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 현대, 현대차-->(Hyundai Motor Company)는 1967년 [[정주영]]이 미국 [[포드자동차]]와 합작하여 설립한 한국의 자동차 제조 회사이다. 1976년 한국 최초의 자동차 고유 모델인 [[포니]](Pony)를 생산했다. 1988년 [[쏘나타]], 1995년 [[아반떼]] 등의 차종을 출시했다. 1998년 [[기아자동차㈜]]를 인수했다. 1999년 [[정몽구]]가 대표이사에 선임되었다. [[아반떼]](Avante), [[쏘나타]](Sonata), [[그랜저]](Grandeur), [[제네시스]](Genesis) 등의 차종을 제조·판매하고 있다. 기존의 [[에쿠스]](Equus)는 제네시스 EQ라는 이름으로 변경했다. 현대자동차㈜는 [[인공지능]](AI) 기반 [[자율주행 자동차]](Smart Car)를 개발하고 있으며, 2016년 3월 [[국토교통부]]로부터 제네시스 자동차에 대해 [[자율주행]] 임시운행 승인을 받았다. 2015년 매출은 44조원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있다.
 
'''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 현대, 현대차-->(Hyundai Motor Company)는 1967년 [[정주영]]이 미국 [[포드자동차]]와 합작하여 설립한 한국의 자동차 제조 회사이다. 1976년 한국 최초의 자동차 고유 모델인 [[포니]](Pony)를 생산했다. 1988년 [[쏘나타]], 1995년 [[아반떼]] 등의 차종을 출시했다. 1998년 [[기아자동차㈜]]를 인수했다. 1999년 [[정몽구]]가 대표이사에 선임되었다. [[아반떼]](Avante), [[쏘나타]](Sonata), [[그랜저]](Grandeur), [[제네시스]](Genesis) 등의 차종을 제조·판매하고 있다. 기존의 [[에쿠스]](Equus)는 제네시스 EQ라는 이름으로 변경했다. 현대자동차㈜는 [[인공지능]](AI) 기반 [[자율주행 자동차]](Smart Car)를 개발하고 있으며, 2016년 3월 [[국토교통부]]로부터 제네시스 자동차에 대해 [[자율주행]] 임시운행 승인을 받았다. 2015년 매출은 44조원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있다.
 
{{:자동차 배너|현대}}
 
{{:자동차 배너|현대}}
 +
 +
== 동영상 ==
 +
<youtube>tukSaCmVrm0</youtube>
  
 
== 개요 ==
 
== 개요 ==
64번째 줄: 67번째 줄:
  
 
====아슬란====
 
====아슬란====
[[파일:아슬란.jpg|썸네일|400픽셀|'''[[현대 아슬란]]'''(Hyundai Aslan)]]
+
[[파일:아슬란.jpg|썸네일|400픽셀|'''[[아슬란]]'''(Aslan)]]
  
[[현대 아슬란]](Hyundai Aslan)은 현대자동차㈜가 2014년에 현대 그랜저와 현대 제네시스의 사이급으로 출시한 대한민국 내수 시장 전용 전륜구동 준대형 세단이다. 그랜저와 제네시스의 사이의 틈새 차종이지만 사실 그랜저의 전륜구동 플랫폼을 이용해서 만든 차라 그랜저와 비슷한 차체 사이즈를 가졌고, 실내공간은 완벽하게 동일하기에 일반적으로 준대형으로 분류한다. 2014년 부산 모터쇼에서 프로젝트명 'AG'로 처음 공개되었으며, 2014년 10월 6월에 사전계약을 받기 시작해 10월 30일에 출시되었다. 기존에 있던 두 상위 차종인 G90과 G80이 떠나고 그 자리에 현대자동차의 상위 [[기함]](플래그십, flagship) 자리에 현대 아슬란이 오르게 됐다. 하지만 2017년 12월 현대 아슬란이 판매 중단되어서 그랜저가 다시 현대자동차의 기함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
[[아슬란]](Aslan)은 현대자동차㈜가 2014년에 현대 그랜저와 현대 제네시스의 사이급으로 출시한 대한민국 내수 시장 전용 전륜구동 준대형 세단이다. 그랜저와 제네시스의 사이의 틈새 차종이지만 사실 그랜저의 전륜구동 플랫폼을 이용해서 만든 차라 그랜저와 비슷한 차체 사이즈를 가졌고, 실내공간은 완벽하게 동일하기에 일반적으로 준대형으로 분류한다. 2014년 부산 모터쇼에서 프로젝트명 'AG'로 처음 공개되었으며, 2014년 10월 6월에 사전계약을 받기 시작해 10월 30일에 출시되었다. 기존에 있던 두 상위 차종인 G90과 G80이 떠나고 그 자리에 현대자동차의 상위기함 자리에 아슬란이 오르게 됐다. 하지만 2017년 12월 아슬란이 판매 중단되어서 그랜저가 다시 현대자동차의 기함의 자리에 오르게 된다.
  
 
=== SUV ===
 
=== SUV ===
137번째 줄: 140번째 줄:
 
[[파일:제네시스 G80.jpg|썸네일|400픽셀|'''제네시스 G80''']]
 
[[파일:제네시스 G80.jpg|썸네일|400픽셀|'''제네시스 G80''']]
  
[[제네시스 (자동차)|제네시스]](Genesis)는 현대자동차㈜가 만든 후륜구동 기반의 고급 준대형 세단 자동차이다. 후속은 제네시스 G80이다. 모델 라인업상 [[다이너스티]]의 정신적 후속 모델로 분류하지만, 다이너스티 자체는 2세대 그랜저를 고급화하고 페이스리프트한 모델이다. 단순히 '그랜저의 고급화 상위 모델'이라는 것만 따지면 다이너스티의 후속 포지션은 [[현대 아슬란]]이 가져가게 되나, 현대자동차 라인업 내에서의 포지션으로 따지자면 제네시스 쪽이 다이너스티의 후속에 가깝다고 볼 수 있겠다. 구동 방식의 차이를 얘기하는 경우도 있는데, [[에쿠스]]도 1세대는 전륜구동이었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다이너스티의 후속은 제네시스로 보는 견해가 많다.  
+
[[제네시스 (자동차)|제네시스]](Genesis)는 현대자동차㈜가 만든 후륜구동 기반의 고급 준대형 세단 자동차이다. 후속은 제네시스 G80이다. 모델 라인업상 [[다이너스티]]의 정신적 후속 모델로 분류하지만, 다이너스티 자체는 2세대 그랜저를 고급화하고 페이스리프트한 모델이다. 단순히 '그랜저의 고급화 상위 모델'이라는 것만 따지면 다이너스티의 후속 포지션은 [[아슬란]]이 가져가게 되나, 현대자동차 라인업 내에서의 포지션으로 따지자면 제네시스 쪽이 다이너스티의 후속에 가깝다고 볼 수 있겠다. 구동 방식의 차이를 얘기하는 경우도 있는데, [[에쿠스]]도 1세대는 전륜구동이었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다이너스티의 후속은 제네시스로 보는 견해가 많다.  
  
 
이전 버전에서는 그랜저 같은 준대형 차량과 크기도 크게 차이나지 않고, 제네시스의 경쟁 차종인 E클래스나 5시리즈 등도 이 범주에 들어서, 준대형이라고 표기하였다는 서술이 있었다. 물론 차량 크기는 [[그랜저]]와의 차이보다 [[에쿠스]]와의 차이가 더 크지만, 위키피디아를 포함한 대부분 해외 사이트에서는 에쿠스와 제네시스를 동일한 Full-size로 분류한다. 단, 유럽식 세그먼트로 분류하면 E세그먼트로 준대형급에 속한다. 여러 모로 준대형이라 보기는 크고, 대형이라 보기는 약간 작은 정도의 크기이다. 또한 무엇보다도 가격이나 내장 트림, 엔진 배기량 등에서 제네시스는 준대형차인 동사의 그랜저보다 급이 높은 대형차로 분류한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에쿠스보다는 조금 작은 대형차, 혹은 준대형차와 기함급 대형차 사이에 있는 대형차가 될 듯하다.  
 
이전 버전에서는 그랜저 같은 준대형 차량과 크기도 크게 차이나지 않고, 제네시스의 경쟁 차종인 E클래스나 5시리즈 등도 이 범주에 들어서, 준대형이라고 표기하였다는 서술이 있었다. 물론 차량 크기는 [[그랜저]]와의 차이보다 [[에쿠스]]와의 차이가 더 크지만, 위키피디아를 포함한 대부분 해외 사이트에서는 에쿠스와 제네시스를 동일한 Full-size로 분류한다. 단, 유럽식 세그먼트로 분류하면 E세그먼트로 준대형급에 속한다. 여러 모로 준대형이라 보기는 크고, 대형이라 보기는 약간 작은 정도의 크기이다. 또한 무엇보다도 가격이나 내장 트림, 엔진 배기량 등에서 제네시스는 준대형차인 동사의 그랜저보다 급이 높은 대형차로 분류한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에쿠스보다는 조금 작은 대형차, 혹은 준대형차와 기함급 대형차 사이에 있는 대형차가 될 듯하다.  
  
차를 잘 모르는 사람도 알 수 있게 정말 단순하게 보자면 [[현대 아반떼]]-[[현대 쏘나타]]-[[현대 그랜저]]-[[현대 에쿠스]]로 이어지는 라인업에서 그랜저와 에쿠스의 중간이다. 현대 아슬란의 출시로 [[현대 그랜저]]와의 차이가 더욱 벌어졌고, 현대자동차의 플래그쉽이었던 [[현대 에쿠스]]와 함께 [[제네시스 (자동차)|제네시스]]로 넘어간 것을 보면 그랜저보다는 에쿠스에 더욱 가깝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기존 현대자동차의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해 메르세데스-벤츠, BMW, 렉서스와 같은 프리미엄 브랜드와 경쟁하려고 만든 차량이다. 현대자동차에서 주장하는 경쟁 차종은 가격대가 비슷하고 차체의 크기가 비슷한 프리미엄 브랜드의 차량들인 E클래스, 5시리즈, A6, ES 등이다.
+
차를 잘 모르는 사람도 알 수 있게 정말 단순하게 보자면 현대 [[아반떼]]-현대 [[쏘나타]]-현대 [[그랜저]]-현대 [[에쿠스]]로 이어지는 라인업에서 그랜저와 에쿠스의 중간이다. 아슬란의 출시로 그랜저와의 차이가 더욱 벌어졌고, 현대자동차의 플래그쉽이었던 에쿠스와 함께 제네시스로 넘어간 것을 보면 그랜저보다는 에쿠스에 더욱 가깝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기존 현대자동차의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해 메르세데스-벤츠, BMW, 렉서스와 같은 프리미엄 브랜드와 경쟁하려고 만든 차량이다. 현대자동차에서 주장하는 경쟁 차종은 가격대가 비슷하고 차체의 크기가 비슷한 프리미엄 브랜드의 차량들인 E클래스, 5시리즈, A6, ES 등이다.
  
 
2008년 1세대 제네시스가 출시된 이후부터 차명이었던 제네시스가 2015년 말부터 현대자동차가 런칭한 프리미엄 브랜드가 되면서 이후 2016년 7월에 2세대 DH의 부분변경 모델인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면서 G80으로 이름이 바뀌며 현대 제네시스는 단종되었다. 차량 로고는 마치 날개를 형상화 한듯한 로고인데 [[에스턴 마틴]]의 로고와도 비슷하다.
 
2008년 1세대 제네시스가 출시된 이후부터 차명이었던 제네시스가 2015년 말부터 현대자동차가 런칭한 프리미엄 브랜드가 되면서 이후 2016년 7월에 2세대 DH의 부분변경 모델인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면서 G80으로 이름이 바뀌며 현대 제네시스는 단종되었다. 차량 로고는 마치 날개를 형상화 한듯한 로고인데 [[에스턴 마틴]]의 로고와도 비슷하다.
444번째 줄: 447번째 줄:
 
=== 제네시스 결함 논란 ===
 
=== 제네시스 결함 논란 ===
 
현대자동차㈜의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의 결함 논란이 인터넷과 SNS에서 일고 있다. 대표적인 피해 사례는 2020년 7월 27일 자동차 커뮤니티 보배드림에 올라온 '홍수난 제네시스'<ref> 사비니, 〈[https://m.bobaedream.co.kr/board/bbs_view/national/1946522 홍수난 제네시스]〉, 《보배드림》, 2020-07-27</ref>라는 글이다. 지난해 2세대 부분 변경 모델을 구매했다는 차주는 "강원도 인제에서 워크숍을 하고 다음날 아침 뒷문을 여는 순간 경악을 하고 말았다. 차 뒷 자석에 물이 찰랑거렸다"며 "오히려 서비스센터 측에서는 침수차가 아닌지 의심을 했다"고 주장했다. 위 사례에 대해 현대차는 "전일 차량 수리를 마쳐 고객에 인도하고 사과 말씀을 드렸다"며 "고무패킹 조립 불량으로 인한 누수가 맞다"고 밝혔다. 특히 2020년 초에 출시된 신형 SUV GV80에서도 계속 제기되고 있는 엔진 떨림 현상이 G80에서도 문제가 되자 현대자동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시노가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소프트웨어 무상 수리를 진행하고 나섰지만 여전히 자동차 커뮤니티에서는 '냉간시동 떨림', '저속/전후진 변속시 미션충격'등 개선되지 않는 문제점에 대해 답답함을 호소하고 있다.<ref> 홍건희 기자, 〈[http://www.e-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776 (EF초점) 현대자동차 제네시스, 잇따른 결함 논란 살펴봤더니]〉, 《이포커스》, 2020-08-31</ref>
 
현대자동차㈜의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의 결함 논란이 인터넷과 SNS에서 일고 있다. 대표적인 피해 사례는 2020년 7월 27일 자동차 커뮤니티 보배드림에 올라온 '홍수난 제네시스'<ref> 사비니, 〈[https://m.bobaedream.co.kr/board/bbs_view/national/1946522 홍수난 제네시스]〉, 《보배드림》, 2020-07-27</ref>라는 글이다. 지난해 2세대 부분 변경 모델을 구매했다는 차주는 "강원도 인제에서 워크숍을 하고 다음날 아침 뒷문을 여는 순간 경악을 하고 말았다. 차 뒷 자석에 물이 찰랑거렸다"며 "오히려 서비스센터 측에서는 침수차가 아닌지 의심을 했다"고 주장했다. 위 사례에 대해 현대차는 "전일 차량 수리를 마쳐 고객에 인도하고 사과 말씀을 드렸다"며 "고무패킹 조립 불량으로 인한 누수가 맞다"고 밝혔다. 특히 2020년 초에 출시된 신형 SUV GV80에서도 계속 제기되고 있는 엔진 떨림 현상이 G80에서도 문제가 되자 현대자동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시노가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소프트웨어 무상 수리를 진행하고 나섰지만 여전히 자동차 커뮤니티에서는 '냉간시동 떨림', '저속/전후진 변속시 미션충격'등 개선되지 않는 문제점에 대해 답답함을 호소하고 있다.<ref> 홍건희 기자, 〈[http://www.e-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776 (EF초점) 현대자동차 제네시스, 잇따른 결함 논란 살펴봤더니]〉, 《이포커스》, 2020-08-31</ref>
 
== 동영상 ==
 
<youtube>tukSaCmVrm0</youtube>
 
  
 
{{각주}}
 
{{각주}}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