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9번째 줄: 9번째 줄:
 
=== 회계의 발달 ===
 
=== 회계의 발달 ===
 
중세 유럽의 [[경제]]는 지중해(The Mediterranean Sea)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는데, 그중에서도 [[이탈리아]] 반도의 여러 도시 국가에 의해 주도되었다. 특히, [[유럽]]과 [[아시아]] 사이의 중개[[무역]]이 활발해지면서 과거에는 거대한 제국에서 다뤘을 법한 규모의 거래가 상인집단에 의해 이루어졌다. 상업의 관계자가 소수의 특권계층에서 다양한 상인계층으로 전환됨에 따라 [[채무]]와 거래 관계가 고도로 복잡해지고, 상업과 관련된 분쟁이 자주 벌어졌다. 그래서 중세 상인들의 회계장부는 거래 상대자를 별도의 계정으로 분류하여 [[채권]]·[[채무]] 및 거래 사항을 세세하게 기록하는 형태로 발전하였다. 이처럼 책임을 분명히 하는 회계기법은 후일의 분쟁을 최소화했을 뿐만 아니라 산업화시대 신용경제의 주춧돌이 되었다. 중세를 거쳐 체계화되기 시작한 "자산은 부채와 자본의 합과 같다"라는 [[복식부기]](複式簿記)의 원리인 괴테로부터 '인간의 지혜로 창조된 것 중에서 가장 위대한 발명 중 하나'라는 찬사를 이끌어 냈다. 르네상스 이후 시민혁명을 거쳐 변화된 사회 위에서 발생한 산업혁명은 서구사회의 급격한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되었다.
 
중세 유럽의 [[경제]]는 지중해(The Mediterranean Sea)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는데, 그중에서도 [[이탈리아]] 반도의 여러 도시 국가에 의해 주도되었다. 특히, [[유럽]]과 [[아시아]] 사이의 중개[[무역]]이 활발해지면서 과거에는 거대한 제국에서 다뤘을 법한 규모의 거래가 상인집단에 의해 이루어졌다. 상업의 관계자가 소수의 특권계층에서 다양한 상인계층으로 전환됨에 따라 [[채무]]와 거래 관계가 고도로 복잡해지고, 상업과 관련된 분쟁이 자주 벌어졌다. 그래서 중세 상인들의 회계장부는 거래 상대자를 별도의 계정으로 분류하여 [[채권]]·[[채무]] 및 거래 사항을 세세하게 기록하는 형태로 발전하였다. 이처럼 책임을 분명히 하는 회계기법은 후일의 분쟁을 최소화했을 뿐만 아니라 산업화시대 신용경제의 주춧돌이 되었다. 중세를 거쳐 체계화되기 시작한 "자산은 부채와 자본의 합과 같다"라는 [[복식부기]](複式簿記)의 원리인 괴테로부터 '인간의 지혜로 창조된 것 중에서 가장 위대한 발명 중 하나'라는 찬사를 이끌어 냈다. 르네상스 이후 시민혁명을 거쳐 변화된 사회 위에서 발생한 산업혁명은 서구사회의 급격한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되었다.
=== 정경유착(政經癒着)과 공인회계사(CPA)의 등장 ===
+
=== 정경유착과 공인회계사의 등장 ===
[[영국]]은 식민지 경영을 위해 동인도회사(East India Company) 등 공기업을 막대한 [[비용]]을 들여 설립하고 이들의 식민지 진출을 위해 수많은 전쟁을 일삼았고 그 결과, 많은 부채가 발생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식민지 경영을 통해 얻은 [[이익]]의 대부분이 정부에 [[돈]]을 빌려준 자본가 집단에 돌아갔으나, 정경유착(政經癒着)으로 인해 정부재정으로 환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막대한 정부의 부채를 덜기 위해 1711년 남미지역 [[무역]] 독점권을 지니는 '남해회사'(The South Sea Company)가 설립되었다. 남해회사의 독점권은 국채 900만 파운드(약 9천억 원)를 인수하는 조건으로 부여됐다. 이 회사의 설립이 기획사기라는 점은 이미 '남미지역 무역 독점권'에서 드러난다. 당시 남미는 스페인의 지배 아래 있었는데, 영국은 오랜 기간 동안 스페인과 전쟁을 벌이고 있어 서로 적대적인 관계였다. 당연히 스페인이 무역을 허가할 이유가 없었고, 영국 정부와 의회가 모를 리 없었다. 즉, 남해회사의 경영실적이 없다는 것이다. 1720년 남해회사의 경영손실은 손을 쓰기 어려울 정도였다. 관계자들은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크게 사기를 칠 계획을 세웠다. 남해회사는 정부 [[부채]] 3,200만 파운드(약 3조 2천억 원)를 인수하는 조건으로 주식을 제한 없이 발행할 권리를 얻게 되었다. 그리고 남미 전 항구에 대한 기착권을 따냈거나, 채굴권을 얻었다는 등의 헛소문을 의도적으로 퍼뜨려 주가를 조작하였다. 많은 사람이 투자한 결과, 1720년 1월에 주당 128파운드에 불과했던 주가가 6월에는 주당 1,050파운드로 치솟았다. 하지만 주가가 상승했다고 해서 아무런 활동을 하지 못하는 기업이 이익을 낼 수는 없었다. 6월 이후 실상이 알려지면서 주가는 급락하기 시작하였고 12월에는 원래 수준인 주당 120파운드가 되었다. 분노한 시민들을 위해 몇몇 핵심관계자를 처벌하였으나 영국 정부와 의회가 어느 정도까지 개입되었는지는 사실상 은폐되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제 3자에 의한 회계감사가 제도화되기 시작하면서 '공인회계사'(CPA, Certified Public Accountant)라는 개념이 이때 형성되었다.
+
[[영국]]은 식민지 경영을 위해 동인도회사(East India Company) 등 공기업을 막대한 [[비용]]을 들여 설립하고 이들의 식민지 진출을 위해 수많은 전쟁을 일삼았고 그 결과, 많은 부채가 발생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식민지 경영을 통해 얻은 [[이익]]의 대부분이 정부에 [[돈]]을 빌려준 자본가 집단에 돌아갔으나, 정경유착으로 인해 정부재정으로 환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막대한 정부의 부채를 덜기 위해 1711년 남미지역 [[무역]] 독점권을 지니는 '남해회사'(The South Sea Company)가 설립되었다. 남해회사의 독점권은 국채 900만 파운드(약 9천억 원)를 인수하는 조건으로 부여됐다. 이 회사의 설립이 기획사기라는 점은 이미 '남미지역 무역 독점권'에서 드러난다. 당시 남미는 스페인의 지배 아래 있었는데, 영국은 오랜 기간 동안 스페인과 전쟁을 벌이고 있어 서로 적대적인 관계였다. 당연히 스페인이 무역을 허가할 이유가 없었고, 영국 정부와 의회가 모를 리 없었다. 즉, 남해회사의 경영실적이 없다는 것이다. 1720년 남해회사의 경영손실은 손을 쓰기 어려울 정도였다. 관계자들은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크게 사기를 칠 계획을 세웠다. 남해회사는 정부 [[부채]] 3,200만 파운드(약 3조 2천억 원)를 인수하는 조건으로 주식을 제한 없이 발행할 권리를 얻게 되었다. 그리고 남미 전 항구에 대한 기착권을 따냈거나, 채굴권을 얻었다는 등의 헛소문을 의도적으로 퍼뜨려 주가를 조작하였다. 많은 사람이 투자한 결과, 1720년 1월에 주당 128파운드에 불과했던 주가가 6월에는 주당 1,050파운드로 치솟았다. 하지만 주가가 상승했다고 해서 아무런 활동을 하지 못하는 기업이 이익을 낼 수는 없었다. 6월 이후 실상이 알려지면서 주가는 급락하기 시작하였고 12월에는 원래 수준인 주당 120파운드가 되었다. 분노한 시민들을 위해 몇몇 핵심관계자를 처벌하였으나 영국 정부와 의회가 어느 정도까지 개입되었는지는 사실상 은폐되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제 3자에 의한 회계감사가 제도화되기 시작하면서 '공인회계사'(CPA, Certified Public Accountant)라는 개념이 이때 형성되었다.
 
 
 
=== 오늘날의 회계 ===
 
=== 오늘날의 회계 ===
 
현대 회계기법은 투자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방향으로 발전해 왔다. 그 결과 회계는 [[투자]]를 결정하기 위한 시점에 기업이 지니고 있는 [[자본]]과 [[부채]], 그로부터 파생되는 [[자산]]이나 [[손익]]과 같은 경제적인 가치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수단으로 기능한다. 이를 위해 기업경영은 철저하게 금전적으로 수량화할 수 있는 것을 위주로 치환된다. 그러나 실제로 금전적 확산이 어려운 경제활동의 윤리성, 사회적 책임, [[노동]] 가치를 자연스럽게 객관적이지 않고, 완전하지 않은 가치인 것으로 분리하였다. 이러한 분위기는 신자유주의라는 이름으로 20세기 후반을 휩쓸었다. 신자유주의를 내세운 세력이 2007년 집권한 이후 9년 동안, 우리나라의 정부 정책은 경제성장을 중시하고 공공성보다는 효율성을 강조하였다. 인과적으로 공공·행정 분야도 성과 위주의 평가 체계를 받아들이는 방향으로 급속히 전환되었다. 그런데도 우리나라는 유사 이래 가장 많은 국가 [[부채]]를 짊어짐과 동시에 낮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현실은 신자유주의자들이 주장한 경제적 효율성에 대한 의구심을 만들었다. 기업과 국가를 막론하고, 첨단 회계기법만으로 투명하면서 효과적인 [[경영]]이 보장되지 않을 것이다. 회계기법을 이용하는 주체는 결국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는 곧 회계이론의 발전 과정에서 계산이 어렵다는 이유로 제거된 여러 가치를 되살리는 노력이 필요한 이유이다.<ref>강세진, 〈[http://saesayon.org/2016/12/07/19830/ 위클리펀치(537) 회계의 역사]〉,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2016-12-07</ref>
 
현대 회계기법은 투자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방향으로 발전해 왔다. 그 결과 회계는 [[투자]]를 결정하기 위한 시점에 기업이 지니고 있는 [[자본]]과 [[부채]], 그로부터 파생되는 [[자산]]이나 [[손익]]과 같은 경제적인 가치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수단으로 기능한다. 이를 위해 기업경영은 철저하게 금전적으로 수량화할 수 있는 것을 위주로 치환된다. 그러나 실제로 금전적 확산이 어려운 경제활동의 윤리성, 사회적 책임, [[노동]] 가치를 자연스럽게 객관적이지 않고, 완전하지 않은 가치인 것으로 분리하였다. 이러한 분위기는 신자유주의라는 이름으로 20세기 후반을 휩쓸었다. 신자유주의를 내세운 세력이 2007년 집권한 이후 9년 동안, 우리나라의 정부 정책은 경제성장을 중시하고 공공성보다는 효율성을 강조하였다. 인과적으로 공공·행정 분야도 성과 위주의 평가 체계를 받아들이는 방향으로 급속히 전환되었다. 그런데도 우리나라는 유사 이래 가장 많은 국가 [[부채]]를 짊어짐과 동시에 낮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현실은 신자유주의자들이 주장한 경제적 효율성에 대한 의구심을 만들었다. 기업과 국가를 막론하고, 첨단 회계기법만으로 투명하면서 효과적인 [[경영]]이 보장되지 않을 것이다. 회계기법을 이용하는 주체는 결국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는 곧 회계이론의 발전 과정에서 계산이 어렵다는 이유로 제거된 여러 가치를 되살리는 노력이 필요한 이유이다.<ref>강세진, 〈[http://saesayon.org/2016/12/07/19830/ 위클리펀치(537) 회계의 역사]〉,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2016-12-07</ref>
44번째 줄: 43번째 줄: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55820&cid=40942&categoryId=31914 회계]〉, 《두산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55820&cid=40942&categoryId=31914 회계]〉, 《두산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08357&cid=40942&categoryId=31914 분식회계]〉, 《두산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08357&cid=40942&categoryId=31914 분식회계]〉, 《두산백과》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70473&cid=42114&categoryId=42114 세무회계]〉, 《자격증 사전》
 
 
* 〈[https://wisenomics.com/%EB%B6%84%EC%8B%9D%ED%9A%8C%EA%B3%84-%EB%9C%BB%EA%B3%BC-%EC%82%AC%EB%A1%80/ 분식회계란? 그리고 몇 가지 사례와 유형]〉, 《Wisenomics》, 2018-05-15
 
* 〈[https://wisenomics.com/%EB%B6%84%EC%8B%9D%ED%9A%8C%EA%B3%84-%EB%9C%BB%EA%B3%BC-%EC%82%AC%EB%A1%80/ 분식회계란? 그리고 몇 가지 사례와 유형]〉, 《Wisenomics》, 2018-05-15
 
* 강세진, 〈[http://saesayon.org/2016/12/07/19830/ 위클리펀치(537) 회계의 역사]〉,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2016-12-07
 
* 강세진, 〈[http://saesayon.org/2016/12/07/19830/ 위클리펀치(537) 회계의 역사]〉,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2016-12-07
53번째 줄: 51번째 줄:
 
* [[분식회계]]
 
* [[분식회계]]
  
{{회계|검토 필요}}
+
{{금융|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