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학연구원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한국화학연구원 로고.png|썸네일|200픽셀|'''한국화학연구원'''(KRICT)]]
 
[[파일:한국화학연구원 로고.png|썸네일|200픽셀|'''한국화학연구원'''(KRICT)]]
 
[[파일:한국화학연구원 글자.png|썸네일|300픽셀|'''한국화학연구원'''(KRICT)]]
 
[[파일:한국화학연구원 글자.png|썸네일|300픽셀|'''한국화학연구원'''(KRICT)]]
[[파일:이미혜.jpg|썸네일|200픽셀|'''[[이미혜]]''' 한국화학연구원 원장]]
+
[[파일:이미혜.jpg|썸네일|200픽셀|'''한국화학연구원''' 원장 '''[[이미혜]]''']]  
  
'''한국화학연구원'''<!--한국 화학 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은 화학공업 분야의 정부출연 연구기관이다. 간략히 '''화학연'''이라고 하고, 영어 약자로 '''KRICT'''라고 한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141에 위치해 있다. 1976년 9월 2일에 설립되었고 현재 원장은 '''[[이미혜]]'''이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26095&cid=46637&categoryId=46637 한국화학연구원]〉, 《한국민족민화대백과》 </ref>
+
'''한국화학연구원'''<!--한국 화학 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은 화학공업 분야의 정부출연 연구기관이며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로 141에 위치해 있다. 1976년 9월 2일에 설립되었고 현재 원장은 '''[[이미혜]]'''이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26095&cid=46637&categoryId=46637 한국화학연구원]〉, 《한국민족민화대백과》 </ref>
  
 
== 개요 ==   
 
== 개요 ==   
27번째 줄: 27번째 줄:
 
|-
 
|-
 
|align=center|초대 소장
 
|align=center|초대 소장
|align=center|1976년 09월
+
|align=center|1976년 9월
 
|align=center|성좌경 박사
 
|align=center|성좌경 박사
 
|-
 
|-
 
|align=center|제2대 소장
 
|align=center|제2대 소장
|align=center|1980년 01월
+
|align=center|1980년 1월
 
|align=center|이태현 박사
 
|align=center|이태현 박사
 
|-
 
|-
 
|align=center|제3대~제6대 소장
 
|align=center|제3대~제6대 소장
|align=center|1982년 01월
+
|align=center|1982년 1월
 
|align=center|채영복 박사
 
|align=center|채영복 박사
 
|-
 
|-
 
|align=center|제7대 소장
 
|align=center|제7대 소장
|align=center|1993년 02월
+
|align=center|1993년 2월
 
|align=center|강박광 박사
 
|align=center|강박광 박사
 
|-
 
|-
|align=center|제8대 소장
+
|align=center|제8대
|align=center|1996년 02월
+
|align=center|1996년 2월
 
|align=center|이서봉 박사
 
|align=center|이서봉 박사
 
|-
 
|-
 
|align=center|제9대 소장
 
|align=center|제9대 소장
|align=center|1999년 05월
+
|align=center|1999년 5월
 
|align=center|김충섭 박사
 
|align=center|김충섭 박사
 
|-
 
|-
 
|align=center|제10대 원장
 
|align=center|제10대 원장
|align=center|2002년 05월
+
|align=center|2002년 5월
 
|align=center|김충섭 박사
 
|align=center|김충섭 박사
 
|-
 
|-
 
|align=center|제11대 원장
 
|align=center|제11대 원장
|align=center|2005년 05월
+
|align=center|2005년 5월
 
|align=center|이재도 박사
 
|align=center|이재도 박사
 
|-
 
|-
 
|align=center|제12대 원장
 
|align=center|제12대 원장
|align=center|2008년 09월
+
|align=center|2008년 9월
 
|align=center|오헌승 박사
 
|align=center|오헌승 박사
 
|-
 
|-
 
|align=center|제13대 원장
 
|align=center|제13대 원장
|align=center|2011년 09월
+
|align=center|2011년 9월
 
|align=center|김재현 박사
 
|align=center|김재현 박사
 
|-
 
|-
71번째 줄: 71번째 줄:
 
|-
 
|-
 
|align=center|제15대 원장
 
|align=center|제15대 원장
|align=center|2018년 01월
+
|align=center|2018년 1월
 
|align=center|김성수 박사
 
|align=center|김성수 박사
 
|-
 
|-
145번째 줄: 145번째 줄:
 
|}
 
|}
  
==배터리 관련 기술 개발==
+
==배터리관련 기술 개발==
* 한국화학연구원 차세대 [[이차전지]] 핵심소재 연구단은 전기차 배터리 소재개발 속도를 다그치고 있다. 연구단장은 '한번 충전으로 서울~부산을 왕복해 달릴 수 있는 이차전지 소재'가 목표라고 밝혔다. 연구단에는 대기업을 비롯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 참여한다. 이 밖에도 울산과학기술원과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서울대, 건국대가 함께 한다.<ref>김만기 기자,  〈[https://www.fnnews.com/news/202006231055579255 서울~부산 왕복 가능한 전기차 배터리 부품 만든다]〉, 《파이낸셜뉴스》, 2020-06-23</ref>
+
* 한국화학연구원 차세대 이차전지 핵심소재 연구단은 전기차 배터리 소재개발 속도를 다그치고 있다. 연구단장은 '한번 충전으로 서울~부산을 왕복해 달릴 수 있는 이차전지 소재'가 목표라고 밝혔다. 연구단에는 대기업을 비롯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 참여한다. 이 밖에도 울산과학기술원과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서울대, 건국대가 함께 한다.<ref>김만기 기자,  〈[https://www.fnnews.com/news/202006231055579255 서울~부산 왕복 가능한 전기차 배터리 부품 만든다]〉, 《파이낸셜뉴스》, 2020-06-23</ref>
  
 
* 글로벌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배터리 업계에 원가절감과 성능 개선을 공개적으로 요청하면서 한국 2차전지 업계도 개발을 다그치고 있다. 한국 정밀화학 기업 한농화성이 [[LG화학]], 한국화학연구원 등과 함께 차세대 배터리인 '전고체 배터리' 핵심소재인 전해질을 개발 하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는 2차전지 내 전해질을 기존의 액체에서 고체로 대체한 차세대 배터리다. 기존 액체 전해질 배터리가 외력에 의한 누출위험, 과충전, 열 충격 등에 따른 발화 및 폭발 위험성이 높았던 데 반해 전고체 전해질은 안전성이 높아 화재 및 폭발 위험이 거의 없다. 높은 안정성과 에너지밀도 덕에 고용량·고출력 전지 제조가 가능한 것도 특징이며 충전시간 5분 만에 80% 충전이 가능하며, 주행거리도 최대 800㎞대로 늘릴 수 있다.  <ref>김경택 기자,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0/09/983646/ 한농화성, 테슬라 배터리데이 요구 해법…'전고체 배터리' 핵심소재 개발 부각]〉, 《매일경제》, 2020-09-23</ref>
 
* 글로벌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배터리 업계에 원가절감과 성능 개선을 공개적으로 요청하면서 한국 2차전지 업계도 개발을 다그치고 있다. 한국 정밀화학 기업 한농화성이 [[LG화학]], 한국화학연구원 등과 함께 차세대 배터리인 '전고체 배터리' 핵심소재인 전해질을 개발 하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는 2차전지 내 전해질을 기존의 액체에서 고체로 대체한 차세대 배터리다. 기존 액체 전해질 배터리가 외력에 의한 누출위험, 과충전, 열 충격 등에 따른 발화 및 폭발 위험성이 높았던 데 반해 전고체 전해질은 안전성이 높아 화재 및 폭발 위험이 거의 없다. 높은 안정성과 에너지밀도 덕에 고용량·고출력 전지 제조가 가능한 것도 특징이며 충전시간 5분 만에 80% 충전이 가능하며, 주행거리도 최대 800㎞대로 늘릴 수 있다.  <ref>김경택 기자,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0/09/983646/ 한농화성, 테슬라 배터리데이 요구 해법…'전고체 배터리' 핵심소재 개발 부각]〉, 《매일경제》, 2020-09-23</ref>
186번째 줄: 186번째 줄:
 
* [[SK이노베이션]]
 
* [[SK이노베이션]]
  
 +
{{로고 수정 필요}}
 
{{배터리 회사|검토 필요}}
 
{{배터리 회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