를 위해 신사업 분야를 공개하기로 했다.<ref>박영신 기자,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1808232064i 중국 대형 IT유통업체 디신퉁, 한국 블록체인시장 진출]〉, 《한국경제》, 2018-08-23</ref>
+
디신퉁은 부동산분야 [[블록체인]] 기술개발과 신사업 추진을 내용으로 하는 업무협약을 한국의 부동산블록체인연구소(RBI)와 디신퉁의 협력 파트너인 디지털화폐연구원(KDC)와 함께 체결했다.이들 3사는 부동산 블록체인 관련 신기술을 홍보하고, 투자유치를 위해 신사업 분야를 공개하기로 했다.<ref>박영신 기자,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1808232064i 중국 대형 IT유통업체 디신퉁, 한국 블록체인시장 진출]〉, 《한국경제》, 2018-08-23</ref>
 
 
==최근 활동==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이하 KDC)이 향후 상호 간의 발전을 위하여 ONE.TOP과 업무협약(MOU)을 9월 25일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아울러 KDC는 ONE.TOP에 입성하여 ONE.TOP과 함께 한국사무소를 정식 출범했다.
 
 
 
현재 KDC는 한국 인기 커뮤니티, 거래소, 전문 투자 기관, 미디어와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고 중국 블록체인 업계와도 업무협약을 꾸준히 해왔으며 이번 ONE.TOP와의 협력을 통해 업무 범위를 또 한 번 넓히게 될 것이다.
 
 
 
ONE.TOP은 글로벌 블록체인 프로젝트 평가 모델을 스스로 개발한 기관이다. 전문가의 평가 내용, 커뮤니티 참여 방식 등을 종합하여 투자자에게 심도 있고 개관적인 평가 및 시장 분석 보고서를 제공한다. 중국에서 많은 지사를 설립한 ONE.TOP은 사업 규모를 꾸준히 확대하고 있으며 이번 KDC와의 업무협약은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첫걸음이 된다.
 
 
 
MOU 체결 후 쌍방은 프로젝트의 평가, 홍보, 양성, 커뮤니티 구축, 투자, 인기 프로젝트 로드쇼 등 다양한 방면에서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한국사무소 설립은 ONE.TOP의 국내외 시장 확장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앞으로 이를 통해 ONE.TOP은 품질 좋은 서비스를 꾸준히 제공하고 사업 범위를 지속적으로 넓혀갈 계획이다.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은 ONE.TOP과 앞으로 국내외 더 많은 관련 기업들과 손잡고 건강한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에 일조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ref>오하영 기자, 〈[http://www.blockchai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668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 ONE.TOP과 업무협약 체결]〉, 《BLOCKCHAINTODAY》, 2018-10-04</ref>
 
 
 
{{각주}}
 
  
 +
{{각주}}
 
==참고자료==
 
==참고자료==
 
* 〈[http://www.saramin.co.kr/zf_user/company-info/view-inner-info?csn=1788600520 한국디지탈화폐연구원]〉, 《사람인》
 
* 〈[http://www.saramin.co.kr/zf_user/company-info/view-inner-info?csn=1788600520 한국디지탈화폐연구원]〉, 《사람인》
 +
*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876333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 ONE.TOP과 MOU 체결]〉, 《뉴스 와이어》, 2018-10-01
 
* 한국디지털화폐연구소, 〈[http://kdcbit.com/#firstPage About KDC]〉, 《KDC 공식 홈페이지》
 
* 한국디지털화폐연구소, 〈[http://kdcbit.com/#firstPage About KDC]〉, 《KDC 공식 홈페이지》
 +
* Lica Choi기자, 〈[http://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819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 블록체인 프로젝트 평가 모델 스스로 개발한 기관 ONE.TOP과 MOU 체결]〉, 《블록타임스TV닷컴》, 2018-10-02
 
* 박영신 기자,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1808232064i 중국 대형 IT유통업체 디신퉁, 한국 블록체인시장 진출]〉, 《한국경제》, 2018-08-23
 
* 박영신 기자,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1808232064i 중국 대형 IT유통업체 디신퉁, 한국 블록체인시장 진출]〉, 《한국경제》, 2018-08-23
*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876333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 ONE.TOP과 MOU 체결]〉, 《뉴스와이어》, 2018-10-01
+
==같이보기==
* Lica Choi 기자, 〈[http://blocktimestv.com/news/view.php?idx=1819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 블록체인 프로젝트 평가 모델 스스로 개발한 기관 ONE.TOP과 MOU 체결]〉, 《블록타임스TV닷컴》, 2018-10-02
+
*[[블록체인]]
* 오하영 기자, 〈[http://www.blockchai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668 한국디지털화폐연구원, ONE.TOP과 업무협약 체결]〉, 《BLOCKCHAINTODAY》, 2018-10-04
+
*[[디지털화폐]]
 
 
==같이 보기==
 
* [[채향란]]
 
* [[원탑]]
 
 
 
 
{{블록체인 지원기관|검토 필요}}
 
{{블록체인 지원기관|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