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금융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화폐금융'''(monetary financing)은 정부가 지출할 수 있도록 [[중앙은행]]에서 돈을 직접 이체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중앙은행이 새로운 [[국채]](채권)를 직접 매입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ref name="tutor2u"> "[https://www.tutor2u.net/economics/reference/monetary-financing Monetary Financing]", ''tutor2u'' </ref>
+
== 개요 ==
 
 
== 과정 ==
 
* [[정부]]는 지출을 늘리고 더 큰 재정 적자를 운영한다.
 
* 인프라 프로젝트에 자금지원을 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채권 시장에 새로운 정부 부채를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한다.
 
* [[중앙은행]]은 이 새로운 부채의 일부를 매입할 수 있다.
 
* [[중앙은행]]에서 정부로 효과적으로 자금 이전.
 
* 이것은 경제의 기본 통화 공급을 증가시킨다.<ref name="tutor2u"></ref>
 
 
 
== 단점 ==
 
* 가장 큰 걱정은 통화의 기본공급을 늘리면 결국 물가상승률이 가파르게 상승할 것이라는 점이다.
 
* 높은 인플레이션은 가계의 실질 가처분소득을 낮추기 때문에 사실상 가계에 새로운 세금으로 작용한다.
 
* 화폐 금융은 일반적으로 1920년대 [[짐바브웨]], [[베네수엘라]], [[독일 바이마르]]의 재앙적인 결과와 관련이 있다.
 
* 중앙은행이 새로운 부채에 (직접) 자금을 조달할 준비가 되어 있다면 정부 차입에 대한 규율이 줄어들어 무책임한 지출/공공 부문 부채가 증가할 수 있다.<ref name="tutor2u"></ref>
 
 
 
== 화폐와 금융 ==
 
 
오늘날 각국은 통화제도에 있어서 통화공급량을 금(金) 준비에 따라 자동적으로 증감시키는 금본위제도가 아니라 금 준비와 관계없이 통화당국의 정책적 재량에 의하여 통화량을 조절하는 관리통화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관리통화제도 하에서는 통화당국인 중앙은행의 발권력(發券力)과 각 금융기구의 신용을 통하여 공급이 조절된다. 즉 일차적으로 중앙은행이 재정금융, 외환사정에 따라 [[본원통화]](本源通貨)를 기초로 하여 요구불(要求拂)예금 형태의 파생적 통화를 창출함으로써 일국의 통화량 규모가 결정된다. 물론 여기서 통화를 창출하는 금융기구는 요구불 예금을 수입하는 은행기구이며, 이들은 통화의 공급을 매개함으로써 화폐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도 한다.
 
오늘날 각국은 통화제도에 있어서 통화공급량을 금(金) 준비에 따라 자동적으로 증감시키는 금본위제도가 아니라 금 준비와 관계없이 통화당국의 정책적 재량에 의하여 통화량을 조절하는 관리통화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관리통화제도 하에서는 통화당국인 중앙은행의 발권력(發券力)과 각 금융기구의 신용을 통하여 공급이 조절된다. 즉 일차적으로 중앙은행이 재정금융, 외환사정에 따라 [[본원통화]](本源通貨)를 기초로 하여 요구불(要求拂)예금 형태의 파생적 통화를 창출함으로써 일국의 통화량 규모가 결정된다. 물론 여기서 통화를 창출하는 금융기구는 요구불 예금을 수입하는 은행기구이며, 이들은 통화의 공급을 매개함으로써 화폐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도 한다.
  
39번째 줄: 23번째 줄:
  
 
화폐금융론이 거시경제학적 관점에서 금융을 접근한다면 [[금융경제학]]은 [[미시경제학]]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또 [[수리경제학]] 및 [[경제통계학]]적인 관점에서는 [[금융수학]]으로 접근한다.<ref name="나무위키"> 〈[https://namu.wiki/w/%ED%99%94%ED%8F%90%EA%B8%88%EC%9C%B5%EB%A1%A0 화폐금융론]〉, 《나무위키》 </ref>
 
화폐금융론이 거시경제학적 관점에서 금융을 접근한다면 [[금융경제학]]은 [[미시경제학]]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또 [[수리경제학]] 및 [[경제통계학]]적인 관점에서는 [[금융수학]]으로 접근한다.<ref name="나무위키"> 〈[https://namu.wiki/w/%ED%99%94%ED%8F%90%EA%B8%88%EC%9C%B5%EB%A1%A0 화폐금융론]〉, 《나무위키》 </ref>
 
== 동영상 ==
 
<youtube>OjlvGdulR1Q</youtube>
 
  
 
{{각주}}
 
{{각주}}
48번째 줄: 29번째 줄:
 
* 〈[https://ko.wikipedia.org/wiki/%ED%99%94%ED%8F%90%EC%99%80_%EA%B8%88%EC%9C%B5 화폐와 금융]〉,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ED%99%94%ED%8F%90%EC%99%80_%EA%B8%88%EC%9C%B5 화폐와 금융]〉, 《위키백과》
 
* 〈[https://namu.wiki/w/%ED%99%94%ED%8F%90%EA%B8%88%EC%9C%B5%EB%A1%A0 화폐금융론]〉,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D%99%94%ED%8F%90%EA%B8%88%EC%9C%B5%EB%A1%A0 화폐금융론]〉, 《나무위키》
* "[https://www.tutor2u.net/economics/reference/monetary-financing Monetary Financing]", ''tutor2u''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