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시그래프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2번째 줄: 102번째 줄:
  
 
==전망 ==
 
==전망 ==
해시그래프는 자칭 ‘4세대 블록체인’이다. 하지만  ‘3세대 블록체인’이 완성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본인들의 플랫폼을 ‘4세대’라고 부르는 것은 엄청난 도전장이다.<ref name="kblock"></ref> [[DAG]] 방식의 분산원장 플랫폼이 이론처럼 운영될 수 있다면 블록체인 생태계를 뒤바꿀 수 있는 엄청난 혁신일 것이다. 아직까지 안정적으로 초당 수천 개의 거래를 완결성 있게 처리하는 블록체인은 없기 때문이다.
+
해시그래프는 자칭 ‘4세대 블록체인’이다. 하지만  ‘3세대 블록체인’이 완성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본인들의 플랫폼을 ‘4세대’라고 부르는 것은 엄청난 도전장이다.<ref name="kblock"></ref> DAG 방식의 분산원장 플랫폼이 이론처럼 운영될 수 있다면 블록체인 생태계를 뒤바꿀 수 있는 엄청난 혁신일 것이다. 아직까지 안정적으로 초당 수천 개의 거래를 완결성 있게 처리하는 블록체인은 없기 때문이다.
  
 
해시그래프는 해시그래프 기술이 이미 기업 생태계 내에서 큰 문제없이 운영되었으며, 수많은 내부 테스팅을 거쳤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가능성’ 만을 내세운 해시그래프의 이벤트는 조금 실망스럽다는 평가를 받았다. 해시그래프 기술이 어떻게 돌아가거나 어떤 진전이 있었는지에 대한 설명보다는, 플랫폼을 홍보하기 위한 자리였다. 플랫폼의 ‘공개’ 이벤트였던 만큼 자세하게 설명하지 못한 바에 대해서 앞으로 서서히 공개할 가능성은 있다. 하지만 만약 해시그래프 플랫폼이 약속한 대로 구축된다면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엄청난 영향력을 가진 거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ref>나그네, 〈[https://blog.naver.com/sshong3/221320655357 ‘4세대 블록체인’ 해시그래프]〉, 《네이버 블로그》, 2018-07-17</ref>
 
해시그래프는 해시그래프 기술이 이미 기업 생태계 내에서 큰 문제없이 운영되었으며, 수많은 내부 테스팅을 거쳤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가능성’ 만을 내세운 해시그래프의 이벤트는 조금 실망스럽다는 평가를 받았다. 해시그래프 기술이 어떻게 돌아가거나 어떤 진전이 있었는지에 대한 설명보다는, 플랫폼을 홍보하기 위한 자리였다. 플랫폼의 ‘공개’ 이벤트였던 만큼 자세하게 설명하지 못한 바에 대해서 앞으로 서서히 공개할 가능성은 있다. 하지만 만약 해시그래프 플랫폼이 약속한 대로 구축된다면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엄청난 영향력을 가진 거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ref>나그네, 〈[https://blog.naver.com/sshong3/221320655357 ‘4세대 블록체인’ 해시그래프]〉, 《네이버 블로그》, 2018-07-17</ref>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