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BMW 로고.png|썸네일|200픽셀|'''BMW'''(비엠더블유, Bayerische Motoren Werke)]]
+
[[파일:비엠더블유 로고.png|썸네일|200픽셀|'''비엠더블유'''(BMW, Bayerische Motoren Werke)]]
[[파일:BMW 글자.png|썸네일|300픽셀|'''BMW'''(비엠더블유, Bayerische Motoren Werke)]]
+
[[파일:비엠더블유 글자.png|썸네일|300픽셀|'''비엠더블유'''(BMW, Bayerische Motoren Werke)]]
 
[[파일:미니 (BMW) 글자.png|썸네일|300픽셀|'''[[미니]]'''(Mini)]]
 
[[파일:미니 (BMW) 글자.png|썸네일|300픽셀|'''[[미니]]'''(Mini)]]
 
[[파일:롤스로이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롤스로이스]]'''(Rolls-Royce)]]
 
[[파일:롤스로이스 글자.png|썸네일|300픽셀|'''[[롤스로이스]]'''(Rolls-Royce)]]
[[파일:BMW M 글자.png|썸네일|300픽셀|'''[[BMW M]]'''(비엠더블유 엠)]]
+
[[파일:비엠더블유 엠 글자.png|썸네일|300픽셀|'''[[비엠더블유 엠]]'''(BMW M)]]
  
'''BMW'''(비엠더블유, 宝马) 혹은 '''BMW그룹'''<!--BMW 그룹-->(비엠더블유 그룹)은 [[독일]] [[바이에른주]](Bayern) [[뮌헨]](München)에 본사를 두고 있는 [[자동차]], [[모터사이클]] 판매와 제작 및 [[엔진]] 제조 회사이다. 회사의 정식 명칭은 독일어로 '바이에리세 모토렌 베르케 AG'(Bayerische Motoren Werke AG)이고, 영어로는 '바바리안 모터 워크스'(Bavarian Motor Works)이며, 한국어 명칭은 '바이에른 원동기 공업 주식회사'이다. 중국어로는 바오마(宝马, {{발음|宝马}})라고 한다. BMW 그룹의 부속 브랜드에는 BMW, [[BMW M]](비엠더블유 엠), 인수된 영국의 소형자동차 브랜드인 [[BMW 미니]](BMW Mini)와 영국의 초호화 자동차 수공 제조 기업 [[롤스로이스]](Rolls-Royce) 등의 브랜드가 있다. 또한 영국의 SUV 제조사 [[랜드로버]](Land Rover)도 보유하였으나 심각한 적자 탓에 [[포드모터컴퍼니]](Ford Motor Company)에 매각하였고, 현재는 재규어 랜드로버를 관리하는 [[타타 자동차]](Tata Motors Limited)가 소유하고 있다. BMW는 [[아우디]], [[메르세데스-벤츠]]와 더불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고급 자동차 브랜드이며 모터사이클은 [[모터라드]](Motorrad)와 [[허스큐바나]](Husqvarna)에서 생산된다. 이 회사는 1916년 3월 7일에 설립되어 브랜드 역사가 100년이 넘었으며 설립자는 '''[[프란츠 요세프 포프]]'''(Franz Josef Popp)이며 공동 설립자는 '''[[막스 프리츠]]'''(Max Friz)이다. 현재 [[하랄드 크루거]](Harald Kruger) 전 회장의 후임으로 전 BMW 그룹 생산부문 총괄 사장인 '''[[올리버 집세]]'''(Oliver Zipse)가 회장 겸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ref name="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BMW BMW]", 《위키백과》</ref><ref name="Wikipedia">"[https://en.wikipedia.org/wiki/BMW BMW]", ''Wikipedia''</ref>  
+
'''비엠더블유'''(BMW) 혹은 '''비엠더블유 그룹'''(BMW Group)은 [[독일]] [[바이에른주]](Bayern) [[뮌헨]](München)에 본사를 두고 있는 [[자동차]], [[모터사이클]] 판매와 제작 및 [[엔진]] 제조 회사이다. 회사의 정식 명칭은 독일어로 '''바이에리세 모토렌 베르케 AG'''(Bayerische Motoren Werke AG)이고, 영어로는 '''바바리안 모터 워크스'''(Bavarian Motor Works)이며, 한국어 명칭은 '''바이에른 원동기 공업 주식회사'''이다. BMW 그룹의 부속 브랜드에는 BMW, [[비엠더블유 엠]](BMW M), 인수된 영국의 소형자동차 브랜드인 [[비엠더블유 미니]](BMW Mini)와 영국의 초호화 자동차 수공 제조 기업 [[롤스로이스]](Rolls-Royce) 등의 브랜드가 있다. 또한 영국의 SUV 제조사 [[랜드로버]](Land Rover)도 보유하였으나 심각한 적자 탓에 [[포드모터컴퍼니]](Ford Motor Company)에 매각하였고, 현재는 재규어 랜드로버를 관리하는 [[타타 자동차]](Tata Motors Limited)가 소유하고 있다. BMW는 [[아우디]], [[메르세데스-벤츠]]와 더불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고급 자동차 브랜드이며 모터사이클은 [[모터라드]](Motorrad)와 [[허스큐바나]](Husqvarna)에서 생산된다. 이 회사는 1916년 3월 7일에 설립되어 브랜드 역사가 100년이 넘었으며 설립자는 '''[[프란츠 요세프 포프]]'''(Franz Josef Popp)이며 공동 설립자는 '''[[막스 프리츠]]'''(Max Friz)이다. 현재 [[하랄드 크루거]](Harald Kruger) 전 회장의 후임으로 전 BMW 그룹 생산부문 총괄 사장인 '''[[올리버 집세]]'''(Oliver Zipse)가 회장 겸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ref name="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BMW BMW]", 《위키백과》</ref><ref name="Wikipedia">"[https://en.wikipedia.org/wiki/BMW BMW]", ''Wikipedia''</ref>  
  
2015년 BMW는 227만 9503대가 생산돼 세계 12위의 자동차 생산국이었으며 회사는 특히 [[관광자동차]], [[포뮬러 원]](Formula 1), [[스포츠카]], 맨 티티(Man TT)에서 중요한 모터스포츠 역사를 가지고 있다. BMW는 뮌헨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독일, 브라질, 중국,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영국, 미국, 멕시코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고 있다. '''[[크반트]]'''(Quandt) 가문은 1959년 [[헤르베르트 크반트]](Herbert Quandt) 형제와 [[하랄트 크반트]](Harald Quandt)의 투자로 회사를 파산에서 구했다.<ref name="Wikipedia"></ref> BMW는 2020년 7월 말 기준 세계 자동차 회사 순위 통계에 따르면 시가 총액 44.73 빌리언 달러(약 54조 원)이며 전 세계 6위를 차지하였다. 또한 BMW는 ‘Bayerische Motoren Werker’의 줄임말로 바이에른 지방의 자동차회사란 뜻이며 파란색과 흰색의 로고는 비행기 프로펠러의 움직임을 상징하는 동시에 바이에른 주를 상징한다.<ref>돈냄새, 〈[https://blog.naver.com/smellofmoney/222040149578 세계 자동차 회사 순위, 자동차 회사 시가총액]〉, 《네이버블로그》, 2020-07-24</ref>
+
2015년 BMW는 227만 9503대가 생산돼 세계 12위의 자동차 생산국이었으며 회사는 특히 [[관광자동차]], [[포뮬러 원]](Formula 1), [[스포츠카]], 맨 티티(Man TT)에서 중요한 모터스포츠 역사를 가지고 있다. BMW는 뮌헨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독일, 브라질, 중국,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영국, 미국, 멕시코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고 있다. 크반트(Quandt) 가문은 1959년 [[헤비하트 크반트]](Herbert Quandt) 형제와 [[하랄드 크반트]](Harald Quandt)의 투자로 회사를 파산에서 구했다.<ref name="Wikipedia"></ref> BMW는 2020년 7월 말 기준 세계 자동차 회사 순위 통계에 따르면 시가 총액 44.73 빌리언 달러(약 54조 원)이며 전 세계 6위를 차지하였다. 또한 BMW는 ‘Bayerische Motoren Werker’의 줄임말로 바이에른 지방의 자동차회사란 뜻이며 파란색과 흰색의 로고는 비행기 프로펠러의 움직임을 상징하는 동시에 바이에른 주를 상징한다.<ref>돈냄새, 〈[https://blog.naver.com/smellofmoney/222040149578 세계 자동차 회사 순위, 자동차 회사 시가총액]〉, 《네이버블로그》, 2020-07-24</ref>
{{:자동차 배너|BMW}}
 
  
 
==개요==
 
==개요==
 
[[파일:BMW 본사 건물.jpg|250픽셀|섬네일|오른쪽|BMW 본사 건물]]
 
[[파일:BMW 본사 건물.jpg|250픽셀|섬네일|오른쪽|BMW 본사 건물]]
  
BMW(비엠더블유)는 [[세단]](Sedan), [[컨버터블]](Convertible), [[SUV]](Sport Utility Vehicle), [[스포츠카]](Sports Car) 그리고 [[모터사이클]](Motor Cycle)을 제조 · 판매하는 독일의 자동차 브랜드이다. 1913년 [[카를 라프]](Karl Rapp) 혹은 [[칼 프리드리히 라프]](Karl Friedrich Rapp)가 뮌헨(Munich) 지역에 항공기 엔진 제조업체인 ‘라프 모토렌 베르케(Rapp Motoren Werke, (영)Rapp Motor Woks)’를 설립해 독일 공군에 엔진을 납품했다. 1916년 경영 위기에 처한 라프 모토렌 베르케를 오스트리아 태생 엔지니어인 프란츠 요세프 포프(Franz Josef Popp)와 그의 동업자인 막스 프리츠(Max Friz)가 인수하여 항공기엔진회사인 BFW(Bayerische Flugzeug Werke AG)를 설립했으며, 1917년 회사 이름을 ‘바이에리셰 모토렌 베르케(Bayerische Motoren Werke, (영)Bavarian Motor Works)’로 변경했다. 이때부터 바이에리셰 모토렌 베르케는 약자로 ‘BMW’로 불리게 되었으며 1914 ~ 1919년 제1차 세계대전에서 동맹국(독일, 이탈리아, 오스트리아)의 패배로 BMW는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항공기 엔진 생산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으며 독일에서 더는 비행기를 제작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바이에리셰 모토렌 베르케는 항공기 엔진에서 모터사이클로 눈을 돌렸고, 1928년에 자동차 산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아이제나흐 공장을 인수했으며 1929년 첫 자동차 BMW Dixi를 생산했다. 한때 경영난으로 벤츠의 인수 제안도 받았지만 지금은 벤츠의 경쟁상대로 성장하였다. BMW가 1972년 출시한 BMW 5시리즈가 세계 시장에서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얻었고, 이후 1975년 출시한 BMW 3시리즈와 1977년 출시된 BMW 7시리즈가 좋은 반응을 얻으면서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했다.<ref name="세계 브랜드 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53884&cid=43168&categoryId=43168 BMW - 세계 브랜드 백과]〉, 《네이버 지식백과》</ref><ref name="네이버 지식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50775&cid=43167&categoryId=43167 BMW - 기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ref>  
+
비엠더블유(BMW)는 [[세단]](Sedan), [[컨버터블]](Convertible), [[SUV]](Sport Utility Vehicle), [[스포츠카]](Sports Car) 그리고 [[모터사이클]](Motor Cycle)을 제조 · 판매하는 독일의 자동차 브랜드이다. 1913년 [[카를 라프]](Karl Rapp) 혹은 [[칼 프리드리히 라프]](Karl Friedrich Rapp)가 뮌헨(Munich) 지역에 항공기 엔진 제조업체인 ‘라프 모토렌 베르케(Rapp Motoren Werke, (영)Rapp Motor Woks)’를 설립해 독일 공군에 엔진을 납품했다. 1916년 경영 위기에 처한 라프 모토렌 베르케를 오스트리아 태생 엔지니어인 프란츠 요세프 포프(Franz Josef Popp)와 그의 동업자인 막스 프리츠(Max Friz)가 인수하여 항공기엔진회사인 BFW(Bayerische Flugzeug Werke AG)를 설립했으며, 1917년 회사 이름을 ‘바이에리셰 모토렌 베르케(Bayerische Motoren Werke, (영)Bavarian Motor Works)’로 변경했다. 이때부터 바이에리셰 모토렌 베르케는 약자로 ‘BMW’로 불리게 되었으며 1914 ~ 1919년 제1차 세계대전에서 동맹국(독일, 이탈리아, 오스트리아)의 패배로 BMW는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항공기 엔진 생산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으며 독일에서 더는 비행기를 제작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바이에리셰 모토렌 베르케는 항공기 엔진에서 모터사이클로 눈을 돌렸고, 1928년에 자동차 산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아이제나흐 공장을 인수했으며 1929년 첫 자동차 BMW Dixi를 생산했다. 한때 경영난으로 벤츠의 인수 제안도 받았지만 지금은 벤츠의 경쟁상대로 성장하였다. BMW가 1972년 출시한 BMW 5시리즈가 세계 시장에서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얻었고, 이후 1975년 출시한 BMW 3시리즈와 1977년 출시된 BMW 7시리즈가 좋은 반응을 얻으면서 세계적인 브랜드로 성장했다.<ref name="세계 브랜드 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53884&cid=43168&categoryId=43168 BMW - 세계 브랜드 백과]〉, 《네이버 지식백과》</ref><ref name="네이버 지식백과">〈[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50775&cid=43167&categoryId=43167 BMW - 기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ref>  
  
2013년 BMW 90주년 기념 모자를 보면 BMW motorrad라고 되어있으며 2016년에는 회사 창립 100주년을 맞았다. 독일 국내에서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인 [[ZF]](ZF 프리드리히스하펜 AG)와 협력하고 있으며, BMW의 후륜구동 차량에는 거의 ZF의 자동변속기가 달린다. 2019년 기준 BMW의 생산량은 약 2백 56만 대, 수익은 약 십만 4천 2백억 유로, 영업 이익은 약 7천 4백억 유로, 순이익 50억 2천 2백만 유로, 총 자산 약 22만 8천억 유로, 총 자본 약 5만 9천 9백 유로이며 13만 3천 7백여 명의 직원을 보유한 BMW는 [[메르세데스-벤츠]], [[아우디]]와 더불어 독일의 3대 고급차 제조사로 손꼽고 있다. 회사의 이사회 주주에는 50% 지분을 소유한  [[퍼블릭 플로트]](Public float), 29% 지분을 소유한 [[슈테판 크반트]](Stefan Quandt), 21% 지분을 소유한 [[주자네 클라텐]](Susanne Klatten)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8년 연쇄적인 차량 화재 발생으로 인해 대한민국에서의 회사 이미지가 실추되었다.<ref name="위키백과"></ref><ref name="나무위키">"[https://namu.wiki/w/BMW BMW]", 《나무위키》</ref><ref name="네이버 지식백과"></ref><ref name="Wikipedia"></ref>
+
2013년 BMW 90주년 기념 모자를 보면 BMW motorrad라고 되어있으며 2016년에는 회사 창립 100주년을 맞았다. 독일 국내에서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인 [[ZF]](ZF 프리드리히스하펜 AG)와 협력하고 있으며, BMW의 후륜구동 차량에는 거의 ZF의 자동변속기가 달린다. 2019년 기준 BMW의 생산량은 약 2백 56만 대, 수익은 약 십만 4천 2백억 유로, 영업 이익은 약 7천 4백억 유로, 순이익 50억 2천 2백만 유로, 총 자산 약 22만 8천억 유로, 총 자본 약 5만 9천 9백 유로이며 13만 3천 7백여 명의 직원을 보유한 BMW는 [[메르세데스-벤츠]], [[아우디]]와 더불어 독일의 3대 고급차 제조사로 손꼽고 있다. 회사의 이사회 주주에는 50% 지분을 소유한  [[퍼블릭 플로트]](Public float), 29% 지분을 소유한 [[슈테판 크반트]](Stefan Quandt), 21% 지분을 소유한 [[수잔 클라텐]](Susanne Klatten)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8년 연쇄적인 차량 화재 발생으로 인해 대한민국에서의 회사 이미지가 실추되었다.<ref name="위키백과"></ref><ref name="나무위키">"[https://namu.wiki/w/BMW BMW]", 《나무위키》</ref><ref name="네이버 지식백과"></ref><ref name="Wikipedia"></ref>
  
 
==자회사==
 
==자회사==
===BMW 미니===
+
===비엠더블유 미니===
[[파일:신형 미니 새빌 로 에디션.jpg|350픽셀|섬네일|'''[[BMW 미니]]''' - 신형 미니 새빌 로 에디션]]
+
[[파일:신형 미니 새빌 로 에디션.jpg|350픽셀|섬네일|오른쪽|비엠더블유 미니 - 신형 미니 새빌 로 에디션]]
  
'''[[BMW 미니]]'''(BMW Mini) 혹은 '''[[미니]]'''(Mini)는 영국의 소형차 상표인 미니라는 모델명을 가진 자동차를 1959년부터 사용되었지만 미니라는 회사는 1969년에 설립되었다. 1994년 BMW가 영국의 로버 그룹을 인수하면서 미니의 권리를 같이 사들이면서 BMW의 자회사가 되었다. 또한 당시 심각한 적자 탓에 2000년에 로버를 공중분해하게 되는데, 랜드로버는 [[포드]]에 넘기고, [[로버]]와 [[MG]]는 단돈 1파운드에 영국의 사모 펀드인 피닉스 컨소시엄에 넘겼지만 미니 상표만큼은 잔류하게 했다. 미니 원내 브리티시 모터 컴퍼니(BMC)에서 생산한 자동차였다가 브리티시 레일랜드, 그리고 BMW를 거쳐 가면서 상표화되었다.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인 BMW의 전륜구동, 상시 4륜구동 해치백형 쿠페를 말한다. 영국의 자동차 제조사 브리티쉬 모터의 자동차 브랜드인 미니를 BMW가 인수한 후 새롭게 설계하여 출시했다. 2001년 4월부터 영국 옥스퍼드셔주 옥스퍼드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2세대(R56)부터 모델 라인업이 증가했다.
+
'''[[비엠더블유 미니]]'''(BMW Mini) 혹은 '''[[미니]]'''(Mini)는 영국의 소형차 상표인 미니라는 모델명을 가진 자동차를 1959년부터 사용되었지만 미니라는 회사는 1969년에 설립되었다. 1994년 BMW가 영국의 로버 그룹을 인수하면서 미니의 권리를 같이 사들이면서 BMW의 자회사가 되었다. 또한 당시 심각한 적자 탓에 2000년에 로버를 공중분해하게 되는데, 랜드로버는 [[포드]]에 넘기고, [[로버]]와 [[MG]]는 단돈 1파운드에 영국의 사모 펀드인 피닉스 컨소시엄에 넘겼지만 미니 상표만큼은 잔류하게 했다. 미니 원내 브리티시 모터 컴퍼니(BMC)에서 생산한 자동차였다가 브리티시 레일랜드, 그리고 BMW를 거쳐 가면서 상표화되었다.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인 BMW의 전륜구동, 상시 4륜구동 해치백형 쿠페를 말한다. 영국의 자동차 제조사 브리티쉬 모터의 자동차 브랜드인 미니를 BMW가 인수한 후 새롭게 설계하여 출시했다. 2001년 4월부터 영국 옥스퍼드셔주 옥스퍼드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2세대(R56)부터 모델 라인업이 증가했다.
  
 
1959년 1세대에 출시된 R50/R53는 모리스와 오스틴이라는 브랜드를 달고 판매되었으며, 본격적으로 "미니"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된 것은 1962년도의 일이었다. 1961년에는 알렉 이시고니스 경의 친구인 존 쿠퍼 경이 조금 더 강력한 미니인 미니쿠퍼 S를 개발하여 내놓았으며, 1965년에는 4단 자동변속기를 추가하였다. 1967년에 한 차례의 페이스리프트를 거쳤으며 1976년에 또 한 차례의 부분 변경을 거쳐, 1988년에는 BMC가 로버로 명칭을 바꾸면서 "로버 미니"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1994년에 BMW에 경영권을 넘겼는데 로버 사를 정상화시키기 위해 4조원이 넘는 자금을 투자했으나 2000년에 로버 그룹은 매각되었다. 1996년에는 최종 변경을 통해 처음으로 에어백을 적용하였다. 미니가 BMW에 인수된 2000년까지 오랜 기간 동안 생산되었으며, 1964년부터 1967년까지 몬테카를로 랠리에서 4회 연속 우승하며, 영국을 자랑하는 국민차로 떠오르는 데 이바지하였다. 이 덕에 엘리자베스 2세 여왕까지 이 차를 구입할 정도로 엄청난 인기 때문에 전 세계 누적 530만 대를 생산대수를 기록한 최장수 모델로도 알려져 있다.  
 
1959년 1세대에 출시된 R50/R53는 모리스와 오스틴이라는 브랜드를 달고 판매되었으며, 본격적으로 "미니"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된 것은 1962년도의 일이었다. 1961년에는 알렉 이시고니스 경의 친구인 존 쿠퍼 경이 조금 더 강력한 미니인 미니쿠퍼 S를 개발하여 내놓았으며, 1965년에는 4단 자동변속기를 추가하였다. 1967년에 한 차례의 페이스리프트를 거쳤으며 1976년에 또 한 차례의 부분 변경을 거쳐, 1988년에는 BMC가 로버로 명칭을 바꾸면서 "로버 미니"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1994년에 BMW에 경영권을 넘겼는데 로버 사를 정상화시키기 위해 4조원이 넘는 자금을 투자했으나 2000년에 로버 그룹은 매각되었다. 1996년에는 최종 변경을 통해 처음으로 에어백을 적용하였다. 미니가 BMW에 인수된 2000년까지 오랜 기간 동안 생산되었으며, 1964년부터 1967년까지 몬테카를로 랠리에서 4회 연속 우승하며, 영국을 자랑하는 국민차로 떠오르는 데 이바지하였다. 이 덕에 엘리자베스 2세 여왕까지 이 차를 구입할 정도로 엄청난 인기 때문에 전 세계 누적 530만 대를 생산대수를 기록한 최장수 모델로도 알려져 있다.  
34번째 줄: 33번째 줄:
  
 
롤스로이스는 자사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표현하고 탑승자의 편리한 승하차를 돕기 위해 도어의 경첩(hinge)을 뒤쪽에 장착한 '코치 도어(coach door)'를 사용한다. 수어사이드 도어(suicide door)라고도 불리는 이 방식은 뒷문이 다른 차들과는 반대 방향으로 열리며, 도어에 우산꽂이가 달려 있다. 롤스로이스가 가장 최근에 선보인 모델은 '레이스'로, 기존 모델들보다 약 2억 가량 저렴하며 전 모델은 후륜구동이다. 롤스로이스에서는 캐스트롤의 엔진오일을 권장하고 있으며, 엔진 겉면에 Recommend Castrol 문구를 명기하고 있다. 대한민국에는 1992년 영국계 자동차 직판 회사인 인치케이프를 통해 들어왔으며, 1998년 인치케이프가 철수하여 수입이 잠시 중단되었다. 이후, BMW는 롤스로이스를 인수하여 팬텀을 내놓은 후 대한민국에 다시 들어왔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A1%A4%EC%8A%A4%EB%A1%9C%EC%9D%B4%EC%8A%A4_%EC%9E%90%EB%8F%99%EC%B0%A8 롤스로이스 자동차]〉, 《위키백과》</ref>
 
롤스로이스는 자사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표현하고 탑승자의 편리한 승하차를 돕기 위해 도어의 경첩(hinge)을 뒤쪽에 장착한 '코치 도어(coach door)'를 사용한다. 수어사이드 도어(suicide door)라고도 불리는 이 방식은 뒷문이 다른 차들과는 반대 방향으로 열리며, 도어에 우산꽂이가 달려 있다. 롤스로이스가 가장 최근에 선보인 모델은 '레이스'로, 기존 모델들보다 약 2억 가량 저렴하며 전 모델은 후륜구동이다. 롤스로이스에서는 캐스트롤의 엔진오일을 권장하고 있으며, 엔진 겉면에 Recommend Castrol 문구를 명기하고 있다. 대한민국에는 1992년 영국계 자동차 직판 회사인 인치케이프를 통해 들어왔으며, 1998년 인치케이프가 철수하여 수입이 잠시 중단되었다. 이후, BMW는 롤스로이스를 인수하여 팬텀을 내놓은 후 대한민국에 다시 들어왔다.<ref>〈[https://ko.wikipedia.org/wiki/%EB%A1%A4%EC%8A%A4%EB%A1%9C%EC%9D%B4%EC%8A%A4_%EC%9E%90%EB%8F%99%EC%B0%A8 롤스로이스 자동차]〉, 《위키백과》</ref>
 +
===비엠더블유 엠===
 +
[[파일:2020 BMW X6 M 모델.jpg|350픽셀|섬네일|오른쪽|비엠더블유 엠 신형 - 2020 BMW X6 M 모델]]
  
===BMW M===
+
'''[[비엠더블유 엠]]'''(BMW M) 혹은 '''비엠더블유 엠 유한회사'''(BMW M GmbH)는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 BMW의 자회사이다. 당사는 1972년에 설립되었으며 원래의 사명은 BMW 모터스포츠(BMW Motorsports GmbH)였으며 이후 M-테크니크 또는 M이라고 부르고 있다. 1972년 5월 설립되었고 BMW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자동차 경주에서 크게 성공한 후 이를 지속적으로 뒷받침하게 위해 설립하였다. 또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BMW의 모터스포츠를 담당할 전문적인 부서로서 설립이 되었고, F1 대회에서 BMW팀이 해산한 후 현재는 큰 대회에 참여하는 일은 예전만큼 많진 않다. 지속적으로 소규모 대회라든가 독일 지역 대회에는 꾸준히 참가하고 있는 편이다. BMW의 슬로건인 ‘Sheer Driving Pleasure(진정한 운전의 즐거움)’ 가장 부합하는 모델들을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부서라고 생각하면 된다. M의 앰블럼에 포함된 3가지 색상은 각자 상징하는 요소가 있는데, 빨간색은 초기 M경주때 BMW와 파트너쉽을 맺었던 텍사코라는 미국의 유명한 석유 소매 브랜드/하늘색은 BMW와 바이에른 지역/파란색은 하늘색과 빨간색을 합친 것으로 서로간의 협력을 굳건히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엠 퍼포먼스 모델(M Performance Models)은 기존의 BMW 모델보다는 더 고성능이지만, M보다는 조금 모자란 성능을 가지고 있는 라인업으로 아우디의 S 모델, 메르세데스-벤츠 AMG 35, 43, 53 등과 동일한 포지션으로, 이들과 경쟁하기 위해 만들어진 라인업. BMW의 세단 뿐만 아니라 SUV까지 모든 모델에 M 퍼포먼스 라인업이 존재한다.<ref>"[https://namu.wiki/w/BMW%20M BMW M]", 《나무위키》</ref><ref>"[hhttps://ko.wikipedia.org/wiki/BMW_M BMW M]", 《위키백과》</ref><ref name="나무위키"></ref>
[[파일:2020 BMW X6 M 모델.jpg|350픽셀|썸네일|'''BMW M''' 신형 - 2020 BMW X6 M 모델]]
 
 
 
'''[[BMW M]]'''(비엠더블유 엠) 혹은 '''BMW M 유한회사'''(BMW M GmbH)는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 BMW의 자회사이다. 당사는 1972년에 설립되었으며 원래의 사명은 BMW 모터스포츠(BMW Motorsports GmbH)였으며 이후 M-테크니크 또는 M이라고 부르고 있다. 1972년 5월 설립되었고 BMW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자동차 경주에서 크게 성공한 후 이를 지속적으로 뒷받침하게 위해 설립하였다. 또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BMW의 모터스포츠를 담당할 전문적인 부서로서 설립이 되었고, F1 대회에서 BMW팀이 해산한 후 현재는 큰 대회에 참여하는 일은 예전만큼 많진 않다. 지속적으로 소규모 대회라든가 독일 지역 대회에는 꾸준히 참가하고 있는 편이다. BMW의 슬로건인 ‘Sheer Driving Pleasure(진정한 운전의 즐거움)’ 가장 부합하는 모델들을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부서라고 생각하면 된다. M의 앰블럼에 포함된 3가지 색상은 각자 상징하는 요소가 있는데, 빨간색은 초기 M경주때 BMW와 파트너쉽을 맺었던 텍사코라는 미국의 유명한 석유 소매 브랜드/하늘색은 BMW와 바이에른 지역/파란색은 하늘색과 빨간색을 합친 것으로 서로간의 협력을 굳건히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엠 퍼포먼스 모델(M Performance Models)은 기존의 BMW 모델보다는 더 고성능이지만, M보다는 조금 모자란 성능을 가지고 있는 라인업으로 아우디의 S 모델, 메르세데스-벤츠 AMG 35, 43, 53 등과 동일한 포지션으로, 이들과 경쟁하기 위해 만들어진 라인업. BMW의 세단 뿐만 아니라 SUV까지 모든 모델에 M 퍼포먼스 라인업이 존재한다.<ref>"[https://namu.wiki/w/BMW%20M BMW M]", 《나무위키》</ref><ref>"[hhttps://ko.wikipedia.org/wiki/BMW_M BMW M]", 《위키백과》</ref><ref name="나무위키"></ref>
 
  
 
==주요 인물==
 
==주요 인물==
[[파일:프란츠 요세프 포프.jpg|썸네일|200픽셀|'''[[프란츠 요세프 포프]]'''(Franz Josef Popp) 설립자]]
+
[[파일:프란츠 요세프 포프.jpg|200픽셀|섬네일|오른쪽|'''[[프란츠 요세프 포프]]'''(Franz Josef Popp) 설립자]]
[[파일:막스 프리츠.jpg|썸네일|200픽셀|'''[[막스 프리츠]]'''(Max Friz) 공동설립자]]
+
[[파일:올리버 집세.jpg|200픽셀|섬네일|오른쪽|'''[[올리버 집세]]'''(Oliver Zipse) 회장 겸 대표이사]]
[[파일:슈테판 크반트.jpg|썸네일|200픽셀|'''[[슈테판 크반트]]'''(Stefan Quandt) 최대주주]]
 
[[파일:주자네 클라텐.jpg|썸네일|200픽셀|'''[[주자네 클라텐]]'''(Susanne Klatten) 2대주주]]
 
[[파일:올리버 집세1.jpg|200픽셀|섬네일|오른쪽|'''[[올리버 집세]]'''(Oliver Zipse) 회장 겸 대표이사]]
 
  
 
===프란츠 요세프 포프===
 
===프란츠 요세프 포프===
'''[[프란츠 요세프 포프]]'''(Franz Josef Popp, 1886년 ~ 1954년)는 BMW 그룹의 자동차 및 오토바이 제조업체인 BMW(비엠더블유)의 설립자이다. 1886년 [[오스트리아]]의 [[]](Vienna)에서 태어났고, 1901년 가족과 함께 체코로 이사가 그곳에서 그래머 스쿨(Grammar School)을 졸업했다. 1909년 기계공학과 전기공학의 공동 학위를 취득한 후, 그는 오스트리아의 빈으로 돌아와 전자제품 제조업체인 AEG(Allgemeine Elektricitäts-Gesellschaft)에서 기술자로 근무했다. 이때 프란츠 요세프 포프는 감독관으로 하청업체인 엔진 제조업체인 라프 모토렌 베르케에 장기 파견되었고, 이곳의 열악한 생산 시스템을 혁신하기 위해 AEG사내 동기인 막스 프리츠가 합류했다. 제1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16년 라프 모토렌 베르케가 경영난을 겪게 되자 프란츠 요세프 포프와 막스 프리츠는 경영권을 인수해 1917년에 ‘바이에리셰 모토렌 베르케(BMW)’로 이름을 바꾸었고, 1918년 주식회사로 상장시켰다. 이후 프란츠 요세프 포프의 경영 하에 BMW는 항공기 엔진을 생산해 독일 군대에 납품했다.<ref name="세계 브랜드 백과"></ref>
+
'''[[프란츠 요세프 포프]]'''(Franz Josef Popp, 1886년 ~ 1954년)는 BMW 그룹의 자동차 및 오토바이 제조업체인 비엠더블유(BMW)의 설립자이다. 1886년 오스트리아의 빈(Vienna)에서 태어났고, 1901년 가족과 함께 체코로 이사가 그곳에서 그래머 스쿨(Grammar School)을 졸업했다. 1909년 기계공학과 전기공학의 공동 학위를 취득한 후, 그는 오스트리아의 빈으로 돌아와 전자제품 제조업체인 AEG(Allgemeine Elektricitäts-Gesellschaft)에서 기술자로 근무했다. 이때 프란츠 요세프 포프는 감독관으로 하청업체인 엔진 제조업체인 라프 모토렌 베르케에 장기 파견되었고, 이곳의 열악한 생산 시스템을 혁신하기 위해 AEG사내 동기인 막스 프리츠가 합류했다. 제1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16년 라프 모토렌 베르케가 경영난을 겪게 되자 프란츠 요세프 포프와 막스 프리츠는 경영권을 인수해 1917년에 ‘바이에리셰 모토렌 베르케(BMW)’로 이름을 바꾸었고, 1918년 주식회사로 상장시켰다. 이후 프란츠 요세프 포프의 경영 하에 BMW는 항공기 엔진을 생산해 독일 군대에 납품했다.<ref name="세계 브랜드 백과"></ref>
 
 
 
===막스 프리츠===
 
===막스 프리츠===
'''[[막스 프리츠]]'''(Max Friz, 1883년 10월 1일 ~ 1966년 6월 9일)는 엔진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독일 기계 엔지니어였으며 BMW의 공동 설립자이다. 그는 1917년 BMW(Bayerische Motoren Werke AG, BMW)를 설립하게 된 엔진 설계 및 혁신의 핵심 공헌자이다. 그는 원래 우라흐 출신인 것으로 추정되며 어린 나이에 1898년부터 칸스타트(Cannstatt)의 쿤(Kuhn) 증기 기관 회사에 견습생으로 근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02년 그는 그의 공학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슈투트가르트-에슬링겐에 있는 로얄 빌딩 무역 학교(Royal Building Trade School)에 등록하였다. 또한 1906년 디자인 오피스에서 다임러 모토렌 게셀샤프트(Daimler Motoren Gesellschaft)에 고용되어 1914년 프랑스 그랑프리 대회에서 우승한 메르세데스 그랑프리 자동차의 레이싱 엔진 설계에 큰 공헌을 하였다. 그는 뮌헨으로 이사한 후 혁신적인 카뷰레터와 다양한 기술적 세부 사항을 갖춘 새로운 에어로엔진을 설계했다. 이는 다른 독일 항공기 엔진보다 우수했으며 세계적으로 명성을 얻으려고 엔진은 "BMW IIIa"라는 명칭으로 개명하였다.<ref>"[https://en.wikipedia.org/wiki/Max_Friz Max Friz]", ''Wikipedia''</ref>
+
'''[[막스 프리츠]]'''(Max Friz, 1883년 10월 1일 ~ 1966년 6월 9일)는 엔진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독일 기계 엔지니어였으며 비엠더블유(BMW)의 공동 설립자이다. 그는 1917년 비엠더블유(Bayerische Motoren Werke AG, BMW)를 설립하게 된 엔진 설계 및 혁신의 핵심 공헌자이다. 그는 원래 우라흐 출신인 것으로 추정되며 어린 나이에 1898년부터 칸스타트(Cannstatt)의 쿤(Kuhn) 증기 기관 회사에 견습생으로 근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02년 그는 그의 공학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슈투트가르트-에슬링겐에 있는 로얄 빌딩 무역 학교(Royal Building Trade School)에 등록하였다. 또한 1906년 디자인 오피스에서 다임러 모토렌 게셀샤프트(Daimler Motoren Gesellschaft)에 고용되어 1914년 프랑스 그랑프리 대회에서 우승한 메르세데스 그랑프리 자동차의 레이싱 엔진 설계에 큰 공헌을 하였다. 그는 뮌헨으로 이사한 후 혁신적인 카뷰레터와 다양한 기술적 세부 사항을 갖춘 새로운 에어로엔진을 설계했다. 이는 다른 독일 항공기 엔진보다 우수했으며 세계적으로 명성을 얻으려고 엔진은 "BMW IIIa"라는 명칭으로 개명하였다.<ref>"[https://en.wikipedia.org/wiki/Max_Friz Max Friz]", ''Wikipedia''</ref>
 
 
 
===올리버 집세===
 
===올리버 집세===
'''[[올리버 집세]]'''(Oliver Zipse)는 2019년 8월 16일부터 BMW 이사회 회장 겸 대표이사를 맡고 있는 독일 관리자이다. 그는 1983년 독일 [[벤스하임]](Bensheim)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1983년부터 1985년까지 솔트레이크시티의 [[유타대학교]](University of Utah)에서 학위를 취득하지 않고 컴퓨터 과학 및 수학을 전공하였다. 1985년 다름슈타트공과대학교(Technische Universität Darmstadt)에서 기계 공학으로 전환하여 1991년 기계공학 학위를 받고 졸업하였다. 또한 1999년에는 미국 켈로그 경영대학원과 독일 WHU – 오토 벤스하임 경영대학원에서 공동 MBA 학위를 취득한 켈로그-WHU 경영학 석사과정도 졸업했다. 그는 BMW AG에서 그의 모든 직업생활을 보냈으며 1991년에 개발, 기술 기획, 생산 분야의 연수생으로 입사했다. 1992년부터 1994년까지 기술개발 분야의 프로젝트 엔지니어로 일했으며 1994년부터 2006년까지 뮌헨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개발, 생산, 생산 기획 등에서 다양한 지도자 자리를 맡았다. 2007년부터 2008년까지 그는 미니 플랜트 옥스퍼드(Mini-plant Oxford)의 공장장을 맡았으며 2009년부터 2012년까지 기술기획실장을 거쳐 2012년부터 2015년 5월까지 그룹기획 및 생산전략실장으로 취임하였다. 2015년 5월 13일 하랄드 크루거전 회장의 뒤를 이어 BMW AG 경영진에 임명되었고 제품 전략의 경영자 역할에서 영국 미니 조립 공장을 운영하면서 그 지위로 올라섰다.<ref>"[https://en.wikipedia.org/wiki/Oliver_Zipse Oliver Zipse]", ''Wikipedia''</ref>
+
'''[[올리버 집세]]'''(Oliver Zipse)는 2019년 8월 16일부터 비엠더블유(BMW) 이사회 회장 겸 대표이사를 맡고 있는 독일 관리자이다. 그는 1983년 독일 [[벤스하임]](Bensheim)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1983년부터 1985년까지 솔트레이크시티의 [[유타대학교]](University of Utah)에서 학위를 취득하지 않고 컴퓨터 과학 및 수학을 전공하였다. 1985년 다름슈타트공과대학교(Technische Universität Darmstadt)에서 기계 공학으로 전환하여 1991년 기계공학 학위를 받고 졸업하였다. 또한 1999년에는 미국 켈로그 경영대학원과 독일 WHU – 오토 벤스하임 경영대학원에서 공동 MBA 학위를 취득한 켈로그-WHU 경영학 석사과정도 졸업했다. 그는 BMW AG에서 그의 모든 직업생활을 보냈으며 1991년에 개발, 기술 기획, 생산 분야의 연수생으로 입사했다. 1992년부터 1994년까지 기술개발 분야의 프로젝트 엔지니어로 일했으며 1994년부터 2006년까지 뮌헨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개발, 생산, 생산 기획 등에서 다양한 지도자 자리를 맡았다. 2007년부터 2008년까지 그는 미니 플랜트 옥스퍼드(Mini-plant Oxford)의 공장장을 맡았으며 2009년부터 2012년까지 기술기획실장을 거쳐 2012년부터 2015년 5월까지 그룹기획 및 생산전략실장으로 취임하였다. 2015년 5월 13일 하랄드 크루거전 회장의 뒤를 이어 BMW AG 경영진에 임명되었고 제품 전략의 경영자 역할에서 영국 미니 조립 공장을 운영하면서 그 지위로 올라섰다.<ref>"[https://en.wikipedia.org/wiki/Oliver_Zipse Oliver Zipse]", ''Wikipedia''</ref>
  
 
==역사==
 
==역사==
103번째 줄: 96번째 줄:
 
* 2010년 : 대부분의 엔진이 터보차지드(turbocharged)로 전환되었으며 최초의 하이브리드 BMW는 2010년형 BMW 액티브하이브리드 7호이다.
 
* 2010년 : 대부분의 엔진이 터보차지드(turbocharged)로 전환되었으며 최초의 하이브리드 BMW는 2010년형 BMW 액티브하이브리드 7호이다.
 
* 2013년 : BMW는 뉴5시리즈 중 하나인 뉴525D에 218마력의 출력에 최대 토크 45.9kg·m인 4기통 트윈파워 터보 디젤 엔진을 적용해 시장에 출시했다. BMW의 첫 양산형 전기차인 BMW i3 시티카를 출시하였다.  
 
* 2013년 : BMW는 뉴5시리즈 중 하나인 뉴525D에 218마력의 출력에 최대 토크 45.9kg·m인 4기통 트윈파워 터보 디젤 엔진을 적용해 시장에 출시했다. BMW의 첫 양산형 전기차인 BMW i3 시티카를 출시하였다.  
* 2013년 : BMW는 처음으로 전기자동차 [[BMW i3]]를 출시했다. 이 모델은 탄소섬유로 제작되어 차체가 가볍고 연료 효율성이 뛰어나며, 출시 전 1만 대의 주문을 받을 정도로 큰 호응을 얻었다.
+
* 2013년 : BMW는 처음으로 전기 자동차 BMW i3를 출시했다. 이 모델은 탄소섬유로 제작되어 차체가 가볍고 연료 효율성이 뛰어나며, 출시 전 1만 대의 주문을 받을 정도로 큰 호응을 얻었다.
 
* 2014년 : BMW의 첫 전륜 구동차는 BMW 2 시리즈 액티브 투어링러 다목적 차량(MPV)이었다.
 
* 2014년 : BMW의 첫 전륜 구동차는 BMW 2 시리즈 액티브 투어링러 다목적 차량(MPV)이었다.
 
* 2015년 : BMW 미래의 모빌리티는 실시간 디지털지도에서 시작되며 BMW 그룹 매출은 11월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BMW 그룹 프로덕션은 2015년에 신기록을 세웠다.
 
* 2015년 : BMW 미래의 모빌리티는 실시간 디지털지도에서 시작되며 BMW 그룹 매출은 11월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BMW 그룹 프로덕션은 2015년에 신기록을 세웠다.
 
* 2016년 : BMW 그룹 5년 연속 판매 기록을 달성하였고, 최고의 혁신으로 공급 업체를 인정하는 BMW 공급업체 혁신 상을 시상하였다. BMW 그룹은 [[다임러]] AG, [[포드]], [[폭스바겐]], [[아우디]], [[포르쉐]]가 유럽의 주요 고속도로를 따라 초고속 고출력 충전을 위한 합작 투자를 계획하였다.
 
* 2016년 : BMW 그룹 5년 연속 판매 기록을 달성하였고, 최고의 혁신으로 공급 업체를 인정하는 BMW 공급업체 혁신 상을 시상하였다. BMW 그룹은 [[다임러]] AG, [[포드]], [[폭스바겐]], [[아우디]], [[포르쉐]]가 유럽의 주요 고속도로를 따라 초고속 고출력 충전을 위한 합작 투자를 계획하였다.
* 2017년 : BMW 그룹은 6년 연속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하여 세계 최고의 프리미엄 자동차 회사로 선정되었다. 미래 모빌리티의 혁신 리더십 및 핵심 사업 사상으로 발전하며 독일 함부르크 지역에 전기 이동성 옵션을 제공하기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하였다. 또한 BMW 그룹의 전기차 매출 5만 대를 돌파하였으며 피아트 크라이슬러 자동차의 자율주행 플랫폼 개발에 합류하였다.
+
* 2017년 : BMW 그룹은 6년 연속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하여 세계 최고의 프리미엄 자동차 회사로 선정되었다. 미래 모빌리티의 혁신 리더십 및 핵심 사업 사상으로 발전하며 독일 함부르크 지역에 전기 이동성 옵션을 제공하기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하였다. 또한 BMW 그룹의 전기차 매출 5만 대를 돌파하였으며 피아트 크라이슬러 자동차의 자율 주행 플랫폼 개발에 합류하였다.
* 2018년 : BMW 차량들에 화재가 연쇄적으로 발생하였다. BMW 그룹은 중국 [[장성자동차]](Great Wall)함께 중국에서 미니 전기자동차 합작 투자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청두]]에 기반을 둔 Ride-Hailing 사업을 시작하여 중국에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을 확대하였다. BMW 그룹과 [[다임러]]는 공동 모빌리티 회사를 위한 다음 단계를 계획하며 경쟁 당국은 이동성 서비스 합병을 승인하였다.
+
* 2018년 : BMW 차량들에 화재가 연쇄적으로 발생하였다. BMW 그룹은 [[그레이트월]](Great Wall)함께 중국에서 미니 전기 자동차 합작 투자 계약을 체결였으며 청두에 기반을 둔 Ride-Hailing 사업을 시작하여 중국에서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을 확대하였다. BMW 그룹과 다임러 AG는 공동 모빌리티 회사를 위한 다음 단계를 계획하며 경쟁 당국은 이동성 서비스 합병을 승인하였다.
* 2019년 : 2월 BMW 그룹과 다임러 AG는 공동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업체에 10억 유로를 투자하면서 [[자율주행]]을 위한 차세대 기술을 공동 개발한다. 중국 [[장성자동차]]와 함께 중국에서 미래의 MINI E 차량을 제작하며 배터리 셀 원료 공급 확보를 위해 호주 광산에서 지속 가능한 리튬 공급 계약을 중국 최대 [[리튬]](Li) 생산기업인 [[간펑리튬]](GANFENG LITHIUM, 赣锋锂业)과 체결하였다.
+
* 2019년 : 2월 BMW 그룹과 다임러 AG는 공동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업체에 10억 유로를 투자하면서 자율 주행을 위한 차세대 기술을 공동 개발한다. 중국 그레이트월과 함께 중국에서 미래의 MINI E 차량을 제작하며 배터리 셀 원료 공급 확보를 위해 호주 광산에서 지속 가능한 리튬 공급 계약을 중국 최대 리튬생산기업인 [[간펑리튬]](GANFENG LITHIUM, 赣锋锂业)과 체결하였다.
* 2020년 : BMW 그룹은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공급망 투명성을 추구하며 2025년까지 미래 지향적 기술에 대해 30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코로나 바이러스에도 불구하고 상반기 전기자동차 판매가 증가되었다. E-모빌리티 추진을 지속하며 향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이끌 [[노스볼트]](Northvolt)과 유럽 배터리 셀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다.<ref name="위키백과"></ref><ref name="Wikipedia"></ref><ref name="세계 브랜드 백과"></ref><ref name="네이버 지식백과"></ref><ref name="나무위키"></ref><ref>"[https://www.bmwgroup.com/en/company/news.html# BMW Group-News]", ''BMW Group''</ref>
+
* 2020년 : BMW 그룹은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공급망 투명성을 추구하며 2025년까지 미래 지향적 기술에 대해 30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코로나 바이러스에도 불구하고 상반기 전기 자동차 판매가 증가되었다. E-모빌리티 추진을 지속하며 향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이끌 [[노스볼트]](Northvolt)과 유럽 배터리 셀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다.<ref name="위키백과"></ref><ref name="Wikipedia"></ref><ref name="세계 브랜드 백과"></ref><ref name="네이버 지식백과"></ref><ref name="나무위키"></ref><ref>"[https://www.bmwgroup.com/en/company/news.html# BMW Group-News]", ''BMW Group''</ref>
  
 
==특징==
 
==특징==
138번째 줄: 131번째 줄:
 
코너링 브레이크 컨트롤(Cornering Brake Control, CBC)은 BMW에서 기존 ‘안티록 브레이킹 시스템(Anti-lock Braking System, 급제동시 브레이크 잠김방지 장치)’을 발전시켜 개발한 것으로, 커브 길에서 급제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전복 및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이다. 1997년 BMW 528i에 최초로 적용된 이래로 BMW의 다양한 모델에 탑재되었다. 커브 길에서는 차량 하중이 커브 바깥쪽으로 쏠리는데, 고속으로 주행하던 차량이 커브 길에서 브레이크를 밟게 되면 과도하게 한쪽으로 하중이 쏠리면서 차량이 전복되거나 도로 바깥쪽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코너링 브레이크 컨트롤은 좌 · 우측 브레이크에 하중을 분산시켜 사고를 미리 방지해준다.<ref name="세계 브랜드 백과"></ref>
 
코너링 브레이크 컨트롤(Cornering Brake Control, CBC)은 BMW에서 기존 ‘안티록 브레이킹 시스템(Anti-lock Braking System, 급제동시 브레이크 잠김방지 장치)’을 발전시켜 개발한 것으로, 커브 길에서 급제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전복 및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이다. 1997년 BMW 528i에 최초로 적용된 이래로 BMW의 다양한 모델에 탑재되었다. 커브 길에서는 차량 하중이 커브 바깥쪽으로 쏠리는데, 고속으로 주행하던 차량이 커브 길에서 브레이크를 밟게 되면 과도하게 한쪽으로 하중이 쏠리면서 차량이 전복되거나 도로 바깥쪽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코너링 브레이크 컨트롤은 좌 · 우측 브레이크에 하중을 분산시켜 사고를 미리 방지해준다.<ref name="세계 브랜드 백과"></ref>
 
===X-드라이브===
 
===X-드라이브===
X-드라이브(x-Drive)는 BMW 고유의 전자식 선제적 상시 4바퀴에 모두 동력을 전달하는 추진방식인 [[4륜 구동]](Four Wheel Drive, AWD) 시스템이다. BMW의 SUV가 X시리즈인 이유도 바로 이 4륜 구동 장치를 탑재했다는 걸 의미하며 승용모델에도 장착된다. 이 시스템으로 눈길 및 험한 도로에서도 4바퀴에 모든 힘을 끌어낼 수 있어 주행 안정감을 제공하며 가속 및 코너링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X-드라이브에는 상시 4륜 구동 시스템과 함께 차축에 동력을 가변적으로 전달하여 마찰력을 최적화시키는 기술이 적용되어 주행 중 노면 상태와 기상 조건이 좋지 못할 때 전륜(앞바퀴)과 후륜(뒷바퀴)의 동력 비율을 40:60이고 50:50에서 0:100까지 자유롭게 조절하여 뛰어난 안정성을 제공한다. X-드라이브의 작동 원리는 [[파워트레인]](Power Train, 동력 전달기구)의 변속기 끝에 트랜스퍼 케이스(Transfer Case, 부변속기)를 달아 후륜의 동력을 전륜으로 전달하는 방식이며, 1985년 BMW 3시리즈에 최초로 적용된 이후 BMW의 전 모델로 확대되었다.<ref name="세계 브랜드 백과"></ref><ref name="나무위키"></ref>
+
X-드라이브(x-Drive)는 BMW 고유의 전자식 선제적 상시 4바퀴에 모두 동력을 전달하는 추진방식인 [[4륜 구동]](Four Wheel Drive, AWD) 시스템이다. BMW의 SUV가 X시리즈인 이유도 바로 이 4륜 구동 장치를 탑재했다는 걸 의미하며 승용모델에도 장착된다. 이 시스템으로 눈길 및 험한 도로에서도 4바퀴에 모든 힘을 끌어낼 수 있어 주행 안정감을 제공하며 가속 및 코너링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X-드라이브에는 상시 4륜 구동 시스템과 함께 차축에 동력을 가변적으로 전달하여 마찰력을 최적화시키는 기술이 적용되어 주행 중 노면 상태와 기상 조건이 좋지 못할 때 전륜(앞바퀴)과 후륜(뒷바퀴)의 동력 비율을 40:60이고 50:50에서 0:100까지 자유롭게 조절하여 뛰어난 안정성을 제공한다. X-드라이브의 작동 원리는 파워 트레인(Power Train, 동력 전달기구)의 변속기 끝에 트랜스퍼 케이스(Transfer Case, 부변속기)를 달아 후륜의 동력을 전륜으로 전달하는 방식이며, 1985년 BMW 3시리즈에 최초로 적용된 이후 BMW의 전 모델로 확대되었다.<ref name="세계 브랜드 백과"></ref><ref name="나무위키"></ref>
 
===E-드라이브===
 
===E-드라이브===
 
E-드라이브(e-Drive)는 BMW의 각각 전기자동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인 i3와 i8에 적용되는 시스템이다. BMW는 메르세데스-벤츠와 아우디가 전기차에 관심을 가지기 전에 독일 자동차 3대 회사 중 가장 먼저 전기자동차를 내놓았다. 이는 BMW답게 주행성능을 중시한 세팅이라는 반응이 많다. i3는 양산 소형차 주제에 제로백이 7.2초라는 고성능을 자랑하며, 두번째로 eDrive를 붙이고 나온 i8은 1.5L 가솔린 엔진과 조합해 제로백 4.4초를 찍는 스포츠카다. 2020년에 BMW iX3을 출시할 예정이며 2021년에는 세단인 i4를 출시할 예정이다.
 
E-드라이브(e-Drive)는 BMW의 각각 전기자동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인 i3와 i8에 적용되는 시스템이다. BMW는 메르세데스-벤츠와 아우디가 전기차에 관심을 가지기 전에 독일 자동차 3대 회사 중 가장 먼저 전기자동차를 내놓았다. 이는 BMW답게 주행성능을 중시한 세팅이라는 반응이 많다. i3는 양산 소형차 주제에 제로백이 7.2초라는 고성능을 자랑하며, 두번째로 eDrive를 붙이고 나온 i8은 1.5L 가솔린 엔진과 조합해 제로백 4.4초를 찍는 스포츠카다. 2020년에 BMW iX3을 출시할 예정이며 2021년에는 세단인 i4를 출시할 예정이다.
214번째 줄: 207번째 줄:
  
 
===친환경 자동차===
 
===친환경 자동차===
* '''[[BMW i3]]''' : 독일 BMW가 생산하는 전기자동차로, 대한민국에서는 최초의 수입 전기자동차로 판매를 시작했다.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등 초경량 소재를 적용하고, 드라이브 모듈에도 대부분 알루미늄을 사용해 공차 중량을 1,300㎏으로 줄였다. B 필러를 없애고, 도어가 양쪽으로 열리는 코치 도어를 적용해 공간 활용성을 높였다. 100% 충전하는데 완속 충전은 3시간이 걸리며, 급속 충전은 30분 만에 80%를 충전할 수 있다. BMW가 자체 개발한 i 리모트 앱을 스마트 기기에 설치하면 기기가 차량과 연동돼 문, 창문, 트렁크 등을 원격 조작할 수 있고, 예약 충전 등도 할 수 있다. 2017년형 BMW i3는 기존 모델의 60Ah형 배터리보다 용량이 약 56.6% 늘어난, 33kWh급(94 Ah) 대용량 리튬 이온 배터리를 장착했다. 유럽 복합 연비로 환산 시 최대 300km 주행 가능하다. 에어컨 또는 열선 기능을 상시 켜둔 상태서도 200km를 주행한다. i3는 2014년 올해의 세계 그린카, 2014년 올해의 세계 자동차 디자인상으로도 선정된 두 개의 올해의 세계 자동차상을 수상했다. 또한 i3는 iF Product Design Gold Award를 수상하였으며, 제1회 영국 올해의 자동차 시상식에서 2014년 올해의 영국 자동차상과 2014년 최고의 슈퍼 미니상을 모두 수상했다.<ref>"[https://en.wikipedia.org/wiki/BMW_i3 BMW i3]", ''Wikipedia''</ref><ref>〈[https://ko.wikipedia.org/wiki/BMW_i3 BMW i3]〉, 《위키백과》</ref>
+
* BMW i3 : 독일 BMW가 생산하는 전기 자동차로, 대한민국에서는 최초의 수입 전기 자동차로 판매를 시작했다.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 등 초경량 소재를 적용하고, 드라이브 모듈에도 대부분 알루미늄을 사용해 공차 중량을 1,300㎏으로 줄였다. B 필러를 없애고, 도어가 양쪽으로 열리는 코치 도어를 적용해 공간 활용성을 높였다. 100% 충전하는데 완속 충전은 3시간이 걸리며, 급속 충전은 30분 만에 80%를 충전할 수 있다. BMW가 자체 개발한 i 리모트 앱을 스마트 기기에 설치하면 기기가 차량과 연동돼 문, 창문, 트렁크 등을 원격 조작할 수 있고, 예약 충전 등도 할 수 있다. 2017년형 BMW i3는 기존 모델의 60Ah형 배터리보다 용량이 약 56.6% 늘어난, 33kWh급(94 Ah) 대용량 리튬 이온 배터리를 장착했다. 유럽 복합 연비로 환산 시 최대 300km 주행 가능하다. 에어컨 또는 열선 기능을 상시 켜둔 상태서도 200km를 주행한다. i3는 2014년 올해의 세계 그린카, 2014년 올해의 세계 자동차 디자인상으로도 선정된 두 개의 올해의 세계 자동차상을 수상했다. 또한 i3는 iF Product Design Gold Award를 수상하였으며, 제1회 영국 올해의 자동차 시상식에서 2014년 올해의 영국 자동차상과 2014년 최고의 슈퍼 미니상을 모두 수상했다.<ref>"[https://en.wikipedia.org/wiki/BMW_i3 BMW i3]", ''Wikipedia''</ref><ref>〈[https://ko.wikipedia.org/wiki/BMW_i3 BMW i3]〉, 《위키백과》</ref>
 
+
* BMW i8 : BMW가 개발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스포츠카이다. i8은 BMW의 전기화 함대에 속하며 BMW i 하위 브랜드로 판매되고 있다. BMW i8의 생산 버전은 2013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공개되었으며, 2014년 6월 독일에서 출시되었다. 미국의 소매 고객에 대한 배송은 2014년 8월에 시작되었고, 로드스터 변종이 2018년 5월에 출시되었으며, 2020년 6월에 생산이 종료되었다. 2015년 BMW i8은 0에서 100km/h(62mph)까지 4.4초 이내에 가속하며 250km/h(155mph)의 전자 제한 최고 속도를 자랑한다. 2015년 모델 이어 i8에는 7.1 kWh 리튬이온 배터리 팩이 탑재되어 있어 신유럽 주행 사이클에 따라 37 km(23 mi)의 전출력 범위를 전달한다. 2020년 3월까지 전 차종의 글로벌 판매량이 2만여 대에 도달했으며 BMW i8은 플러그인 전기 스포츠카는 세계 1위를 기록했고, 이 부문 전체 경쟁사의 판매량을 모두 함께 통계하였다.<ref>"[https://en.wikipedia.org/wiki/BMW_i8 BMW i8]", ''Wikipedia''</ref>
* '''[[BMW i8]]''' : BMW가 개발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스포츠카이다. i8은 BMW의 전기화 함대에 속하며 BMW i 하위 브랜드로 판매되고 있다. BMW i8의 생산 버전은 2013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공개되었으며, 2014년 6월 독일에서 출시되었다. 미국의 소매 고객에 대한 배송은 2014년 8월에 시작되었고, 로드스터 변종이 2018년 5월에 출시되었으며, 2020년 6월에 생산이 종료되었다. 2015년 BMW i8은 0에서 100km/h(62mph)까지 4.4초 이내에 가속하며 250km/h(155mph)의 전자 제한 최고 속도를 자랑한다. 2015년 모델 이어 i8에는 7.1 kWh 리튬이온 배터리 팩이 탑재되어 있어 신유럽 주행 사이클에 따라 37 km(23 mi)의 전출력 범위를 전달한다. 2020년 3월까지 전 차종의 글로벌 판매량이 2만여 대에 도달했으며 BMW i8은 플러그인 전기 스포츠카는 세계 1위를 기록했고, 이 부문 전체 경쟁사의 판매량을 모두 함께 통계하였다.<ref>"[https://en.wikipedia.org/wiki/BMW_i8 BMW i8]", ''Wikipedia''</ref>
+
* BMW iX3 : 생산 버전은 2020년 7월에 공개되었으며 사용 가능 용량이 74kWh인 80kWh 배터리 팩을 탑재해 WLTP 기준으로 최대 460km(290mi)의 사거리를 제공한다. iX3는 210 kW(286 hp)를 생성하고 6.8초 이내에 0-100 km/h(0-62 mph)에서 가속하는 후면 차축의 단일 전기 모터로 구동된다. 그것은 180km/h(112mph)의 전자적으로 제한된 최고 속도를 가지고 있다. 전기 파워트레인은 기존 BMW i3가 사용하는 것보다 컴팩트한 디자인에 의해 구별되는 BMW의 5세대 확장형 전기 드라이브트레인으로, 전기 모터, 변속기, 동력 전기 장치가 단일 부품으로 그룹화 되어 있다. iX3는 2020년 말까지 소매 고객들에게 출시될 예정이다. 2020년 9월 중국 다둥(大東) BMW 공장에서 생산이 시작되었으며 차량의 제한된 범위와 유일한 후륜 구동 구성으로 인해 미국에서는 판매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ref>"[https://en.wikipedia.org/wiki/BMW_X3#BMW_iX3_(2020-) BMW iX3 (2020-)]", ''Wikipedia''</ref>
 
 
* '''[[BMW iX3]]''' : 생산 버전은 2020년 7월에 공개되었으며 사용 가능 용량이 74kWh인 80kWh 배터리 팩을 탑재해 WLTP 기준으로 최대 460km(290mi)의 사거리를 제공한다. iX3는 210 kW(286 hp)를 생성하고 6.8초 이내에 0-100 km/h(0-62 mph)에서 가속하는 후면 차축의 단일 전기 모터로 구동된다. 그것은 180km/h(112mph)의 전자적으로 제한된 최고 속도를 가지고 있다. 전기 파워트레인은 기존 BMW i3가 사용하는 것보다 컴팩트한 디자인에 의해 구별되는 BMW의 5세대 확장형 전기 드라이브트레인으로, 전기 모터, 변속기, 동력 전기 장치가 단일 부품으로 그룹화 되어 있다. iX3는 2020년 말까지 소매 고객들에게 출시될 예정이다. 2020년 9월 중국 다둥(大東) BMW 공장에서 생산이 시작되었으며 차량의 제한된 범위와 유일한 후륜 구동 구성으로 인해 미국에서는 판매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ref>"[https://en.wikipedia.org/wiki/BMW_X3#BMW_iX3_(2020-) BMW iX3 (2020-)]", ''Wikipedia''</ref>
 
 
 
 
===모터사이클===
 
===모터사이클===
BMW는 모터사이클 엔진과 모터사이클을 [[제1차 세계대전]] 때부터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BMW 오토바이 회사인 [[BMW 모토라드]](BMW Motorrad)는 독일 BMW의 이륜차 생산 부문이이며, BMW 모토라드는 1923년부터 모터사이클을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2009년에는 87,306대를 판매하여 총 매출은 10억 6900만 유로이다. BMW는 20세기 초, 제1차 세계대전 시절, 처음 항공기 엔진 메이커로 시작되었다. BMW의 최초 오토사이클 모델은 R 시리즈인 R32는 1923년에 생산되었으며, 수평대향 복서 엔진을 탑재하고 있었다. 이 오토바이의 기본 구조틀은 1980년대 후반까지 사용되었다. 1982년, K시리즈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BMW 모토라드는 현재도 수평대향 복서 엔진을 사용하고 있지만, 기타의 형식의 엔진도 제조하고 있다. 2008년에는 DOHC Boxer HP2 Sport를 발표하였으며 G450X를 릴리즈해 오프로드 레이서 시장에 본격적으로 참여했다. 2019년 1월 11일 BMW 모토라드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2019 CES'에서 R1200GS를 기반으로 한 모터사이클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시연했다. 자율주행 기술이 접목된 R1200GS는 스스로 시동을 걸고, 가속은 물론, 코너링과 정차, 재출발이 가능하다. BMW는 향후 주요 라인업에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차선 유지 보조 등 자동차에 접목된 첨단 주행 보조 시스템을 접목할 계획이다. BMW는 바이크의 자율주행 기술이 라이더가 더 빠르고 다이내믹한 주행에 만족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적절한 브레이킹 포인트, 차량의 트랙션에 최적화된 가속을 진행하는 만큼, 이를 통한 주행 실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BMW는 CES를 통해 비전 i넥스트(BMW Vision iNEXT), BMW 인텔리전트 개인비서(BMW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기능 등 다양한 첨단 신기술을 대거 선보였다.<ref name="위키백과"></ref><ref>〈[https://ko.wikipedia.org/wiki/BMW_%EB%AA%A8%ED%86%A0%EB%9D%BC%EB%93%9C BMW 모토라드]〉, 《위키백과》</ref><ref>박홍준 기자, 〈[http://www.dailycar.co.kr/content/news.html?type=view&autoId=31968 BMW, 스스로 달리는 자율주행 바이크 공개..R1200GS ‘주목’]〉, 《데일리카》, 2019-01-11</ref>
+
BMW는 오토사이클 엔진과 오토사이클를 제1차 세계대전 때부터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BMW 오토바이 회사인 [[BMW 모토라드]](BMW Motorrad)는 독일 BMW의 이륜차 생산 부문이이며, BMW 모토라드는 1923년부터 모터사이클을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2009년에는 87,306대를 판매하여 총 매출은 10억 6900만 유로이다. BMW는 20세기 초, 제1차 세계대전 시절, 처음 항공기 엔진 메이커로 시작되었다. BMW의 최초 오토사이클 모델은 R 시리즈인 R32는 1923년에 생산되었으며, 수평대향 복서 엔진을 탑재하고 있었다. 이 오토바이의 기본 구조틀은 1980년대 후반까지 사용되었다. 1982년, K시리즈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BMW 모토라드는 현재도 수평대향 복서 엔진을 사용하고 있지만, 기타의 형식의 엔진도 제조하고 있다. 2008년에는 DOHC Boxer HP2 Sport를 발표하였으며 G450X를 릴리즈해 오프로드 레이서 시장에 본격적으로 참여했다. 2019년 1월 11일 BMW 모토라드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2019 CES'에서 R1200GS를 기반으로 한 모터사이클의 자율주행 시스템을 시연했다. 자율주행 기술이 접목된 R1200GS는 스스로 시동을 걸고, 가속은 물론, 코너링과 정차, 재출발이 가능하다. BMW는 향후 주요 라인업에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차선 유지 보조 등 자동차에 접목된 첨단 주행 보조 시스템을 접목할 계획이다. BMW는 바이크의 자율주행 기술이 라이더가 더 빠르고 다이내믹한 주행에 만족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적절한 브레이킹 포인트, 차량의 트랙션에 최적화된 가속을 진행하는 만큼, 이를 통한 주행 실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BMW는 CES를 통해 비전 i넥스트(BMW Vision iNEXT), BMW 인텔리전트 개인비서(BMW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기능 등 다양한 첨단 신기술을 대거 선보였다.<ref name="위키백과"></ref><ref>〈[https://ko.wikipedia.org/wiki/BMW_%EB%AA%A8%ED%86%A0%EB%9D%BC%EB%93%9C BMW 모토라드]〉, 《위키백과》</ref><ref>박홍준 기자, 〈[http://www.dailycar.co.kr/content/news.html?type=view&autoId=31968 BMW, 스스로 달리는 자율주행 바이크 공개..R1200GS ‘주목’]〉, 《데일리카》, 2019-01-11</ref>
  
 
==리콜==
 
==리콜==
236번째 줄: 226번째 줄:
 
'''BMW·포드·GM 자동차 블록체인 연합체 ‘MOBI’ 설립'''
 
'''BMW·포드·GM 자동차 블록체인 연합체 ‘MOBI’ 설립'''
  
2018년 5월 2일 코인데스크는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해 자동차 산업계의 발전을 도모하는 컨소시엄 ‘모빌리티 오픈 블록체인 이니셔티브(MOBI, 이하 모비)’가 출범했다고 보도했다. 대형 자동차제조업체인 BMW, [[포드]], [[제너랄 모터스]], [[르노]], 자동차부품업체인 [[보쉬]](Bosch)와 [[ZF]], 대기업 [[액센츄어]](Accenture)과 [[IBM]], [[블록체인 산업연합 컨센시스]](Consensys)와 [[하이퍼레저]](Hyperledger) 등이 참여했다. 모비는 특정 유형의 분산원장을 지원하기보다는 공동의 표준과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차량공유]], [[자율주행]] 등 다양한 시스템 발전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 개발할 계획이다.<ref>하이레 기자, 〈[https://www.tokenpost.kr/article-2496 BMW·포드·GM 자동차 블록체인 연합체 ‘MOBI’ 설립]〉, ''TokenPost'', 2018-05-03</ref>
+
2018년 5월 2일 코인데스크는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해 자동차 산업계의 발전을 도모하는 컨소시엄 ‘모빌리티 오픈 블록체인 이니셔티브(MOBI, 이하 모비)’가 출범했다고 보도했다. 대형 자동차제조업체인 BMW, [[포드]], [[제너랄 모터스]], [[르노]], 자동차부품업체인 [[보쉬]](Bosch)와 [[ZF]], 대기업 [[액센츄어]](Accenture)과 [[IBM]], [[블록체인 산업연합 컨센시스]](Consensys)와 [[하이퍼레저]](Hyperledger) 등이 참여했다. 모비는 특정 유형의 분산원장을 지원하기보다는 공동의 표준과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차량 공유, 자율 주행 등 다양한 시스템 발전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 개발할 계획이다.<ref>하이레 기자, 〈[https://www.tokenpost.kr/article-2496 BMW·포드·GM 자동차 블록체인 연합체 ‘MOBI’ 설립]〉, ''TokenPost'', 2018-05-03</ref>
  
 
==산업 협력==
 
==산업 협력==
257번째 줄: 247번째 줄:
 
* [[브라질]](Brazil) : 2014년 10월 9일 BMW의 아라쿠아리 지역 수출해서 목적지에서 조립되어 완성품으로 판매되는 방식인 [[CKD]](Complete Knock Down) 조립 공장은 첫 번째 자동차인 F30 3 시리즈를 조립했다. 아라쿠아리에서 조립된 자동차는 F20 1 시리즈, F30 3 시리즈, F48 X1, F25 X3, 미니 컨트리맨이다.
 
* [[브라질]](Brazil) : 2014년 10월 9일 BMW의 아라쿠아리 지역 수출해서 목적지에서 조립되어 완성품으로 판매되는 방식인 [[CKD]](Complete Knock Down) 조립 공장은 첫 번째 자동차인 F30 3 시리즈를 조립했다. 아라쿠아리에서 조립된 자동차는 F20 1 시리즈, F30 3 시리즈, F48 X1, F25 X3, 미니 컨트리맨이다.
 
* [[이집트]](Egypt) : 바이에른 오토 그룹은 2003년에 BMW와 미니 브랜드의 수입자가 되었다. 2005년부터 이집트에서 판매되는 3시리즈, 5시리즈, 7시리즈, X1, X3 모델은 10월 6일 BMW 공장의 완전한 녹다운 부품으로 조립된다.
 
* [[이집트]](Egypt) : 바이에른 오토 그룹은 2003년에 BMW와 미니 브랜드의 수입자가 되었다. 2005년부터 이집트에서 판매되는 3시리즈, 5시리즈, 7시리즈, X1, X3 모델은 10월 6일 BMW 공장의 완전한 녹다운 부품으로 조립된다.
* [[인도 (국가)|인도]](India) :  BMW 인도는 2006년 구르가온 지역에 본사를 두고 판매 대리점을 설립하였다. 인도 시장 3 시리즈, 5 시리즈, 7 시리즈, X1, X3, X5, 미니 컨트리맨, 오토바이 모델들을 조립하는 BMW 완전한 녹다운 조립 공장이 2007년에 센네이에서 문을 열었다. 2천만 유로 공장은 연간 1,700대의 자동차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
* [[인도]](India) :  BMW 인도는 2006년 구르가온 지역에 본사를 두고 판매 대리점을 설립하였다. 인도 시장 3 시리즈, 5 시리즈, 7 시리즈, X1, X3, X5, 미니 컨트리맨, 오토바이 모델들을 조립하는 BMW 완전한 녹다운 조립 공장이 2007년에 센네이에서 문을 열었다. 2천만 유로 공장은 연간 1,700대의 자동차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러시아]](Russia) : 러시아 시장 3 시리즈와 5 시리즈 자동차는 1999년부터 칼리닌그라드의 완전 녹다운(CKD, complete knock-down) 부품으로부터 조립되었다.
 
* [[러시아]](Russia) : 러시아 시장 3 시리즈와 5 시리즈 자동차는 1999년부터 칼리닌그라드의 완전 녹다운(CKD, complete knock-down) 부품으로부터 조립되었다.
 
* [[말레이시아]](Malaysia) : 케다(Kedah)에 설립된 완전 녹다운(CKD, complete knock-down) 조립 공장이며 2008년부터 말레이시아 시장 1 시리즈, 3 시리즈, 5 시리즈, 7 시리즈, X1, X3, X4, X5, X6 및 미니 컨트리맨(Mini Countryman) 조립하였다.
 
* [[말레이시아]](Malaysia) : 케다(Kedah)에 설립된 완전 녹다운(CKD, complete knock-down) 조립 공장이며 2008년부터 말레이시아 시장 1 시리즈, 3 시리즈, 5 시리즈, 7 시리즈, X1, X3, X4, X5, X6 및 미니 컨트리맨(Mini Countryman) 조립하였다.
267번째 줄: 257번째 줄:
  
 
==전망==
 
==전망==
수년 동안 BMW 그룹은 혁신을 시각적으로 구현하고 과거, 현재 및 미래의 디자인을 보여주기 위해 독특한 프로토 타입을 개발했다. 또한 BMW 그룹이 작업하고있는 다가오는 제품과 주제를 대중에게 엿볼 수 있으며 이 영역에서 우리는 비전 차량, 컨셉 카 및 오마주 카를 구별한다. 비전 차량은 모빌리티의 미래를 엿볼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작업 중인 혁신, 문제 및 경험을 시각화한다. 차량의 외부 나 내부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사용자 경험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접근 방식을 모두 사용하여 모든 감각을 자극하도록 재 구상한다. 컨셉카 또는 개념 차량은 생산 차량의 사전 통신에 사용되며 특정 주제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끌기 위해 디자인이 약간 과장되었다. 오마주 차량은 과거의 아이콘을 존중하며 특징을 정의하는 역사적인 차량은 현대적인 방식으로 해석된다. BMW Vision iNEXT는 완전 전기식이며 완전 연결식이며 고도의 자율주행을 제공한다. 회사의 신기술 [[플래그십]]이 될 시리즈 생산 모델은 2021 년부터 BMW Group Plant Dingolfing에서 제작될 예정이다. 이 모델은 BMW 그룹의 전략적 혁신 영역 ("D + ACES")을 통합하여 도로로 가져갈 것이다.<ref>"[https://www.bmwgroup.com/en/innovation/design/concepts-and-visions.html Concepts and visions]", ''BMW Group''</ref><ref>"[https://www.bmwgroup.com/en/innovation/bmw-vision-i-next.html BMW Vision iNEXT]", ''BMW Group''</ref>
+
수년 동안 BMW 그룹은 혁신을 시각적으로 구현하고 과거, 현재 및 미래의 디자인을 보여주기 위해 독특한 프로토 타입을 개발했다. 또한 BMW 그룹이 작업하고있는 다가오는 제품과 주제를 대중에게 엿볼 수 있으며 이 영역에서 우리는 비전 차량, 컨셉 카 및 오마주 카를 구별한다. 비전 차량은 모빌리티의 미래를 엿볼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하여 작업 중인 혁신, 문제 및 경험을 시각화한다. 차량의 외부 나 내부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사용자 경험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접근 방식을 모두 사용하여 모든 감각을 자극하도록 재 구상한다. 컨셉카 또는 개념 차량은 생산 차량의 사전 통신에 사용되며 특정 주제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끌기 위해 디자인이 약간 과장되었다. 오마주 차량은 과거의 아이콘을 존중하며 특징을 정의하는 역사적인 차량은 현대적인 방식으로 해석된다. BMW Vision iNEXT는 완전 전기식이며 완전 연결식이며 고도의 자율 주행을 제공한다. 회사의 신기술 플래그십이 될 시리즈 생산 모델은 2021 년부터 BMW Group Plant Dingolfing에서 제작될 예정이다. 이 모델은 BMW 그룹의 전략적 혁신 영역 ("D + ACES")을 통합하여 도로로 가져갈 것이다.<ref>"[https://www.bmwgroup.com/en/innovation/design/concepts-and-visions.html Concepts and visions]", ''BMW Group''</ref><ref>"[https://www.bmwgroup.com/en/innovation/bmw-vision-i-next.html BMW Vision iNEXT]", ''BMW Group''</ref>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BMW그룹(BMW Group) 공식 사이트 - https://www.bmwgroup.com/
+
* 비엠더블유 그룹(BMW Group) 공식 사이트 - https://www.bmwgroup.com/
* BMW(비엠더블유) 공식 사이트 - https://www.bmw.com/
+
* 비엠더블유(BMW) 공식 사이트 - https://www.bmw.com/
 
* 롤스로이스 공식 사이트 - https://www.rolls-roycemotorcars.com/
 
* 롤스로이스 공식 사이트 - https://www.rolls-roycemotorcars.com/
 
* BMW 모토라드 공식 사이트 - https://www.bmw-motorrad.com/
 
* BMW 모토라드 공식 사이트 - https://www.bmw-motorrad.com/
333번째 줄: 323번째 줄:
 
* 〈[https://ko.wikipedia.org/wiki/BMW_Z4 BMW Z4]〉,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BMW_Z4 BMW Z4]〉,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BMW_i3 BMW i3]〉,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BMW_i3 BMW i3]〉, 《위키백과》
* 하이레 기자, 〈[https://www.tokenpost.kr/article-2496 BMW·포드·GM 자동차 블록체인 연합체 ‘MOBI’ 설립]〉, ''TokenPost'', 2018-05-03
 
 
* 박홍준 기자, 〈[http://www.dailycar.co.kr/content/news.html?type=view&autoId=31968 BMW, 스스로 달리는 자율주행 바이크 공개..R1200GS ‘주목’]〉, 《데일리카》, 2019-01-11
 
* 박홍준 기자, 〈[http://www.dailycar.co.kr/content/news.html?type=view&autoId=31968 BMW, 스스로 달리는 자율주행 바이크 공개..R1200GS ‘주목’]〉, 《데일리카》, 2019-01-11
 
* 돈냄새, 〈[https://blog.naver.com/smellofmoney/222040149578 세계 자동차 회사 순위, 자동차 회사 시가총액]〉, 《네이버블로그》, 2020-07-24
 
* 돈냄새, 〈[https://blog.naver.com/smellofmoney/222040149578 세계 자동차 회사 순위, 자동차 회사 시가총액]〉, 《네이버블로그》, 2020-07-24
 
* 이구순 기자, 〈[https://www.fnnews.com/news/202009010653495937 글로벌포스트 - OPEC, 석유공급망에 블록체인 활용 논의]〉, 《파이낸셜뉴스》, 2020-09-01
 
* 이구순 기자, 〈[https://www.fnnews.com/news/202009010653495937 글로벌포스트 - OPEC, 석유공급망에 블록체인 활용 논의]〉, 《파이낸셜뉴스》, 2020-09-01
* 강현우 기자,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009250135i BMW 중국 파트너…브릴리언스 상장 폐지 후 완전 국유화]〉, 《한국경제》, 2020-09-25
+
* 하이레 기자, [https://www.tokenpost.kr/article-2496 BMW·포드·GM 자동차 블록체인 연합체 ‘MOBI’ 설립]〉, ''TokenPost'', 2018-05-03
* 강홍구, 〈[http://tago.kr/story/bmwseries.htm#n 고품격 비엠더블유(BMW) 시리즈]〉, 《타고》, 2020-12-28
 
* 이성정, 〈[http://tago.kr/story/bmw.htm 운전의 즐거움, 비엠더블유(BMW)]〉, 《타고》, 2021-01-11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미니]]
+
* [[비엠더블유 미니]]
 
* [[롤스로이스]]
 
* [[롤스로이스]]
* [[BMW M]]
+
* [[비엠더블유 엠]]
 
* [[프란츠 요세프 포프]]
 
* [[프란츠 요세프 포프]]
 
* [[카를 라프]]
 
* [[카를 라프]]
351번째 줄: 338번째 줄:
  
 
{{자동차 회사|검토 필요}}
 
{{자동차 회사|검토 필요}}
{{자동차 역사}}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