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3상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개요==
 
==개요==
한국에 보급된 전기자동차 충전방식은 [[DC콤보]](DC combo), [[차데모]](CHAdeMO), AC3상 방식이 있고 각 방식이 차지하고 있는 점유율은 DC콤보 57%, 차데모 38%, AC3상 5% 순이다.<ref name="홈피">구동현 기자, 〈[https://young.hyundai.com/magazine/motors/detail.do?seq=18031 전기차 충전 코드, 어디까지 알고 있니?]〉, 《영현대》,  2020-03-27</ref> 한국의 경우 최초로 출시된 전기자동차가 [[르노삼성자동차㈜]](Renault Samsung Motors의 [[SM3 Z.E.]]였고, [[DC콤보]] 방식의 [[주파수 간섭]] 문제로 인해 AC3상과 [[차데모]] 방식을 국내 표준으로 제정해서 이용했으나, 전 세계적으로 DC콤보 방식의 효율성이 주목받고 있고 세계적 흐름에 따라 국내 자동차 브랜드의 신형 전기차들이 DC콤보 방식을 주로 채택하면서 국내에서도 DC콤보 방식의 비중이 늘어났다. 전기를 송전효율로 인해서 교류로 전달받지만, [[배터리]]는 [[직류]]로 구성되어 있어서 충전할 때에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하여 차데모나 DC콤보는 충전기에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한 후 배터리를 충전하지만, AC3상은 차량 내부에서 직류로 변환을 하여 사용한다. AC3상 방식을 쓰는 기업은 [[테슬라]](Tesla)와 [[르노삼성자동차㈜]] 등이 있다.<ref>게으른아재, 〈[https://unclestudy.tistory.com/36 전기차 충전방식 - 차데모,콤보,AC3상]〉, 《티스토리》, 2020-08-21</ref>   
+
한국에 보급된 전기자동차 충전방식은 [[DC콤보]](DC combo), [[차데모]](CHAdeMO), AC3상 방식이 있고 각 방식이 차지하고 있는 점유율은 DC콤보 57%, 차데모 38%, AC3상 5% 순이다.<ref name="홈피">구동현 기자, 〈[https://young.hyundai.com/magazine/motors/detail.do?seq=18031 전기차 충전 코드, 어디까지 알고 있니?]〉, 《영현대》,  2020-03-27</ref> 국내의 경우 최초로 출시된 전기자동차가 [[르노삼성자동차㈜]](Renault Samsung Motors의 [[SM3]] Z.E였고, DC콤보 방식의 주파수 간섭 문제로 인해 AC3상과 차데모 방식을 국내 표준으로 제정해서 이용했으나, 전 세계적으로 DC콤보 방식의 효율성이 주목받고 있고 세계적 흐름에 따라 국내 자동차 브랜드의 신형 전기차들이 DC콤보 방식을 주로 채택하면서 국내에서도 DC콤보 방식의 비중이 늘어났다. 전기를 송전효율로 인해서 교류로 전달받지만, 배터리는 직류로 구성되어 있어서 충전할 때에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하여 차데모나 DC콤보는 충전기에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한 후 배터리를 충전하지만, AC3상은 차량 내부에서 직류로 변환을 하여 사용한다. AC3상 방식을 쓰는 기업은 [[테슬라]](Tesla)와 르노삼성자동차㈜가 사용한다.<ref>게으른아재, 〈[https://unclestudy.tistory.com/36 전기차 충전방식 - 차데모,콤보,AC3상]〉, 《티스토리》, 2020-08-21</ref>   
  
 
==특징==
 
==특징==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