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84 프로토콜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BB84 프로토콜'''<!--BB84프로토콜-->(BB84 protocol)[[찰스 베넷]](Charles Bennett)과 [[길레스 브래서드]](Gilles Brassard)가 1984년에 개발한 [[양자키분배]] 체계이다. 최초의 [[양자암호]] 프로토콜이기도 하다.
+
'''BB84 프로토콜'''<!--BB84프로토콜-->(BB84 protocol)[[찰스 베넷]](Charles Bennett)과 [[길레스 브래서드]](Gilles Brassard)가 1984년에 개발한 [[양자키분배]] 체계이다. 최초의 [[양자암호]] 프로토콜이기도 하다.
  
 
== 개요 ==
 
== 개요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 작성한 BB84 프로토콜 표준은 BB84 프로토콜을 정당한 두 사용자가 양자를 이용해서 비밀키를 안전하게 공유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양자키분배 기술 중 이론적으로 안전성이 잘 증명되어 있는 프로토콜이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이다. BB84 프로토콜 외에도 [[B92 프로토콜]], [[6-state 프로토콜]], [[Ekert91 프로토콜]], [[BBM92 프로토콜]] 등이 양자키분배에 사용된다. 여기서 BB84 프로토콜과 다른 몇몇 기법들만 이론상 무 조건부 안전성이 증명되었다. 현재는 물리적으로는 단일광자 구현이 불가능하지만, 디코이 기법과 함께 사용되며 이 또한 안전성이 잘 증명되어 있기 때문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정보통신단체표준]]에는 디코이 기법을 적용한 BB84 프로토콜을 대상으로 어떻게 양자키분배를 해야 할지에 대해 서술되어 있다.<ref name='BB84 프로토콜 표준'>김나영 외 7인, 〈[http://www.tta.or.kr/data/ttas_view.jsp?rn=1&by=asc&order=kor_standard&totalSu=17417&pk_num=TTAK.KO-12.0329-Part2&nowSu=17411 양자 키 분배 - 제2부: BB84 프로토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8-12-19</ref>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 작성한 BB84 프로토콜 표준은 BB84 프로토콜을 정당한 두 사용자가 양자를 이용해서 비밀키를 안전하게 공유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양자키분배 기술 중 이론적으로 안전성이 잘 증명되어 있는 프로토콜이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이다. BB84 프로토콜 외에도 [[B92 프로토콜]], [[6-state 프로토콜]], [[Ekert91 프로토콜]], [[BBM92 프로토콜]] 등이 양자키분배에 사용된다. 여기서 BB84 프로토콜과 다른 몇몇 기법들만 이론상 무 조건부 안전성이 증명되었다. 현재는 물리적으로는 단일광자 구현이 불가능하지만, 디코이 기법과 함께 사용되며 이 또한 안전성이 잘 증명되어 있기 때문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정보통신단체표준]]에는 디코이 기법을 적용한 BB84 프로토콜을 대상으로 어떻게 양자키분배를 해야 할지에 대해 서술되어 있다.<ref name='BB84 프로토콜 표준'>김나영 외 7인, 〈[http://www.tta.or.kr/data/ttas_view.jsp?rn=1&by=asc&order=kor_standard&totalSu=17417&pk_num=TTAK.KO-12.0329-Part2&nowSu=17411 양자 키 분배 - 제2부: BB84 프로토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8-12-19</ref>  
 +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 작성한 BB84 프로토콜 표준은 BB84 프로토콜을 정당한 두 사용자가 양자를 이용해서 비밀키를 안전하게 공유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양자키분배 기술 중 이론적으로 안전성이 잘 증명되어 있는 프로토콜이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이다. 현재는 물리적으로는 단일광자 구현이 불가능하지만, 디코이 기법과 함께 사용되며 이 또한 안전성이 잘 증명되어 있기 때문에 BB84 프로토콜 표준에는 디코이 기법을 적용한 BB84 프로토콜에 대한 내용을 제시한다.
  
BB84 프로토콜은 찰스 베넷과 길레스 브래서드가 양자암호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면서 같이 제안된 개념이다.<ref>BB84 위키피디아 - https://en.wikipedia.org/wiki/BB84</ref> BB84 프로토콜이라는 명칭은 최초 고안자의 이름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특히, 양자암호기술의 창시자인 IBM의 찰스 베넷 박사는 2007년에 고등과학원의 초청으로 서울과학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강을 진행했다. 2011년에는 부산 부경대에서 열린 아시아 양자 정보 국제학술대회(AQIS)에도 참가했다.
+
BB84 프로토콜은 찰스 베넷과 길레스 브래서드가 양자 양자암호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면서 같이 제안했다.<ref>BB84 위키피디아 - https://en.wikipedia.org/wiki/BB84</ref> BB84 프로토콜이라는 명칭은 최초 고안자의 이름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특히, 양자암호기술의 창시자인 IBM의 찰스 베넷 박사는 2007년에 고등과학원의 초청으로 서울과학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강을 진행했다. 2011년에는 부산 부경대에서 열린 아시아 양자 정보 국제학술대회(AQIS)에도 참가했다.
  
 
== 원리 ==
 
== 원리 ==
78번째 줄: 80번째 줄:
 
== 적용 과정 ==
 
== 적용 과정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 작성한 BB84 프로토콜 표준은 BB84 프로토콜을 정당한 두 사용자가 양자를 이용해서 비밀키를 안전하게 공유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양자키분배 기술 중 이론적으로 안전성이 잘 증명되어 있는 프로토콜이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이다. 현재는 물리적으로는 단일광자 구현이 불가능하지만, 디코이 기법과 함께 사용되며 이 또한 안전성이 잘 증명되어 있기 때문에 BB84 프로토콜 표준에는 디코이 기법을 적용한 BB84 프로토콜에 대한 내용을 제시한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 작성한 BB84 프로토콜 표준은 BB84 프로토콜을 정당한 두 사용자가 양자를 이용해서 비밀키를 안전하게 공유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양자키분배 기술 중 이론적으로 안전성이 잘 증명되어 있는 프로토콜이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이다. 현재는 물리적으로는 단일광자 구현이 불가능하지만, 디코이 기법과 함께 사용되며 이 또한 안전성이 잘 증명되어 있기 때문에 BB84 프로토콜 표준에는 디코이 기법을 적용한 BB84 프로토콜에 대한 내용을 제시한다.  
BB84 프로토콜은 양자키분배 절차 중 초기 키 생성 단계 및 걸러진 키 생성 단계와 직접 연관되어 있으며, 비밀키를 생성하는 과정과 함께 안전성이 증명되었다.
+
BB84 프로토콜은 양자키분배 절차 중 초기 키 생성 단계 및 걸리진 키 생성 단계와 직접 연관되어 있으며, 비밀키를 생성하는 과정과 함께 안전성이 증명되었다.
  
 
=== 초기 키 생성 ===
 
=== 초기 키 생성 ===
86번째 줄: 88번째 줄:
 
# 선택한 시그널과 디코이에 대해 생성 기저와 부호화할 값을 각각 무작위로 선택하고 네 가지 양자 상태 중 하나를 생성해서 양자 채널을 통해 수신자에게 전송한다.
 
# 선택한 시그널과 디코이에 대해 생성 기저와 부호화할 값을 각각 무작위로 선택하고 네 가지 양자 상태 중 하나를 생성해서 양자 채널을 통해 수신자에게 전송한다.
 
# 수신자는 두 측정 기저 중 하나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신호를 측정한다.
 
# 수신자는 두 측정 기저 중 하나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신호를 측정한다.
# 송신자는 생성한 양자 상태를, 수신자는 측정한 양자 상태의 결과를 각각의 초기 키로 저장한다.  
+
# 송신자는 성성한 양자 상태를, 수신자는 측정한 양자 상태의 결과를 각각의 초기 키로 저장한다.  
  
 
우선 송수신 자는 시그널과 디코이 선택, 기저와 전송 값 선택 등에 사용할 난수를 생성해야 한다. 특히 시그널과 디코이는 송신자를 제외한 그 누구도 구별할 수 없어야 하므로 난수를 사용하여 무작위로 선택한다. 송신자의 생성 기저와 전송 값, 수신자의 측정 기저 또한 모두 난수를 적용하여 무작위로 선택한다. 난수 생성기는 의사 난수 생성기보다 양자난수생성기를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양자난수생성기의 물리적 결함 등 완벽한 난수를 생성하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의사 난수 생성기를 사용해도 된다. 난수를 생성한 후에는 인증된 송신자가 키 추출에 관여하는 시그널과 외부 공격에 대비하는 디코이를 무작위로 선택한다. 이때 시그널과 디코이는 송신자를 제외해야 하며, 그 누구도 구별할 수 없어야 한다. 만약 구별할 수 있다면 다 광자 환경에서 광자 수 분리 공격을 진행한다. 그다음 선택한 시그널이나 디코이에 대해 두 기저 <math>B_{z}</math>와 <math>B_{x}</math>와 값 0, 1 중에서 각각 하나씩 무작위로 선택한다. 선택한 기저의 무작위로 선택한 값을 부호화해서 네 개의 양자 상태 중 하나를 준비하고, 이를 양자 채널을 통해서 수신자에게 전달한다. 네 개의 양자 상태는 서로 직교하지 않는 관계인 <math>B_{z}</math>와 <math>B_{x}</math>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고, 각 기저 내의 두 상태는 서로 직교한 상태이다. 예를 들어 편광 부호화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네 가지 양자 상태는 <math>B_{z}</math>와 <math>B_{x}</math>에 대해 각각 <math>\left\{|0>-|1>\right\}</math> 관계이다. 위상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네 가지 양자 상태는 각 기저에 대해 <math>\left\{0, \pi\right\}</math>와 <math>\left\{\frac{1}{2}\pi , \frac{3}{2}\pi\right\}</math>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수신자는 송신자가 전송한 양자 상태에 대해 측정 기저 <math>\left\{B_{z}, B_{x}\right\}</math> 중 아무거나 하나를 선택하고 측정한다. 마지막으로 송신자는 생성한 양자 상태를, 수신자는 양자 상태의 결과를 각자의 초기 키로 저장한다.
 
우선 송수신 자는 시그널과 디코이 선택, 기저와 전송 값 선택 등에 사용할 난수를 생성해야 한다. 특히 시그널과 디코이는 송신자를 제외한 그 누구도 구별할 수 없어야 하므로 난수를 사용하여 무작위로 선택한다. 송신자의 생성 기저와 전송 값, 수신자의 측정 기저 또한 모두 난수를 적용하여 무작위로 선택한다. 난수 생성기는 의사 난수 생성기보다 양자난수생성기를 사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양자난수생성기의 물리적 결함 등 완벽한 난수를 생성하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의사 난수 생성기를 사용해도 된다. 난수를 생성한 후에는 인증된 송신자가 키 추출에 관여하는 시그널과 외부 공격에 대비하는 디코이를 무작위로 선택한다. 이때 시그널과 디코이는 송신자를 제외해야 하며, 그 누구도 구별할 수 없어야 한다. 만약 구별할 수 있다면 다 광자 환경에서 광자 수 분리 공격을 진행한다. 그다음 선택한 시그널이나 디코이에 대해 두 기저 <math>B_{z}</math>와 <math>B_{x}</math>와 값 0, 1 중에서 각각 하나씩 무작위로 선택한다. 선택한 기저의 무작위로 선택한 값을 부호화해서 네 개의 양자 상태 중 하나를 준비하고, 이를 양자 채널을 통해서 수신자에게 전달한다. 네 개의 양자 상태는 서로 직교하지 않는 관계인 <math>B_{z}</math>와 <math>B_{x}</math>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고, 각 기저 내의 두 상태는 서로 직교한 상태이다. 예를 들어 편광 부호화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네 가지 양자 상태는 <math>B_{z}</math>와 <math>B_{x}</math>에 대해 각각 <math>\left\{|0>-|1>\right\}</math> 관계이다. 위상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네 가지 양자 상태는 각 기저에 대해 <math>\left\{0, \pi\right\}</math>와 <math>\left\{\frac{1}{2}\pi , \frac{3}{2}\pi\right\}</math>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수신자는 송신자가 전송한 양자 상태에 대해 측정 기저 <math>\left\{B_{z}, B_{x}\right\}</math> 중 아무거나 하나를 선택하고 측정한다. 마지막으로 송신자는 생성한 양자 상태를, 수신자는 양자 상태의 결과를 각자의 초기 키로 저장한다.
  
* '''주의할 점''' : 초기 키 생성 단계에서 사용되는 정보의 무작위성이 보장되기 위해서 송신자는 시그널과 디코이의 구분, 양자 상태의 기저와 부호화를 각각 무작위로 선택해야만 한다. 만일 이러한 무작위성이 보장되지 못한다면 도청자에게 키에 대한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무작위로 선택된 정보는 걸러진 키 생성 단계 전까지 공개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한다. 초기 키를 생성할 때 송신자의 양자 상태 정보와 송수신 간의 기저 정보가 누출된다면, 도청자가 이를 활용하여 키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또, BB84 프로토콜에서는 디코이와 시그널의 평균 광자 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송신자를 제외한 시그널과 디코이는 그 누구도 구별할 수 없어야 한다. 만약 평균광자 수를 다르게 구성하지 않았다면, 디코이 기법의 목적을 상실하게 된다. 그리고 초기 키 생성을 완료하기 전에 송신자를 제외한 누군가가 시그널과 디코이를 구별할 수있다면 시그널 정보에 대한 PNS 공격을 할 수 있다.<ref name='BB84 프로토콜 표준'></ref>
+
* '''주의할 점''' : 초기 키 생성 단계에서 사용되는 정보의 무작위성이 보장되기 위해서 송신자는 시그널과 디코이의 구분, 양자 상태의 기저와 부호화를 각각 무작위로 선택해야만 한다. 만일 이러한 무작위성이 보장되지 못한다면 도청자에게 키에 대한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무작위로 선택된 정보는 걸러진 키 생성 단계 전까지 공개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한다. 초기 키를 생성할 때 송신자의 양자 상태 정보와 송수신 간의 기저 정보가 누출된다면, 도청자가 이를 활용하여 키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또, BB84 프로토콜에서는 디코이와 시그널의 평균 광자 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송신자를 제외한 시그널과 디코이는 그 누구도 구별할 수 없어야 한다. 만약 평균광자 수를 다르게 구성하지 않았다면, 디코이 기법의 목적을 상실하게 된다. 그리고 초기 키 생성을 완료하기 전에 송신자를 제외한 누군가가 시그널과 디코이를 구별할 수있다면 시그널 정보에 대한 PNS 공격을 할 수 있다.<ref name='BB84 프로토콜 표준'></ref>  
  
 
=== 걸러진 키 생성 ===
 
=== 걸러진 키 생성 ===
111번째 줄: 113번째 줄:
 
=== 비밀키 생성 ===
 
=== 비밀키 생성 ===
 
걸러진 키에 후처리 과정인 오류 정정과 비밀증폭 절차를 적용해서 최종 비밀키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비밀키 생성에 필요한 핵심요소는 걸러진 키, 오류 정정 기법, 비밀증폭 기법, 인증키이다. 비밀키 생성 단계는 다음과 같이 이뤄진다.
 
걸러진 키에 후처리 과정인 오류 정정과 비밀증폭 절차를 적용해서 최종 비밀키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비밀키 생성에 필요한 핵심요소는 걸러진 키, 오류 정정 기법, 비밀증폭 기법, 인증키이다. 비밀키 생성 단계는 다음과 같이 이뤄진다.
# 송수신 자는 걸러진 키를 일치시키기 위해 비트 오류정정 기법을 사용하여 오류를 정정한다.  
+
# 송수신 자는 걸리진 키를 일치시키기 위해 비트 오류정정 기법을 사용하여 오류를 정정한다.  
 
# 송수신 자는 오류정보 및 오류정정 과정에서 유출된 정보를 비밀증폭 과정으로 제거한다.
 
# 송수신 자는 오류정보 및 오류정정 과정에서 유출된 정보를 비밀증폭 과정으로 제거한다.
 
# 송수신 자는 위의 모든 과정 수행 결과를 비밀키로 저장한다.
 
# 송수신 자는 위의 모든 과정 수행 결과를 비밀키로 저장한다.
117번째 줄: 119번째 줄:
  
 
* '''주의할 점''' : 오류정정 기법에 필요한 정보들은 변조할 수 없어야 하므로 다양한 무결성 보장 기법을 적용해서 변조 가능성을 검사한다. 공개 채널로 송수신되는 오류 정정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전자 서명, 암호 검사합, 오류 감지 코드, 메시지 인증 코드 기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오류정정 과정에서 공개되는 정보는 반드시 완전히 제거해야 하며,  공개된 내용을 통해 혹시라도 비밀키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비밀 증폭을 과정을 진행한다. 이때 양자키분배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비밀증폭 기법을 사용한다.<ref name='BB84 프로토콜 표준'></ref>
 
* '''주의할 점''' : 오류정정 기법에 필요한 정보들은 변조할 수 없어야 하므로 다양한 무결성 보장 기법을 적용해서 변조 가능성을 검사한다. 공개 채널로 송수신되는 오류 정정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전자 서명, 암호 검사합, 오류 감지 코드, 메시지 인증 코드 기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오류정정 과정에서 공개되는 정보는 반드시 완전히 제거해야 하며,  공개된 내용을 통해 혹시라도 비밀키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비밀 증폭을 과정을 진행한다. 이때 양자키분배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비밀증폭 기법을 사용한다.<ref name='BB84 프로토콜 표준'></ref>
 
== 적용 ==
 
=== 양자키분배 ===
 
양자키분배 기술은 양자를 이용하여 통신상의 비밀키를 나누는 방식으로, 양자암호통신 기술이라고도 불린다. 양자키분배에서는 기존 채널을 통해 암호화 데이터를 전송하고 양자 채널을 통해서 비밀키를 공유한다. 데이터 암호화 자체는 기존의 AES 같은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지만, 양자 채널을 통해서 비밀키를 공유한다. 통신 도중에 도청자가 난입하면 송수신하던 정보가 왜곡되기 때문에 송수신 자가 바로 감지할 수 있다는 특징이자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도청자는 송수신 간에서 절대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안전하게 보안을 지킬 수 있는 대표적인 암호체계이다. 양자키분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단일광자광원, 광자 검출기, 난수 발생기, 양자 중계기, 프로토콜 등이 필요한데, BB84 프로토콜은 그 중에서도 양자 암호 프로토콜에 속한다. 안정성과 구현 가능성 면에서 현재까지 나온 프로토콜 중 가장 강력한 프로토콜로 인정받고 있다.<ref> 엘지씨엔에스 보안컨설팅팀, 〈[https://blog.lgcns.com/2020 양자 컴퓨팅 시대, 양자 암호 기술과 보안]〉, 《엘지씨엔에스》, 2019-06-12</ref> 국내의 대표적인 양자키분배 기술 보유 기업은 에스케이텔레콤㈜와 ㈜케이티가 있다. 특히 에스케이텔레콤㈜은 2011년에 양자기술연구소를 설립하여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개발하다가, 2016년, 스위스 암호통신 기업 아이디퀀티크를 인수하여 양자난수생성기 기술을 보유하게 되었다.
 
양자키분배의 후처리 과정으로는 정보보정(information reconciliation), 비밀성 증폭(privacy amplification), 인증(authentication)이 있다. 도청자의 공격이나 양자 채널과 양자 검출 장치의 불완전성으로 인하여 송수신 자 사이의 암호키 불일치 문제가 일어나는 것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송수신 간의 동일한 키 정보를 보장하는 동시에 도청자가 노출된 정보에서 키에 대한 정보를 절대 유추하지 못하도록 노출된 정보와 키 정보 간의 상관관계를 최대로 낮춘다.
 
취약점은 광자 분리 공격(PNS Attack), 맨 인 더-미들-어택(MITM Attack), 서비스 거부 공격(DoS)가 대표적이다. 광자 분리 공격은 단일광자생성기의 불완전성을 이용해서 파훼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신호를 생성하면 광자가 하나만 생성되지 않고 하나이상의 광자를 동시에 생성하여 전송한다. 통신회선 중간에 반투명 거울을 설치해서 광신호의 일부를 분리하고 측정하여, 어떤 신호가 전송되는지 알아내는 공격 방법이다. 맨 인 더-미들-어택은 송수신 중간에 공격자가 중계소처럼 행세해서 송수신 자를 교란하는 방법이다. 송신자와 공격자 사이에 다른 키를 공유하고, 공격자와 수신자 간의 다른 키를 공유하여 중간에서 오가는 신호를 도청한다. 서비스 거부 공격은 통신 선상에 과부하를 줘서 정상적으로 통신하지 못하거나 하기 힘들게 만드는 방법이다. 제일 대표적인 예시로는 케이블을 물리적으로 절단하는 행위이다. 이 외에도 퍼블릭 채널을 대상으로 하는 고전적인 서비스 거부 공격 등을 할 수 있다.
 
  
 
== 용어 ==
 
== 용어 ==
151번째 줄: 147번째 줄:
 
* 김나영 외 7인, 〈[http://www.tta.or.kr/data/ttas_view.jsp?rn=1&by=asc&order=kor_standard&totalSu=17417&pk_num=TTAK.KO-12.0329-Part2&nowSu=17411 양자 키 분배 - 제2부: BB84 프로토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8-12-19
 
* 김나영 외 7인, 〈[http://www.tta.or.kr/data/ttas_view.jsp?rn=1&by=asc&order=kor_standard&totalSu=17417&pk_num=TTAK.KO-12.0329-Part2&nowSu=17411 양자 키 분배 - 제2부: BB84 프로토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8-12-19
 
* 나랑 놀자, 〈[https://blog.naver.com/cyj5595/220871341079 양자암호:BB84 protocol]〉, 《네이버블로그》, 2016-11-26
 
* 나랑 놀자, 〈[https://blog.naver.com/cyj5595/220871341079 양자암호:BB84 protocol]〉, 《네이버블로그》, 2016-11-26
* 엘지씨엔에스 보안컨설팅팀, 〈[https://blog.lgcns.com/2020 양자 컴퓨팅 시대, 양자 암호 기술과 보안]〉, 《엘지씨엔에스》, 2019-06-12
 
 
* 김선우, 〈[https://www.ksakosmos.com/post/%EB%8F%84%EC%B2%AD%EC%9E%90%EB%A5%BC-%EC%9E%A1%EC%95%84%EB%82%BC-%EC%88%98-%EC%9E%88%EB%8A%94-%EC%95%94%ED%98%B8 도청자를 잡아낼 수 있는 암호]〉, 《한국과학영재학교온라인과학매거진》, 2019-10-30
 
* 김선우, 〈[https://www.ksakosmos.com/post/%EB%8F%84%EC%B2%AD%EC%9E%90%EB%A5%BC-%EC%9E%A1%EC%95%84%EB%82%BC-%EC%88%98-%EC%9E%88%EB%8A%94-%EC%95%94%ED%98%B8 도청자를 잡아낼 수 있는 암호]〉, 《한국과학영재학교온라인과학매거진》, 2019-10-30
 
* 나영인 기자, 〈[http://www.sn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804 이봐, 우린 도청 당하고 있어!]〉, 《서울대학교대학신문》, 2011-09-04  
 
* 나영인 기자, 〈[http://www.sn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804 이봐, 우린 도청 당하고 있어!]〉, 《서울대학교대학신문》, 2011-09-04  
160번째 줄: 155번째 줄:
 
* [[양자암호통신]]
 
* [[양자암호통신]]
 
* [[양자키분배]]
 
* [[양자키분배]]
* [[E91 프로토콜]]
 
* [[B92 프로토콜]]
 
 
* [[양자]]
 
* [[양자]]
  
 
{{암호 알고리즘|검토 필요}}
 
{{암호 알고리즘|검토 필요}}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