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섬유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섬유의 분류.png|썸네일|300픽셀|섬유의 분류]]
 
 
'''합성섬유'''<!--합성 섬유-->는 [[석유]]나 [[석탄]]에서 추출한 성분을 가공해 제조된 [[섬유]]이다.
 
'''합성섬유'''<!--합성 섬유-->는 [[석유]]나 [[석탄]]에서 추출한 성분을 가공해 제조된 [[섬유]]이다.
{{:자동차 배너|부품}}
 
  
 
==개요==
 
==개요==
7번째 줄: 5번째 줄:
  
 
==역사==
 
==역사==
[[인조섬유]]가 발명된 것은 누에가 견사를 토하여 내는 것을 보고 인공적으로 섬유를 제조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1674년 [[영국]]의 박물학자이며 철학자인 [[로버트 훅]](Robert Hooke)은 저서에서 인조섬유의 가능성을 기술하였고, 1734년 프랑스의 박물학자인 [[르네 레오뮈르]](René Réaumur)도 점액에서 생사와 같은 섬유를 인공적으로 만들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 뒤 화학 기술의 진전으로 각종 고분자물질이 제조되었고, 1846년 독일의 [[크리스티안 쇤바인]](Christian Friedrich Schönbein)이 [[면]]에서 초화면을 만드는 데 성공하였다. 이것이 최초의 인조섬유의 원료이다. 그리고 [[독일]]의 [[알베르트 슈바이처]](Albert Schweitzer)가 슈바이처시약에 셀룰로스가 용해되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동암모니아 인조견사의 기초가 되었다. 그 뒤 [[찰스 프레데릭 크로스]](Charles Frederick Cross)와 [[에드워드 베반]](Edward Bevan) 등에 의하여 셀룰로스를 원료로 하는 동암모니아법·비스코스법·아세테이트법이 연구되었으며, 1892년 비스코스법이 공업화되었다. 1917년 [[미국]]에서 아메리칸 비스코스의 공장이 세워졌으며, 대한민국에서도 1966년 흥한 비스코스 회사가 설립되었다. 1979년 원진레이온이 설립되어 수요를 자급할 뿐만 아니라 수출도 하고 있다. 합성섬유는 이처럼 인조섬유의 발전에 수반하여 셀룰로스·단백질 등뿐만 아니라 섬유화가 가능한 합성고분자 물질로 섬유를 만드는데 착안, 개발되었다. 합성고분자 물질을 점액체로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면 합성섬유 제조가 가능하다고 기대하게 되었다. 1910년대에 폴리염화비닐에서 합성섬유를 만들게 되었으며, 1913 독일의 [[헤르만]](W.D. Herrman)과 [[훼넬]](W. Hohnel)이 폴리비닐알코올로부터 폴리비닐알코올섬유를 만드는 데 성공하여 특허 신청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수용성이었기에 의료용으로는 부적당하였다. 이것을 본격적인 피복용 섬유로 개발한 것은 국내 사람 이승기를 중심으로 한 일본 경도대학의 연구진으로, 1939년 폴리비닐알코올섬유합성 1호를 발표하였고 공업화는 1948년에 시작되었다. 1938년 미국 뒤퐁사의 [[월리스 흄 캐러더스]](Wallace Hume Carothers)의 연구진에 의하여 폴리아미드섬유인 [[나일론]]이 개발되었다. 독일에서도 폴리아미드섬유의 연구가 이루어져서 나일론6을 합성하여 퍼얼론 엘(Perlon L)이라 명명하였다. 국내에서는 1963년 [[한국나이롱㈜]]에서 나일론을 생산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뒤 여러 회사에서 생산하게 되었다. 1941년에는 폴리에스테르섬유가 영국의 CPA(Calico Printers Association)에서 성공되어 테릴린(Terylene)으로 명명되었다. 국내에서는 1968년 [[대한화섬㈜]]에서 생산을 시작하였다. 1931년 독일에서는 아크릴 섬유의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미국에서도 1948년 뒤퐁사에서 오올론(Orlon)으로 명명해 발표되었고, 1951년에는 미국의 켐스트랜드사(Chemstrand)에서 아크릴란으로 명명, 발표되었다. 국내에서는 한일합섬에서 한일론, 태광산업에서 에이스란 등을 생산하고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26808&cid=46671&categoryId=46671 합성섬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f>
+
[[인조섬유]]가 발명된 것은 누에가 견사를 토하여 내는 것을 보고 인공적으로 섬유를 제조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1674년 영국의 박물학자이며 철학자인 로버트 훅(Robert Hooke)은 저서에서 인조섬유의 가능성을 기술하였고, 1734년 프랑스의 박물학자인 레오뮈르도 점액에서 생사와 같은 섬유를 인공적으로 만들 수 있다고 예상했다. 그 뒤 화학기술의 진전으로 각종 고분자물질이 제조되었고, 1846년 독일의 크리스티안 쇤바인(Christian Friedrich Schönbein)이 [[면]]에서 초화면을 만드는 데 성공하였다. 이것이 최초의 인조섬유의 원료이다. 그리고 독일의 알베르트 슈바이처(Albert Schweitzer)가 슈바이처시약에 셀룰로스가 용해되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동암모니아 인조견사의 기초가 되었다. 그 뒤 찰스 프레데릭 크로스(Charles Frederick Cross)와 에드워드 베반(Edward Bevan) 등에 의하여 셀룰로스를 원료로 하는 동암모니아법·비스코스법·아세테이트법이 연구되었으며, 1892년 비스코스법이 공업화되었다. 1917년 미국에서 아메리칸 비스코스의 공장이 세워졌으며, 대한민국에서도 1966년 흥한비스코스회사가 설립되었다. 1979년 원진레이온이 설립되어 수요를 자급할 뿐만 아니라 수출도 하고 있다. 합성섬유는 이처럼 인조섬유의 발전에 수반하여 셀룰로스·단백질 등뿐만 아니라 섬유화가 가능한 합성고분자 물질로 섬유를 만드는데 착안, 개발되었다. 합성고분자 물질을 점액체로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면 합성섬유 제조가 가능하다고 기대하게 되었다. 1910년대에 폴리염화비닐에서 합성섬유를 만들게 되었으며, 1913 독일의 헤르만(W.D. Herrman)과 훼넬(W. Hohnel)이 폴리비닐알코올로부터 폴리비닐알코올섬유를 만드는 데 성공하여 특허 신청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수용성이었기에 의료용으로는 부적당하였다. 이것을 본격적인 피복용 섬유로 개발한 것은 국내 사람 이승기를 중심으로 한 일본 경도대학의 연구진으로, 1939년 폴리비닐알코올섬유합성 1호를 발표하였고 공업화는 1948년에 시작되었다. 1938년 미국 뒤퐁사 내 캐러더스(Wallace Hume Carothers)의 연구진에 의하여 폴리아미드섬유인 나일론이 개발되었다. 독일에서도 폴리아미드섬유의 연구가 이루어져서 나일론6을 합성하여 퍼얼론 엘(Perlon L)이라 명명하였다. 국내에서는 1963년 한국나일론 주식회사에서 나일론을 생산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뒤 여러 회사에서 생산하게 되었다. 1941년에는 폴리에스테르섬유가 영국의 CPA(Calico Printers Association)에서 성공되어 테릴린(Terylene)으로 명명되었다. 국내에서는 1968년 대한화섬에서 생산을 시작하였다. 1931년 독일에서는 아크릴섬유의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미국에서도 1948년 뒤퐁사에서 오올론(Orlon)으로 명명해 발표되었고, 1951년에는 미국의 켐스트랜드사(Chemstrand)에서 아크릴란으로 명명, 발표되었다. 국내에서는 한일합섬에서 한일론, 태광산업에서 에이스란 등을 생산하고 있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26808&cid=46671&categoryId=46671 합성섬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f>
  
 
==종류==
 
==종류==
26번째 줄: 24번째 줄: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리덴]]은 염화비닐리덴의 중합체로서, 단독 중합체는 열안정성이 나쁘고 일반적인 유기용매에 잘 녹지 않아, 염화비닐과의 혼성중합체로 다양한 비율로 제조하여 사용된다. 폴리염화비닐리덴의 비율이 높으면 강도가 커지고 내약품성이 뛰어나다. 또 얇은 막으로 가공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셀로판·폴리에틸렌 등보다 수증기·공기 등을 잘 투과·흡수하지 않는다. 이런 특징을 이용해서 가장 무겁고 불연성인 합성섬유 사란(Saran)이 만들어졌다. 사란은 커튼, 테이블보, 쇠그물의 대용, 가구, 자동차의 [[시트커버]], 신발 등에 쓰인다. 이 밖에 식품 포장용 필름 등 방습·방취 제품과 천막·어망 등으로 사용된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64124&cid=40942&categoryId=32281 폴리염화비닐리덴]〉, 《두산백과》</ref><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07078&ref=y&cid=40942&categoryId=32092 사란]〉, 《두산백과》</ref>
+
[[폴리염화비닐리덴]]은 염화비닐리덴의 중합체로서, 단독 중합체는 열안정성이 나쁘고 일반적인 유기용매에 잘 녹지 않아, 염화비닐과의 혼성중합체로 다양한 비율로 제조하여 사용된다. 폴리염화비닐리덴의 비율이 높으면 강도가 커지고 내약품성이 뛰어나다. 또 얇은 막으로 가공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셀로판·폴리에틸렌 등보다 수증기·공기 등을 잘 투과·흡수하지 않는다. 이런 특징을 이용해서 가장 무겁고 불연성인 합성섬유 사란이 만들어졌다. 사란은 커튼, 테이블보, 쇠그물의 대용, 가구, 자동차의 [[시트커버]], 신발 등에 쓰인다. 이 밖에 식품 포장용 필름 등 방습·방취 제품과 천막·어망 등으로 사용된다.<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64124&cid=40942&categoryId=32281 폴리염화비닐리덴]〉, 《두산백과》</ref><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07078&ref=y&cid=40942&categoryId=32092 사란]〉, 《두산백과》</ref>
  
 
===아크릴 섬유===
 
===아크릴 섬유===
39번째 줄: 37번째 줄:
  
 
===미세 플라스틱===
 
===미세 플라스틱===
합성섬유로 만든 옷을 세탁기에 넣고 돌리면 [[미세섬유]]라 부르는 매우 작은 섬유 가닥이 방출된다. 미세섬유는 현미경으로 봐야만 확인할 수 있는 아주 작은 [[플라스틱]] 조각이다. 세탁기를 한 번 돌릴 때마다 수십만 개의 미세섬유가 하수구로 흘러 들어간다. 이 가운데 많은 양이 바다에 도달해 수백 년을 떠돌아다닌다. [[세계자연보호연맹]](IUCN)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세플라스틱은 큰 문제를 초래한다. 이 보고서는 전체 해양 플라스틱 오염의 15~31%가 가정 및 산업용 제품에서 방출된 미세한 입자 때문이라고 결론 내렸다. 세계자연보호연맹은 미세 플라스틱 오염의 약 35%는 합성섬유 제품을 세탁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고 이야기한다. 유럽과 중앙아시아에서만 한 사람이 매주 54개의 비닐봉지에 해당하는 양의 미세 플라스틱을 바닥에 버리고 있다고 한다. 합성섬유는 너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면이나 다른 천연섬유만으로는 현재 생산되는 의류를 다 만들 수 없기 때문에 당장 없애버리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ref>커스틴 브로디, 〈[https://www.greenpeace.org/korea/update/5449/blog-plastic-microfibres-harming-our-ocean/ 당신이 입은 미세섬유, 바다를 죽인다]〉, 《그린피스》, 2017-03-09</ref>
+
합성섬유로 만든 옷을 세탁기에 넣고 돌리면 [[미세섬유]]라 부르는 매우 작은 섬유 가닥이 방출된다. 미세섬유는 현미경으로 봐야만 확인할 수 있는 아주 작은 [[플라스틱]] 조각이다. 세탁기를 한 번 돌릴 때마다 수십만 개의 미세섬유가 하수구로 흘러 들어간다. 이 가운데 많은 양이 바다에 도달해 수백 년을 떠돌아다닌다. 세계자연보호연맹(IUCN)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세플라스틱은 큰 문제를 초래한다. 이 보고서는 전체 해양 플라스틱 오염의 15~31%가 가정 및 산업용 제품에서 방출된 미세한 입자 때문이라고 결론 내렸다. 세계자연보호연맹은 미세 플라스틱 오염의 약 35%는 합성섬유 제품을 세탁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고 이야기한다. 유럽과 중앙아시아에서만 한 사람이 매주 54개의 비닐봉지에 해당하는 양의 미세 플라스틱을 바닥에 버리고 있다고 한다. 합성섬유는 너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면이나 다른 천연섬유만으로는 현재 생산되는 의류를 다 만들 수 없기 때문에 당장 없애버리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ref>커스틴 브로디, 〈[https://www.greenpeace.org/korea/update/5449/blog-plastic-microfibres-harming-our-ocean/ 당신이 입은 미세섬유, 바다를 죽인다]〉, 《그린피스》, 2017-03-09</ref>
  
 
{{각주}}
 
{{각주}}
74번째 줄: 72번째 줄:
 
* [[천연섬유]]
 
* [[천연섬유]]
  
{{소재|검토 필요}}
+
{{자동차 부품|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