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브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8번째 줄: 28번째 줄:
  
 
=== 이더넷 ===
 
=== 이더넷 ===
[[이더넷]](Ethernet)은 OSI 7 계층 중 2계층으로 개인 컴퓨터와 랜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토콜이다. 로버트 멧칼프(Robert Metcalfe)가 박사 논문을 위해 공부했던 알로하 프로토콜(ALOHAnet)에서 영감을 받아서 만들어졌다. 이더넷 아이디어는 멧칼프가 1973년 5월 22일에 쓴 글에서 처음으로 밝혀졌다. 그는 "전자기파 전파를 위한 편재하는 완전 수동적 매체"로 존재할 것으로 예언된 루미 페루 에테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몇 년이 지나서 실질적으로 고안된 이더넷이 요청되자 1976년에 멧칼프와 그의 조수인 데이비드 복스는 《Ethernet: Distributed Packet-Switching For Local Computer Networks》라는 책을 출간했다. 그는 [[DEC]], [[인텔]]과 [[제록스]]와 1980년 9월 30일 이더넷 표준(DIX)을 촉진하기 위해서 공동 작업을 성공적으로 납득시켰다.<ref name= "ETH">이더넷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B%8D%94%EB%84%B7</ref>
+
[[이더넷]]은 OSI 7 계층 중 2계층으로 개인 컴퓨터와 랜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토콜이다. 로버트 멧칼프(Robert Metcalfe)가 박사 논문을 위해 공부했던 알로하 프로토콜(ALOHAnet)에서 영감을 받아서 만들어졌다. 이더넷 아이디어는 멧칼프가 1973년 5월 22일에 쓴 글에서 처음으로 밝혀졌다. 그는 "전자기파 전파를 위한 편재하는 완전 수동적 매체"로 존재할 것으로 예언된 루미 페루 에테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몇 년이 지나서 실질적으로 고안된 이더넷이 요청되자 1976년에 멧칼프와 그의 조수인 데이비드 복스는 《Ethernet: Distributed Packet-Switching For Local Computer Networks》라는 책을 출간했다. 그는 [[DEC]], [[인텔]]과 [[제록스]]와 1980년 9월 30일 이더넷 표준(DIX)을 촉진하기 위해서 공동 작업을 성공적으로 납득시켰다.<ref name= "ETH">이더넷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B%8D%94%EB%84%B7</ref>
  
 
이더넷이라 하면 흔히 인터넷 혹은 인터넷을 검색하다 발생하는 오타로 알고 있다. 이더넷은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의 하나로, 근거리 구간[[(LAN)]] 및 원거리구간([[WAN]])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 이더넷은 OSI 7 레이어의 2계층으로 물리적인 맥주소를 가지고 있고, 각 네트워크 장비마다 고유의 맥주소가 배정되어 있다. 이더넷은 이 맥주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보내는 수신자와 데이터의 목적지를 알고있고 상위계층에서 준 IP주소를 통해 목적지에 찾아가며 목적지에 실제 사용자가 있는지 확인을 하는 역할을 한다. 쉽게 말해 사람의 주민등록번호로 생각할 수 있고 어떤 네트워크 장치에 몇 번 포트인지 인식한다. 이더넷은 기술IEEE 802.3 버전으로 표준화가 되어있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토큰링, FDDI 등의 기술을 가지고 있다. {{자세히|이더넷}}
 
이더넷이라 하면 흔히 인터넷 혹은 인터넷을 검색하다 발생하는 오타로 알고 있다. 이더넷은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의 하나로, 근거리 구간[[(LAN)]] 및 원거리구간([[WAN]])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 이더넷은 OSI 7 레이어의 2계층으로 물리적인 맥주소를 가지고 있고, 각 네트워크 장비마다 고유의 맥주소가 배정되어 있다. 이더넷은 이 맥주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보내는 수신자와 데이터의 목적지를 알고있고 상위계층에서 준 IP주소를 통해 목적지에 찾아가며 목적지에 실제 사용자가 있는지 확인을 하는 역할을 한다. 쉽게 말해 사람의 주민등록번호로 생각할 수 있고 어떤 네트워크 장치에 몇 번 포트인지 인식한다. 이더넷은 기술IEEE 802.3 버전으로 표준화가 되어있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토큰링, FDDI 등의 기술을 가지고 있다. {{자세히|이더넷}}
 
현시대에서 허브는 대부분 사용하지 않고 허브의 기능까지 포함한 스위치를 많이 사용한다. 이더넷 프로토콜은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다. 버스를 탈 때 사람들이 한 번에 몰려서 타면, 입구는 하나인데 여럿이 몰려 당연히 혼잡하게 되고 잘못하면 다칠 수도 있다. 데이터도 이와 같다. 허브는 PC를 하나의 장치로 모아 네트워크에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순서 없이 무작정 데이터를 보내고 받아들이게 되면 데이터 패킷이 혼잡하고 PC들의 데이터 용량도 많이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혼잡을 방지하기 위해서 [[CSMA/CD]] 방식을 이용한 것이다. 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얼마나 있는지. 버스의 배차 간격 및 속도는 어떠한지 버스를 타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 사람은 얼마인지 알아야 충돌을 예비하고 본인이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 할 수 있을 것이다.데이터의 충돌은 예방하지만 데이터 송신 시 프레임이 손실되고 오류가 발생하면 제어하는 역활은 가지고 있지 않다. 이는 상위계층에서 수행하게 된다. 집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뒷면에 보면 랜포트에 UTP 케이블로 연결된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이 인터넷을 연결하는 케이블 이며 보통 [[RJ-45]] 묘듈러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컴퓨터의 포트안에는 랜카드가 구성되어 있고 이 랜카드안에 이더넷 기능이 있다.
 
  
 
; 발전과정
 
; 발전과정
61번째 줄: 59번째 줄:
  
 
이더넷 스위치는 일단 MAC주소가 있어야 하며 MAC주소에 따라 연결된 포트를 통해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보낸다. 따라서 허브보다 신뢰성, 안정성이 보장되고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네트워크의 속도는 향상되지만 단가가 비싸 MAC주소가 차지하는 데이터의 용량이 크다. 그리고 너무많은 PC를 스위치에 연결하게 되면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사용하는 PC 장비들끼리 브로드캐스트 충돌이 발생되고 네트워크 속도가 느려진다. 이를 보안하기에 [[VLAN]] 을 사용한다.<ref>토리대디, 〈[https://yys630.tistory.com/27?category=1102427 네트워크 장비, 허브(Hub), 스위치(Switch), 라우터(Router)개념 및 정리]〉, 《티스토리》, 2020-03-05</ref>
 
이더넷 스위치는 일단 MAC주소가 있어야 하며 MAC주소에 따라 연결된 포트를 통해서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보낸다. 따라서 허브보다 신뢰성, 안정성이 보장되고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네트워크의 속도는 향상되지만 단가가 비싸 MAC주소가 차지하는 데이터의 용량이 크다. 그리고 너무많은 PC를 스위치에 연결하게 되면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사용하는 PC 장비들끼리 브로드캐스트 충돌이 발생되고 네트워크 속도가 느려진다. 이를 보안하기에 [[VLAN]] 을 사용한다.<ref>토리대디, 〈[https://yys630.tistory.com/27?category=1102427 네트워크 장비, 허브(Hub), 스위치(Switch), 라우터(Router)개념 및 정리]〉, 《티스토리》, 2020-03-05</ref>
 +
 +
== 기타 ==
 +
현시대에서 허브는 대부분 사용하지 않고 허브의 기능까지 포함한 스위치를 많이 사용한다. 이더넷 프로토콜은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다. 버스를 탈 때 사람들이 한 번에 몰려서 타면, 입구는 하나인데 여럿이 몰려 당연히 혼잡하게 되고 잘못하면 다칠 수도 있다. 데이터도 이와 같다. 허브는 PC를 하나의 장치로 모아 네트워크에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데 순서 없이 무작정 데이터를 보내고 받아들이게 되면 데이터 패킷이 혼잡하고 PC들의 데이터 용량도 많이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혼잡을 방지하기 위해서 [[CSMA/CD]] 방식을 이용한 것이다. 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얼마나 있는지. 버스의 배차 간격 및 속도는 어떠한지 버스를 타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 사람은 얼마인지 알아야 충돌을 예비하고 본인이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 할 수 있을 것이다.데이터의 충돌은 예방하지만 데이터 송신 시 프레임이 손실되고 오류가 발생하면 제어하는 역활은 가지고 있지 않다. 이는 상위계층에서 수행하게 된다. 집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뒷면에 보면 랜포트에 UTP 케이블로 연결된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이 인터넷을 연결하는 케이블 이며 보통 [[RJ-45]] 묘듈러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컴퓨터의 포트안에는 랜카드가 구성되어 있고 이 랜카드안에 이데넷 기능이 있다.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