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정기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2번째 줄: 12번째 줄:
 
스카이피플에서 처음으로 개발한 게임인 '파이널 블레이드'는 출시 이후 구글 플레이에서 앱 게임 인기순위 1위를 기록했고 최고 매출 2위를 기록하며 게임 시장의 '슈퍼 루키'로 급부상했다. 현재 그를 비롯한 스카이피플은 중동 시장에 주목하고 있는데, 2016년 5월에 카타르 국영 비즈니스 엑셀레이터 센터인 큐빅과 '다크 미러스'를 공동개발하기로 업무 제햑을 맺었다. 이에 대해서 그는 "중동 지역에 적합한 현지화된 모바일 게임을 공동 개발하는 계약"이라고 밝혔으며 "큐빅 측이 한국을 방문해 정식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f>임영택 기자,〈[https://www.mk.co.kr/news/it/view/2017/05/327021/ ‘파이널블레이드’ 개발사 스카이피플, 중동 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매일경제》, 2017-05-16 </ref>  또한 그로부터 2주 만에 카타르 비잔테크와 100만 달러 규모의 공동개발 계약을 달성했다. 국산 게임의 미개척지 중 하나인 중동 시장에 성공적으로 뛰어들었으며,'파이널 블레이드'의 해외 런칭과 카타르를 중심으로 한 중동 지역에서의 사업 확장으로 성장 모멘텀을 다지기 위해 노력했다. 이를 통해 스카이피플은 2017년 [[헤럴드경제]]가 선정한 100대 스타트업 기업 중 한 곳으로 선정 되었다. <ref>변동휘 기자,〈[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71206000511&cpv=1 <2017 100대 스타트업 ⑥>스카이피플·81F게임즈·모글루게임즈·마나바바·팔팔게임즈·토리게임즈·로플스튜디오·608팩토리]〉, 《해럴드경제》, 2017-12-06 </ref>  
 
스카이피플에서 처음으로 개발한 게임인 '파이널 블레이드'는 출시 이후 구글 플레이에서 앱 게임 인기순위 1위를 기록했고 최고 매출 2위를 기록하며 게임 시장의 '슈퍼 루키'로 급부상했다. 현재 그를 비롯한 스카이피플은 중동 시장에 주목하고 있는데, 2016년 5월에 카타르 국영 비즈니스 엑셀레이터 센터인 큐빅과 '다크 미러스'를 공동개발하기로 업무 제햑을 맺었다. 이에 대해서 그는 "중동 지역에 적합한 현지화된 모바일 게임을 공동 개발하는 계약"이라고 밝혔으며 "큐빅 측이 한국을 방문해 정식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f>임영택 기자,〈[https://www.mk.co.kr/news/it/view/2017/05/327021/ ‘파이널블레이드’ 개발사 스카이피플, 중동 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매일경제》, 2017-05-16 </ref>  또한 그로부터 2주 만에 카타르 비잔테크와 100만 달러 규모의 공동개발 계약을 달성했다. 국산 게임의 미개척지 중 하나인 중동 시장에 성공적으로 뛰어들었으며,'파이널 블레이드'의 해외 런칭과 카타르를 중심으로 한 중동 지역에서의 사업 확장으로 성장 모멘텀을 다지기 위해 노력했다. 이를 통해 스카이피플은 2017년 [[헤럴드경제]]가 선정한 100대 스타트업 기업 중 한 곳으로 선정 되었다. <ref>변동휘 기자,〈[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71206000511&cpv=1 <2017 100대 스타트업 ⑥>스카이피플·81F게임즈·모글루게임즈·마나바바·팔팔게임즈·토리게임즈·로플스튜디오·608팩토리]〉, 《해럴드경제》, 2017-12-06 </ref>  
  
또한 '파이널 블레이드'는 화제성과 작품성, 데중성, 독창성 등을 통해 매달 이달의 게임을 선정하는 이 달의 G-rank 시상식'에 모바일 게임 '파이널 블레이드'가2017년 3월 챌린지서울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거두었다. 챌린지서울상은 독창성과 개발력, 게임의 완성도, 시장성 등의 항목을 나누어 평가해 수여하는 상으로 최근 3년 간 연매출 120억 이하의 스타트업 기업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파이널 블레이드'는 출시한 지 보름 만에 누적 다운로드 수 100만을 돌파했으며 요즘 게임의 주류라고 할 수 있는 판타지 적인 세계관이 아닌 동양 풍의 [[인터페이스]]를 선보이고 있다. 이 날 수상에 나선 홍정기 부사장은 “게임에 함께 참여하며 많은 도움 주신 엔씨소프트 관계자 여러분과 게임 이용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 인사를 전한다. 우리는 이 게임으로 글로벌 진출을 성공시켜 한국 게임의 우수함을 널리 알리겠다.”는 수상 소감을 발표했다.<ref> 조영준 기자,〈[http://game.donga.com/86851/ '3월 G-rank 시상식', 챌린지 서울상에 드루와 던전, 이달의 게임에 '파이널블레이드' 선정]〉, 《게임동아》, 2017-03-31 </ref> 
 
  
 
위에서 언급한 대로 눈부신 성과를 거둔 《파이널 블레이드》였지만 점차 이를 찾는 한국 이용자들은 많이 줄었다. 그와 스카이 피플 임직원들은 [[베트남]], [[대만]], [[홍콩]] 등의 해외 서비스에 주력하며 성과를 쌓았지만, 이들은 새로운 사업 형태를 고민하기 시작했다. 그것은 바로 [[블록체인]]과 게임의 만남이었다. 스카이피플의 [[박경재]] 대표는 "처음에는 [[암호화폐]] 투자로 관심을 가지다가 [[블록체인]] 기술을 알게 됐는데, [[ICO]] 등을 보면서 불투명하고 문제가 많다고 느꼈다"며 "(스카이피플은) 이미 게임 개발력을 갖추고 있으니 블록체인을 어떻게 게임에 접목하는지 보여줄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ref name="Hong"> 허준 기자,〈[https://blockpost.com/market/52392/ <블록人터뷰> “블록체인 게임으로 4차산업혁명 진수 보여줄 것”]〉, 《블록포스트》, 2019-10-10 </ref>  
 
위에서 언급한 대로 눈부신 성과를 거둔 《파이널 블레이드》였지만 점차 이를 찾는 한국 이용자들은 많이 줄었다. 그와 스카이 피플 임직원들은 [[베트남]], [[대만]], [[홍콩]] 등의 해외 서비스에 주력하며 성과를 쌓았지만, 이들은 새로운 사업 형태를 고민하기 시작했다. 그것은 바로 [[블록체인]]과 게임의 만남이었다. 스카이피플의 [[박경재]] 대표는 "처음에는 [[암호화폐]] 투자로 관심을 가지다가 [[블록체인]] 기술을 알게 됐는데, [[ICO]] 등을 보면서 불투명하고 문제가 많다고 느꼈다"며 "(스카이피플은) 이미 게임 개발력을 갖추고 있으니 블록체인을 어떻게 게임에 접목하는지 보여줄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ref name="Hong"> 허준 기자,〈[https://blockpost.com/market/52392/ <블록人터뷰> “블록체인 게임으로 4차산업혁명 진수 보여줄 것”]〉, 《블록포스트》, 2019-10-10 </ref>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