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시쿼크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해시쿼크 로고.png|썸네일|200픽셀|'''해시쿼크'''(Hashquark)]]
+
'''해시쿼크'''<!--해시콰크-->(Hashquark)는 지분증명 (POS), 위임지분증명 (DPOS) 및 기타 컨센서스 메커니즘의 퍼블릭 블록체인에 초점을 두고 스테이킹(Staking)서비스를 제공하는 신세대의 지분증명 채굴장 (Proof of Stake Pool)이다. 2018년 12월 5일에 서비스를 런칭하였으며 본부는 홍콩에 두고 있다. 대표이사는 리천(李晨, 이신, {{발음|lǐ chén}})이 맡고 있다.
[[파일:해시쿼크 글자.png|썸네일|300픽셀|'''해시쿼크'''(Hashquark)]]
 
[[파일:리천.jpg|썸네일|200픽셀|'''[[리천]]'''(李晨, Michel Lee) 해시쿼크 CEO]]
 
 
 
'''해시쿼크'''<!--해시 쿼크, 해시콰크-->(Hashquark)는 지분증명 (POS), 위임지분증명 (DPOS) 및 기타 컨센서스 메커니즘의 퍼블릭 블록체인에 초점을 두고 스테이킹(Staking)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국계 신세대의 지분증명 채굴장 (Proof of Stake Pool)이다. 2018년 12월 5일에 서비스를 런칭하였으며 본부는 홍콩에 두고 있다. 대표이사는 '''[[리천]]'''(李晨, 이신, {{발음|lǐ chén}})이 맡고 있다.
 
 
 
 
==개요==
 
==개요==
해시쿼크는 핀테크회사 해시키 그룹 (HashKey) 이 투자하여 설립한 회사이며 케이맨 제도에 사업자등록이 되어 있다. 모회사 해시키 그룹은 홍콩에 본부를 두고 있는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 글로벌생태계 구축에 주력하는 회사이며 중국의 Wanxiang Group과 전략적인 제휴관계를 가지고 있다. 해시키 그룹의 회장 샤오펑 (肖风) 은 Wanxiang Group의 부회장과 상무이사, Wanxiang Blockchain Labs의 대표이사를 겸하여 맡고 있다.<ref>"[https://bihu.com/article/1894641112 Register now in HashQuark to be our Genesis users]", 《币乎》, 2018-12-05</ref>
+
해시쿼크는 핀테크회사 해시키 그룹 (HashKey) 이 투자하여 설립한 회사이며 케이맨 제도에 사업자등록이 되어 있다. 모회사 해시키 그룹은 홍콩에 본부를 두고 있는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 글로벌생태계 구축에 주력하는 회사이며 중국의 Wanxiang Group과 전략적인 제휴관계를 가지고 있다. 해시키 그룹의 회장 샤오펑 (肖风) 은 Wanxiang Group의 부회장과 상무이사, Wanxiang Blockchain Labs의 대표이사를 겸하여 맡고 있다.
  
 
해시쿼크는 기관과 개인 그리고 마켓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분증명/위임지분증명/ 지분증명과 유사한 시트템의 구축에 주력한다. 해시쿼크는 많은 퍼블릭블록체인의 제네시스 검증인이자 슈퍼노드이다.
 
해시쿼크는 기관과 개인 그리고 마켓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분증명/위임지분증명/ 지분증명과 유사한 시트템의 구축에 주력한다. 해시쿼크는 많은 퍼블릭블록체인의 제네시스 검증인이자 슈퍼노드이다.
12번째 줄: 7번째 줄:
 
해시쿼크는 2018년 12월 5일에 공식적으로 런칭되었다.
 
해시쿼크는 2018년 12월 5일에 공식적으로 런칭되었다.
  
해시쿼크의 스테이킹 서비스는 Deposit Staking과 Vote Staking 두 가지로 나뉜다.  
+
해시쿼크의 스테이킹 서비스는 Deposit Staking과 Vote Staking 두가지로 나뉜다.  
  
 
Deposit Staking에 참여할 수 있는 블록체인은 EOS, Cosmos, IRISnet, CyberMiles, Qtum, VeChain 이 있으며 Vote Staking에 참여할 수 있는 블록체인은 32종의 체인이 있다.
 
Deposit Staking에 참여할 수 있는 블록체인은 EOS, Cosmos, IRISnet, CyberMiles, Qtum, VeChain 이 있으며 Vote Staking에 참여할 수 있는 블록체인은 32종의 체인이 있다.
20번째 줄: 15번째 줄:
 
* OSP Accelerator – 안전한 스테이킹 환경을 조성하여 파트너들의 개발과 브랜드 구축에 지원한다
 
* OSP Accelerator – 안전한 스테이킹 환경을 조성하여 파트너들의 개발과 브랜드 구축에 지원한다
 
* OSP Service – 큰 자원의 투입이 없이 거래소나 월렛 서비스 제공자들이 회원들한테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지원한다
 
* OSP Service – 큰 자원의 투입이 없이 거래소나 월렛 서비스 제공자들이 회원들한테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지원한다
* OSP Incubator – Key Opinion Leader 들이 PoS 컨센서스 블록체인에 연결하여 이를 자체노드로 활용시 기술적인 지원과 토큰 지원을 추진한다.<ref>"[https://service.hashquark.io/#/ HashQuark OSP professional Staking Service Provider]", ''HashQuark''</ref>
+
* OSP Incubator – Key Opinion Leader 들이 PoS 컨센서스 블록체인에 연결하여 이를 자체노드로 활용시 기술적인 지원과 토큰 지원을 추진한다.
  
 
==연혁==
 
==연혁==
26번째 줄: 21번째 줄:
 
* 2018년 12월 해시쿼크 런칭. Qtum, VeChain에 참여
 
* 2018년 12월 해시쿼크 런칭. Qtum, VeChain에 참여
 
* 2019년 01월 모바일앱 런칭
 
* 2019년 01월 모바일앱 런칭
* 2019년 02월 [[이오스]](EOS), [[싸이벡스]](Cybex)에 참여
+
* 2019년 02월 EOS, Cybex에 참여
 
* 2019년 03월 홍콩에서 Cosmos, IRIS 오프 사이트 이벤트 운영
 
* 2019년 03월 홍콩에서 Cosmos, IRIS 오프 사이트 이벤트 운영
* 2019년 06월 해시쿼크 2.0 버전 출시. Factom, CMT, VSYS에 참여<ref name="introduction"></ref>
+
* 2019년 06월 해시쿼크 2.0 버전 출시. Factom, CMT, VSYS에 참여
 
 
 
==주요인물==
 
==주요인물==
 
▷ 리천 (李晨)
 
▷ 리천 (李晨)
44번째 줄: 38번째 줄:
 
스테이킹에 참여하는 방식에는 Deposit Staking과 Vote Staking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스테이킹에 참여하는 방식에는 Deposit Staking과 Vote Staking 두 가지 방식이 있다.
  
Deposit Staking을 추진할 수 있는 체인과 토큰 락 일수, 예상수익 등은 아래 시트에서 요해할 수 있다.<ref>"[https://www.hashquark.io/#/staking/depositing Deposit Staking]", ''HashQuark''</ref>
+
Deposit Staking을 추진할 수 있는 체인과 토큰 락 일수, 예상수익 등은 아래 시트에서 요해할 수 있다.
 
[[파일:deposit blockchain.png|섬네일|850픽셀|가운데|Deposit Staking 2019-12-04기준]]
 
[[파일:deposit blockchain.png|섬네일|850픽셀|가운데|Deposit Staking 2019-12-04기준]]
 
Vote Staking을 추진할 수 있는 체인과 예상수익 등은 아래시트에서 요해할 수 있다.
 
Vote Staking을 추진할 수 있는 체인과 예상수익 등은 아래시트에서 요해할 수 있다.
64번째 줄: 58번째 줄:
 
* CPChain / Rnode
 
* CPChain / Rnode
 
* CoinEx / Validator
 
* CoinEx / Validator
* [[큐텀]](Qtum) / Supernode
+
* Qtum / Supernode
 
|
 
|
* [[비체인]](VeCHAIN) / Supernode
+
* VeCHAIN / Supernode
 
* V SYSTEMS / Supernode
 
* V SYSTEMS / Supernode
* [[싸이벡스]](Cybex) / Supernode
+
* Cybex / Supernode
* [[팩텀]](Factom) / Supernode
+
* Factom / Supernode
 
}}
 
}}
이며 PlatON, Polkadot, Dfinity 등 3 품목의 체인이 인차 해시쿼크의 운영대상이 될 계획이다.<ref>"[https://www.hashquark.io/#/staking/voting HashQuark - Vote Staking]", ''HashQuark''</ref>
+
이며 PlatON, Polkadot, Dfinity 등 3 품목의 체인이 인차 해시쿼크의 운영대상이 될 계획이다.
  
 
▷ 보안  
 
▷ 보안  
77번째 줄: 71번째 줄:
 
해시쿼크는 자체의 핵심경쟁력을 보안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이의 보안체계는 핵심으로부터 4 층구조의 보안층으로 구성된다.  
 
해시쿼크는 자체의 핵심경쟁력을 보안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이의 보안체계는 핵심으로부터 4 층구조의 보안층으로 구성된다.  
  
기반층 Layer 1은 스마트계약 감사, 악의주소 예방과 버그 수정으로 지원되며 Layer 2는 patch updating, 엑세스 제한, 일일기록와 데이터 마스킹으로 보증된다. Layer 3은 DDOS보호, 무작위 대입 공격 예방, 물리적 방화벽, 어플리케이션 디펜더, 다단계 검증, 암호화 통신 및 보안 경고 시스템으로 보장이 되며 외곽층 Layer 4는 보안 어플리케이션과 컨설턴트, 감사 그리고 정보수집과 일일점검 형식으로 지원된다.<ref name="introduction">"[https://static.hashquark.io/en-US/introduction.pdf?t=1575419871240 Introduction of HashQuark]", ''static.hashquark.io''</ref>
 
  
 
[[파일:security.png|섬네일|850픽셀|가운데|해시쿼크 보안체계]]
 
[[파일:security.png|섬네일|850픽셀|가운데|해시쿼크 보안체계]]
88번째 줄: 81번째 줄:
 
* 페이스북 (Facebook):https://www.facebook.com/hash.quark
 
* 페이스북 (Facebook):https://www.facebook.com/hash.quark
 
* 트위터 (Twitter):https://twitter.com/HashQuark
 
* 트위터 (Twitter):https://twitter.com/HashQuark
 +
 +
 +
 +
  
 
{{각주}}
 
{{각주}}
102번째 줄: 99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리천]]
+
{{로고 필요}}
 
+
{{채굴업체|토막글}}
{{채굴업체|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