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카호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북아시아 위치 지도}}
+
[[파일:한카호.jpg|썸네일|300픽셀|'''한카호''']]
{{동아시아 위치 지도}}
 
[[파일:한카호.jpg|썸네일|300픽셀|'''한카호'''(兴凯湖)]]
 
 
[[파일:한카호의 위성 사진.jpg|썸네일|300픽셀|'''한카호의 위성 사진''']]
 
[[파일:한카호의 위성 사진.jpg|썸네일|300픽셀|'''한카호의 위성 사진''']]
  
'''한카호'''<!--한카 호-->(Hanka Lake)는 [[중국]] 북동지역 [[헤이룽장성]](黑龍江省)과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 사이에 위치한 [[호수]]이다. [[중국어]]로는 '''싱카이호'''(兴凯湖, {{발음|兴凯湖}})라고 하고,  [[한자]]로 읽으면, '''흥개호'''(興凱湖)가 된다. [[러시아어]]로는 '''항카호'''(러시아어: о́зеро Ха́нка)라고 하고, [[영어]]로는 '''한카호'''(Hanka Lake)라고 한다.
+
'''항카호''', '''한카호'''(러시아어: о́зеро Ха́нка) 또는 '''싱카이호'''(흥개호, 중국어 정체자: 興凱湖, 간체자: 兴凯湖, {{발음|兴凯湖}})[[중국]] 북동지역 [[헤이룽장성]](黑龍江省)[[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 사이에 위치한 [[호수]]이다. 한카호는 [[만주]]에서 가장 큰 호수이자 중국에서 [[칭하이호]] 다음으로 큰 호수로 면적은 4,190km²인데, 이 중 3,030km²는 러시아에, 1,160km²는 중국에 접해 있으며 [[국경]]이 호수 가운데를 지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C%B9%B4%ED%98%B8 한카호]〉, 《위키백과》</ref>
 
 
한카호는 [[만주]]에서 가장 큰 [[호수]]이자 중국에서 [[칭하이호]] 다음으로 큰 [[호수]]이다. 면적은 4,190km²인데, 이 중 3,030km²는 [[러시아]]에, 1,160km²는 [[중국]]에 접해 있으며, [[국경]]이 호수 가운데를 지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C%B9%B4%ED%98%B8 한카호]〉, 《위키백과》</ref>
 
  
 
==개요==
 
==개요==
한카호는 [[동아시아]] 전체로 봐도 두 번째로 큰 규모의 [[호수]]로 [[비와호]]의 6.4배 크기이다. 위치는 동경 132도 25분, 북위 45도 0분으로 [[북한]]의 [[함경북도]]보다 약간 더 위에 있다. 한카호는 부채꼴 모양의 담수호로, 평균 수심은 4.5m, 최대 수심은 10.6m에 달한다. 수원의 대부분은 아무르 수계에서 유입된 물줄기이다. 한카호는 호수의 북쪽, 중극 측의 높이 10m의 사구에 의해 나뉜 크고 작은 2개의 호수를 일컫는 총칭이다. 호안은 북서쪽 이외에는 습지대이다. 한카호에 흘러 들어오는 수계(水界)의 범위(분수계)는 약 16,890km²의 충적평야이고 그중 97%는 러시아의 영토이다. 호수의 면적은 4,000 ~ 4,400km²로 중국 동북 지방의 최대 호수이다. 호수에는 23개의 강(8개는 중국으로부터, 15개는 러시아로부터)이 흘러들고 있으며 남쪽의 러시아 측에서는 이들 하천이 한카호에 들어가기 전에 대습지대(이리스타야 강 습지대)를 이루지만, 나가는 강은 중국과 경계를 이루는 쑹아차허(송가체 강) 뿐이다. 호수의 수량은 평균 18.3km³이고 최대 수량은 22.6km³이다. 호수는 쑹아차허(송가체강)로 통하고 우수리강 수계, 나아가서는 [[아무르강]] 수계에 속하기 때문에 북쪽의 오호츠크해까지 흐르고 있다. 연중 최고 기온은 21.2도이고 최저 기온은 -19.2도이다. 비는 통상적으로 하절기에 내리며 연 강수량은 750mm정도이다. 12월부터 결빙되기 시작하며 10~15일 이내에 호수 전부가 다 결빙되며 2월 말부터 해빙되기 시작하여 4월 중·하순에 모두 해빙된다.
+
한카호는 [[동아시아]] 전체로 봐도 두 번째로 큰 규모로 비와호의 6.4배 크기이다. 위치는 동경 132도 25분, 북위 45도 0분으로 [[북한]]의 [[함경북도]]보다 약간 더 위에 있다. 한카호는 부채꼴 모양의 담수호로, 평균 수심은 4.5m, 최대 수심은 10.6m에 달한다. 수원의 대부분은 아무르 수계에서 유입된 물줄기이다. 한카호는 호수의 북쪽, 중극 측의 높이 10m의 사구에 의해 나뉜 크고 작은 2개의 호수를 일컫는 총칭이다. 호안은 북서쪽 이외에는 습지대이다. 한카호에 흘러 들어오는 수계(水界)의 범위(분수계)는 약 16,890km²의 충적평야이고 그중 97%는 러시아의 영토이다. 호수의 면적은 4,000 ~ 4,400km²로 중국 동북 지방의 최대 호수이다. 호수에는 23개의 강(8개는 중국으로부터, 15개는 러시아로부터)이 흘러들고 있으며 남쪽의 러시아 측에서는 이들 하천이 한카호에 들어가기 전에 대습지대(이리스타야 강 습지대)를 이루지만, 나가는 강은 중국과 경계를 이루는 쑹아차허(송가체 강) 뿐이다. 호수의 수량은 평균 18.3km³이고 최대 수량은 22.6km³이다. 호수는 쑹아차허(송가체강)로 통하고 우수리강 수계, 나아가서는 [[아무르강]] 수계에 속하기 때문에 북쪽의 오호츠크해까지 흐르고 있다. 연중 최고 기온은 21.2도이고 최저 기온은 -19.2도이다. 비는 통상적으로 하절기에 내리며 연 강수량은 750mm정도이다. 12월부터 결빙되기 시작하며 10~15일 이내에 호수 전부가 다 결빙되며 2월 말부터 해빙되기 시작하여 4월 중·하순에 모두 해빙된다.
  
 
한카호 주변은 귀중한 생태계가 남아 있는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습지대로, 중국 측에는 싱카이호 국가급 자연 보호구가 러시아 측에는 한카호 수자연 보호구가 있으며, 1996년에 양국 정상이 호수의 자연 보호에 대해 공동 보호 협정을 체결했다. 또 양국의 자연 보호구는 함께 람사르 협약 등록지이다. 철새의 도래지이고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중요한 번식지이다. 그 밖에도 많은 멸종 위기종인 들새, 양서류, 파충류, 곤충 등이 서식하며 제3기의 식물군이나 철갑상어 등 많은 담수어류, 아무르 호랑이 등도 적지만 서식하고 있다. 호수는 과학 조사(철새 등의 조사) 외에 자연 보호, 생태관광 등으로도 주목받고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19982&cid=40942&categoryId=40018 싱카이호]〉, 《네이버 지식백과》</ref>
 
한카호 주변은 귀중한 생태계가 남아 있는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습지대로, 중국 측에는 싱카이호 국가급 자연 보호구가 러시아 측에는 한카호 수자연 보호구가 있으며, 1996년에 양국 정상이 호수의 자연 보호에 대해 공동 보호 협정을 체결했다. 또 양국의 자연 보호구는 함께 람사르 협약 등록지이다. 철새의 도래지이고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중요한 번식지이다. 그 밖에도 많은 멸종 위기종인 들새, 양서류, 파충류, 곤충 등이 서식하며 제3기의 식물군이나 철갑상어 등 많은 담수어류, 아무르 호랑이 등도 적지만 서식하고 있다. 호수는 과학 조사(철새 등의 조사) 외에 자연 보호, 생태관광 등으로도 주목받고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19982&cid=40942&categoryId=40018 싱카이호]〉, 《네이버 지식백과》</ref>
17번째 줄: 13번째 줄:
  
 
==역사==
 
==역사==
흥개호는 6500만년전의 [[화산]] 폭발 시 땅이 꺼지면서 생긴 [[호수]]이다. [[사서]]의 기록에 의하면 흥개호 기슭에서는 한(漢)나라때부터 유목민족이 생활했고 당(唐)나라때 미타호(湄沱湖) 혹은 북금해(北琴海)로 불리다가 청나라 때 흥개호로 이름을 바꾸었다. 6천여년전 만(滿)족의 조상들이 이 곳에서 살면서 만족만의 어로 및 사냥문화를 형성했다. 따라서 흥개호는 [[만주족]]의 [[발원지]]로 인정되어 청(淸)나라 초반에 금지구역으로 획분되었고 따라서 원초적인 자연을 유지할 수 있었다. [[청나라]] 후반에 [[금지령]]이 풀리면서 사람들이 흥개호에 입주하기 시작했다. 1958년과 1968년 두 차례에 걸친 최대 규모의 북대황(北大荒) 개발로 흥개호 인근지역은 알곡기지가 되었다. 1985년 호수와 호수 주변의 [[습지]], 그 속에 [[서식]]하는 [[동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흥개해 자연보호구를 설립해 오늘에 이른다.<ref>〈[http://korean.cri.cn/2361/2015/02/06/1s222607.htm (STRONG)흥개호: 원초적인 자연의 호수]〉, 《중국국제방송》, 2015-02-06</ref>
+
흥개호는 6500만년전의 [[화산]]폭발시 땅이 꺼지면서 생긴 호수이다. 사서의 기록에 의하면 흥개호 기슭에서는 한(漢)나라때부터 유목민족이 생활했고 당(唐)나라때 미타호(湄沱湖) 혹은 북금해(北琴海)로 불리우다가 청나라때 흥개로로 이름을 바꾸었다. 6천여년전 만(滿)족의 조상들이 이 곳에서 살면서 만족만의 어로 및 사냥문화를 형성했다. 따라서 흥개호는 만족의 발원지로 인정되어 청(淸)나라 초반에 금지구역으로 획분되었고 따라서 원초적인 자연을 유지할수 있었다. 청나라 후반에 금지령이 풀리면서 사람들이 흥개호에 입주하기 시작했고 1958년과 1968년 두 차례에 걸친 최대 규모의 북대황(北大荒)개발로 흥개호 인근지역은 알곡기지로 되었다. 1985년 호수와 호수주변의 습지, 그 속에 서식하는 동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흥개해 자연보호구를 설립해 오늘에 이른다.<ref>〈[http://korean.cri.cn/2361/2015/02/06/1s222607.htm (STRONG)흥개호: 원초적인 자연의 호수]〉, 《중국국제방송》, 2015-02-06</ref>
  
담수호라는 점 때문에 [[선사시대]]부터 인간이 거주하기 시작한 곳 중 하나로, 근방에서 신석기 시대 유목민들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퉁구스계 유목민의 일부인 숙신족 및 한민족의 조상인 예맥족과도 관련이 깊으며, 고조선의 북동쪽 국경의 하나로 보기도 한다. 고조선 멸망 이후 삼국 시대에는 동부여와 읍루의 영토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구려가 광개토대왕 때 이 일대의 숙신을 정벌하고 말갈 부족들이 [[고구려]]의 지배를 받았다. 이 근방에서 한국형 그릇과 온돌의 흔적이 발굴되기도 한다. 발해 시절에는 확실히 발해가 주현을 설치하고 다스린 영토의 일부로, 15부의 하나인 동평부에 속했으며 '미타호'(湄沱湖)로 불렸다. 호수 동쪽에 미주, 서쪽에 타주가 자리잡고 있었다. 이곳에서 잡히는 잉어가 동평부의 특산물이었다고 전해진다.<ref>〈[https://namu.wiki/w/%ED%95%9C%EC%B9%B4%ED%98%B8 한카호]〉, 《나무위키》</ref>
+
담수호라는 점 때문에 선사시대부터 인간이 거주하기 시작한 곳 중 하나로, 근방에서 신석기 시대 유목민들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퉁구스계 유목민의 일부인 숙신족 및 한민족의 조상인 예맥족과도 관련이 깊으며, 고조선의 북동쪽 국경의 하나로 보기도 한다. 고조선 멸망 이후 삼국 시대에는 동부여와 읍루의 영토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구려가 광개토대왕 때 이 일대의 숙신을 정벌하고 말갈 부족들이 [[고구려]]의 지배를 받았다. 이 근방에서 한국형 그릇과 온돌의 흔적이 발굴되기도 한다. 발해 시절에는 확실히 발해가 주현을 설치하고 다스린 영토의 일부로, 15부의 하나인 동평부에 속했으며 '미타호'(湄沱湖)로 불렸다. 호수 동쪽에 미주, 서쪽에 타주가 자리잡고 있었다. 이곳에서 잡히는 잉어가 동평부의 특산물이었다고 전해진다.<ref>〈[https://namu.wiki/w/%ED%95%9C%EC%B9%B4%ED%98%B8 한카호]〉, 《나무위키》</ref>
  
 
==자연 환경==
 
==자연 환경==
25번째 줄: 21번째 줄:
  
 
==현황==
 
==현황==
한카호(싱카이호)는 1986년 흑룡강성 인민 정부의 승인을 받고 성급 자연보호구로 지정되었다. 1994년 성급자연보호구역에서 국가급 자연보호구역으로 승격하였다. 2008년에는 유엔에 의해 세계생물권 보호구로 지정되었으며 2010년에는 중국 국가급 AAAA급 관광구로로 지정되었다. 흥개호 국가급 자연보호구는 흑룡강성 동남부 계서시에 있으며, 러시아흥개호 보호지역과 서로 연결되어 있다. 흑룡강성흥개호 자연보호구는 과학 연구의 산지로 습지생물의 다양성 보호에 목적을 두고 있다. 현지에는 공등식물 650종, 척추동물 319종이 있으며, 그 중에 5종의 1급 보호종과 36종의 2급 보호종이 있다. 총면적 22.2만 ha로 2001년 국제 중요 습지로 인정받았다.<ref>〈[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localCode=krcn&contentsId=GC05307063 흥개호]〉, 《세계한민족문화대전》</ref>
+
흥개호는 1986년 흑룡강성 인민 정부의 승인을 받고 성급 자연보호구로 지정되었다. 1994년 성급자연보호구역에서 국가급 자연보호구역으로 승격하였다. 2008년에는 유엔에 의해 세계생물권 보호구로 지정되었으며 2010년에는 중국 국가급 AAAA급 관광구로로 지정되었다. 흥개호 국가급 자연보호구는 흑룡강성 동남부 계서시에 있으며, 러시아흥개호 보호지역과 서로 연결되어 있다. 흑룡강성흥개호 자연보호구는 과학 연구의 산지로 습지생물의 다양성 보호에 목적을 두고 있다. 현지에는 공등식물 650종, 척추동물 319종이 있으며, 그 중에 5종의 1급 보호종과 36종의 2급 보호종이 있다. 총면적 22.2만 ha로 2001년 국제 중요 습지로 인정받았다.<ref>〈[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localCode=krcn&contentsId=GC05307063 흥개호]〉, 《세계한민족문화대전》</ref>
  
 
==관련 뉴스==
 
==관련 뉴스==
32번째 줄: 28번째 줄:
 
* 2022년 10월 23일 국립생태원에 따르면 생태원은 세계자연기금(WWF) 러시아 아무르 지부와 지난 2019년 11월 멸종위기인 황새의 번식지를 보전하기 위해 인공둥지탑을 짓고 이동 경로 등을 공동연구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인공둥지탑 만들기는 통상 5∼20m의 나무에 둥지를 짓고 매년 같은 둥지를 재사용하는 황새의 습성을 고려한 서식지 보전 사업이다. 이에 따라 양국 연구진은 2020∼2021년 2년 동안 러시아에 황새가 도래하기 전인 2∼3월 인공둥지탑을 번식지인 연해주 한카호 습지에 10개소, 중간 기착지인 두만강 유역에 6개소 설치했다. 한카호에 만든 인공둥지탑에서는 지난해 황새 한 쌍이 번식하기도 했다. 한반도에서 볼 수 있는 황새과 조류는 황새와 먹황새 등 2종이다. 먹황새도 황새와 마찬가지로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이다. 아시아에는 100마리 정도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립생태원과 WWF 아무르 지부는 이 사업을 올해까지 3년 동안 시행하려 했다.<ref>홍준석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221018085300530?input=1195m 황새들도 우크라 사태 영향…한러 인공둥지 사업 차질]〉, 《연합뉴스》, 2022-10-23</ref>
 
* 2022년 10월 23일 국립생태원에 따르면 생태원은 세계자연기금(WWF) 러시아 아무르 지부와 지난 2019년 11월 멸종위기인 황새의 번식지를 보전하기 위해 인공둥지탑을 짓고 이동 경로 등을 공동연구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인공둥지탑 만들기는 통상 5∼20m의 나무에 둥지를 짓고 매년 같은 둥지를 재사용하는 황새의 습성을 고려한 서식지 보전 사업이다. 이에 따라 양국 연구진은 2020∼2021년 2년 동안 러시아에 황새가 도래하기 전인 2∼3월 인공둥지탑을 번식지인 연해주 한카호 습지에 10개소, 중간 기착지인 두만강 유역에 6개소 설치했다. 한카호에 만든 인공둥지탑에서는 지난해 황새 한 쌍이 번식하기도 했다. 한반도에서 볼 수 있는 황새과 조류는 황새와 먹황새 등 2종이다. 먹황새도 황새와 마찬가지로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이다. 아시아에는 100마리 정도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립생태원과 WWF 아무르 지부는 이 사업을 올해까지 3년 동안 시행하려 했다.<ref>홍준석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221018085300530?input=1195m 황새들도 우크라 사태 영향…한러 인공둥지 사업 차질]〉, 《연합뉴스》, 2022-10-23</ref>
  
== 지도 ==
+
==지도==
{{한카호 국가 지도|800}}
 
 
{{지도|한카호}}
 
{{지도|한카호}}
{{다단2
 
|{{하얼빈성 행정 지도}}
 
|{{중국 동북지구 행정 지도}}
 
}}
 
{{다단2
 
|{{동해 국가 지도}}
 
|{{동아시아 국가 지도}}
 
}}
 
  
 
==동영상==
 
==동영상==
72번째 줄: 59번째 줄:
 
* [[화산]]
 
* [[화산]]
  
{{:북아시아 같이 보기}}
+
{{세계지리|검토 필요}}
{{:동아시아 같이 보기}}
 
 
 
{{세계의 호수|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