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 M3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비엠더블유 M3.jpg|썸네일|300픽셀|'''BMW M3'''(비엠더블유 엠쓰리)]]
+
[[파일:비엠더블유 M3.jpg|썸네일|300픽셀|'''M3'''(엠쓰리)]]
[[파일:비엠더블유 글자.png|썸네일|300픽셀|'''[[BMW]]'''(비엠더블유)]]
+
[[파일:비엠더블유 글자.png|썸네일|300픽셀|'''[[비엠더블유]]'''(BMW)]]
[[파일:비엠더블유 엠 글자.png|썸네일|300픽셀|'''[[BMW M]]'''(비엠더블유 엠)]]
+
[[파일:비엠더블유 엠 글자.png|썸네일|300픽셀|'''[[비엠더블유 엠]]'''(BMW M)]]
  
'''BMW M3'''(비엠더블유 엠쓰리)는 [[독일]]의 고급 자동차 브랜드인 '''[[BMW]]'''(비엠더블유)의 후륜구동 컴팩트 세단인 [[BMW 3시리즈]]의 스포츠 버전으로 자회사인 [[BMW M]]에서 제작되었다. 초기 모델이 1986년 E30 3시리즈를 기반으로 발표된 이후로 [[BMW 3시리즈]]는 항상 M 버전으로도 발표되어 왔다.<ref name=위키백과>BMW M3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BMW_M3</ref>
+
'''M3'''(엠쓰리)<!--BMW M3-->독일의 고급 자동차 브랜드인 '''[[비엠더블유]]'''(BMW, Bayerische Motoren Werke)의 후륜구동 컴팩트 세단인 비엠더블유 3 시리즈의 스포츠 버전으로 자회사인 [[비엠더블유 엠]](BMW M)에서 제작되었다. 초기 모델이 1986년 E30 3시리즈를 기반으로 발표된 이후로 비엠더블유 3 시리즈는 항상 M 버전으로도 발표되어 왔다.<ref name=위키백과>BMW M3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BMW_M3</ref>
 
{{:자동차 배너|BMW}}
 
{{:자동차 배너|BMW}}
  
 
== 개요 ==
 
== 개요 ==
BMW M3는 사내 모터스포츠 사업부인 [[BMW M]]이 개발한 [[BMW 3시리즈]]의 고성능 버전이다. 1986년 E30 M3가 도입된 이후 3시리즈의 모든 세대에 걸쳐 M3 모델이 생산되고 있다. 초기 모델은 곧이어 컨버터블 바디 스타일이 추가되는 쿠페 자체 스타일로 출시되었다. 2014년부터는 쿠페와 컨버터블 모델이 4 시리즈 제품군으로 리브랜딩 되어 고성능 변종이 M4가 되면서 M3가 세단 차체로만 생산되고 있다. 일반적인 3 시리즈 모델에 대한 업그레이드에는 엔진, 핸들링, 브레이크, 공기역학, 경량 소재 및 다양한 내부 업그레이드가 포함된다.<ref>BMW M3 WIKIPEDIA - https://en.wikipedia.org/wiki/BMW_M3#G80_generation_(2021-)</ref>
+
비엠더블유 M3는 사내 모터스포츠 사업부인 비엠더블유 엠이 개발한 비엠더블유 3 시리즈의 고성능 버전이다. 1986년 E30 M3가 도입된 이후 3시리즈의 모든 세대에 걸쳐 M3 모델이 생산되고 있다. 초기 모델은 곧이어 컨버터블 바디 스타일이 추가되는 쿠페 자체 스타일로 출시되었다. 2014년부터는 쿠페와 컨버터블 모델이 4 시리즈 제품군으로 리브랜딩 되어 고성능 변종이 M4가 되면서 M3가 세단 차체로만 생산되고 있다. 일반적인 3 시리즈 모델에 대한 업그레이드에는 엔진, 핸들링, 브레이크, 공기역학, 경량 소재 및 다양한 내부 업그레이드가 포함된다.<ref>BMW M3 WIKIPEDIA - https://en.wikipedia.org/wiki/BMW_M3#G80_generation_(2021-)</ref>
  
 
== 주요 모델 ==
 
== 주요 모델 ==
 
=== 1세대 (E30 M3) ===
 
=== 1세대 (E30 M3) ===
[[파일:BMW M3 시리즈 1세대.jpg|썸네일|300픽셀|'''BMW E30 M3'''(1세대)]]
+
[[파일:BMW M3 시리즈 1세대.jpg|썸네일|300픽셀|'''비엠더블유 E30 M3'''(1세대)]]
  
1986년형 E30 3시리즈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E30 M3는, 2.3리터 직렬 4기통 S14B23 엔진(줄여서 S14 엔진)을 탑재했다. 이 엔진은 다양한 비엠더블유 엔진의 계보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기본적인 실린더 블록 형태는 2002모델과 320에서 쓰였던 M10 4 실린더를 차용했고, 보어가 커지고 강화되어 비엠더블유 M88 직렬 6기통과 유사한 제원을 만들어냈다. 강력한 흡기를 위해 비엠더블유 M1과 M6에서 쓰였던 직렬 6기통 밸브 트레인과 실린더 헤드 설계가 적용되었으며, 그 결과 뛰어난 성능을 자랑했다. E30 M3의 가장 큰 특징은 이 차량의 레이싱 혈통에 있다. 프로드라이브(Prodrive)나 AC 슈니처(AC Schnitzer)같은 여타 레이싱팀 만큼이나 비엠더블유에서 직접 이 차량을 출전시키기도 했고, 랠리, DTM, 호주 투어링카 레이스를 포함한 여러 레이스에 제한없이 출전했다. 일반 도로용 M3가 생산된 주된 이유는 이 차량을 그룹 A 투어링 카 레이스(Group A Touring Car racing)의 인증을 받기 위해서이다. 이 차량의 탄생의 또다른 이유중 하나는 1983년 메르세데스 벤츠에서 나온 W201 190E의 2.3리터 16밸브 모델과 경쟁하기 위해서이다. E30 M3가 생산 말년에 최고 수준의 경쟁을 하게 될때쯤, 레이스용 2.5리터 S14엔진은 자연흡기 340 마력(250 kW)을 생성해냈다. 처음 일반도로용 M3는 195 마력(145 kW; 198 PS)의 출력을 발생시켰다. 미국에서 판매되지 않은 에볼루션(Evolution) 모델은 2.3리터 배기량을 지니고 있었고, 새로운 배기장치와 개선된 캠 타이밍, 그리고 촉매없이 높아진 압축비로 215 마력(160 kW)을 발생시켰다. 이후에 600대 생산된 스포츠 에볼루션(Sport Evolution)모델은 엔진 배기량을 높여 2.5리터에서 238 마력(175 kW)를 발생시켰다. 이 모델은 컨버터블 모델로 786대 생산되었는데, 모두 비엠더블유의 독일 가칭(Garching) 공장에서 수작업으로 생산되었다. 컨버터블 출시 당시 이 차는 215 마력(160 kW)을 생성했으며, 당시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4인승 컨버터블이다.
+
1986년형 E30 3시리즈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E30 M3는, 2.3리터 직렬 4기통 S14B23엔진(줄여서 S14엔진)을 탑재했다. 이 엔진은 다양한 비엠더블유 엔진의 계보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기본적인 실린더 블록 형태는 2002모델과 320에서 쓰였던 M10 4 실린더를 차용했고, 보어가 커지고 강화되어 비엠더블유 M88 직렬 6기통과 유사한 제원을 만들어냈다. 강력한 흡기를 위해 비엠더블유 M1과 M6에서 쓰였던 직렬 6기통 밸브 트레인과 실린더 헤드 설계가 적용되었으며, 그 결과 뛰어난 성능을 자랑했다. E30 M3의 가장 큰 특징은 이 차량의 레이싱 혈통에 있다. 프로드라이브(Prodrive)나 AC 슈니처(AC Schnitzer)같은 여타 레이싱팀 만큼이나 비엠더블유에서 직접 이 차량을 출전시키기도 했고, 랠리, DTM, 호주 투어링카 레이스를 포함한 여러 레이스에 제한없이 출전했다. 일반 도로용 M3가 생산된 주된 이유는 이 차량을 그룹 A 투어링 카 레이스(Group A Touring Car racing)의 인증을 받기 위해서이다. 이 차량의 탄생의 또다른 이유중 하나는 1983년 메르세데스 벤츠에서 나온 W201 190E의 2.3리터 16밸브 모델과 경쟁하기 위해서이다. E30 M3가 생산 말년에 최고 수준의 경쟁을 하게 될때쯤, 레이스용 2.5리터 S14엔진은 자연흡기 340 마력(250 kW)을 생성해냈다. 처음 일반도로용 M3는 195 마력(145 kW; 198 PS)의 출력을 발생시켰다. 미국에서 판매되지 않은 에볼루션(Evolution) 모델은 2.3리터 배기량을 지니고 있었고, 새로운 배기장치와 개선된 캠 타이밍, 그리고 촉매없이 높아진 압축비로 215 마력(160 kW)을 발생시켰다. 이후에 600대 생산된 스포츠 에볼루션(Sport Evolution)모델은 엔진 배기량을 높여 2.5리터에서 238 마력(175 kW)를 발생시켰다. 이 모델은 컨버터블 모델로 786대 생산되었는데, 모두 비엠더블유의 독일 가칭(Garching) 공장에서 수작업으로 생산되었다. 컨버터블 출시 당시 이 차는 215 마력(160 kW)을 생성했으며, 당시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4인승 컨버터블이다.
  
 
E30 M3는 비엠더블유 S14 4기통 엔진을 장착했으며, 비엠더블유 S38 6기통 엔진과 7,250rpm 레드라인이 있는 비엠더블유 M10 4기통 엔진의 블록을 기반으로 헤드를 밀접하게 장착한 고해상도 DOHC 설계를 적용했다. M3가 촉매 변환기로 판매된 국가에서 초기 버전은 143kW 195 PS 192마력 정도에 달했고 최고 속도는 235km/h(146mph)이다. 촉매 컨버터가 장착되지 않은 국가에서 엔진은 147kW(200 PS, 197마력)정도에 달했다.<ref name=위키백과></ref>
 
E30 M3는 비엠더블유 S14 4기통 엔진을 장착했으며, 비엠더블유 S38 6기통 엔진과 7,250rpm 레드라인이 있는 비엠더블유 M10 4기통 엔진의 블록을 기반으로 헤드를 밀접하게 장착한 고해상도 DOHC 설계를 적용했다. M3가 촉매 변환기로 판매된 국가에서 초기 버전은 143kW 195 PS 192마력 정도에 달했고 최고 속도는 235km/h(146mph)이다. 촉매 컨버터가 장착되지 않은 국가에서 엔진은 147kW(200 PS, 197마력)정도에 달했다.<ref name=위키백과></ref>
21번째 줄: 21번째 줄:
  
 
=== 2세대 (E36 M3) ===
 
=== 2세대 (E36 M3) ===
[[파일:BMW M3 시리즈 2세대.jpg|썸네일|300픽셀|'''BMW E36 M3'''(2세대)]]
+
[[파일:BMW M3 시리즈 2세대.jpg|썸네일|300픽셀|'''비엠더블유 E36 M3'''(2세대)]]
  
[[BMW M]](비엠더블유 엠)은 1992년 2월 파리 오토쇼에서 초기 M3의 후속 모델인 E36 M3 쿠페를 발표했다. 1991년 11월부터 정식으로 시판에 들어갔다. E36 M3는 비엠더블유 E36 플랫폼을 기반으로 3.0리터 2990cc 직렬 6기통 엔진 S50B30을 장착하여 286마력을 낼 수 있었다. 처음 출시되었을 때는 쿠페만 선택이 가능했으나, 94년 비엠더블유는 컨버터블과 세단형 M3를 선보였다. 또한, E36 M3는 우핸들 모델로도 생산이 된 M3 초기 모델이다. 1995년 여름, 쿠페와 세단은 새로운 3.2리터 S50B32 엔진이 장착되어 321마력(321 PS/236 kW)을 낼 수 있었고, 6단 기어박스 및 비엠더블유 M5에 사용되었던 제동장치가 채택되었다. 새로운 SMG(Sequential Manual Gearbox) 기어박스는 옵션 품목이다. 또한, 클리어 램프로 된 방향지시등과 새로운 휠이 장착되었다. 그러나, 컨버터블 모델은 1996년 봄까지 이러한 변화가 적용되지 못했다. 이 모델은 미국에서 판매된 모델과는 다른 모델이기 때문에 유로(Euro) 모델로 부르고 있다. 3.2리터 유로 모델은 M3 에볼루션(Evolution) 또는 에보(Evo)라고도 부른다. E36 M3는 미국에서 1995년부터 판매되었다. 이때는 3.0리터의 240마력의 엔진이 장착되었고 현가장치도 유로 모델과는 달랐다. 마력을 낮추어 미국에 판매한 이유는 유로 버전의 엔진으로는 미국의 배기가스 배출 시험을 통과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모든 E36 M3는 비엠더블유의 독일 레겐스부르크(Regensburg)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E36 M3는 단종될 때까지 쿠페 46,525대, 컨버터블 12,114대, 12,603대의 세단이 생산되었다. 1997년 12월, M3 세단의 생산이 중단되었으며, 쿠페는 1998년 말까지 생산되었다. 컨버터블 모델은 1999년 12월까지 생산되었다.
+
비엠더블유 엠은 1992년 2월 파리 오토쇼에서 초기 M3의 후속 모델인 E36 M3 쿠페를 발표했다. 1991년 11월부터 정식으로 시판에 들어갔다. E36 M3는 비엠더블유 E36 플랫폼을 기반으로 3.0리터 2990cc 직렬 6기통 엔진 S50B30을 장착하여 286마력을 낼 수 있었다. 처음 출시되었을 때는 쿠페만 선택이 가능했으나, 94년 비엠더블유는 컨버터블과 세단형 M3를 선보였다. 또한, E36 M3는 우핸들 모델로도 생산이 된 M3 초기 모델이다. 1995년 여름, 쿠페와 세단은 새로운 3.2리터 S50B32 엔진이 장착되어 321마력(321 PS/236 kW)을 낼 수 있었고, 6단 기어박스 및 비엠더블유 M5에 사용되었던 제동장치가 채택되었다. 새로운 SMG(Sequential Manual Gearbox) 기어박스는 옵션 품목이다. 또한, 클리어 램프로 된 방향지시등과 새로운 휠이 장착되었다. 그러나, 컨버터블 모델은 1996년 봄까지 이러한 변화가 적용되지 못했다. 이 모델은 미국에서 판매된 모델과는 다른 모델이기 때문에 유로(Euro) 모델로 부르고 있다. 3.2리터 유로 모델은 M3 에볼루션(Evolution) 또는 에보(Evo)라고도 부른다. E36 M3는 미국에서 1995년부터 판매되었다. 이때는 3.0리터의 240마력의 엔진이 장착되었고 현가장치도 유로 모델과는 달랐다. 마력을 낮추어 미국에 판매한 이유는 유로 버전의 엔진으로는 미국의 배기가스 배출 시험을 통과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모든 E36 M3는 비엠더블유의 독일 레겐스부르크(Regensburg)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E36 M3는 단종될 때까지 쿠페 46,525대, 컨버터블 12,114대, 12,603대의 세단이 생산되었다. 1997년 12월, M3 세단의 생산이 중단되었으며, 쿠페는 1998년 말까지 생산되었다. 컨버터블 모델은 1999년 12월까지 생산되었다.
  
 
E36 M3는 비엠더블유 S50 스트레이트 식스 엔진으로 구동된다. 2014년 이후 대부분의 M3 모델을 사용한 최초의 M3 엔진이다.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초기 2,990cc(182cu in) 버전에서 7,000rpm에서 213kW(286마력) 및 320 N⋅m(236lb⋅ft)을 3,600rpm에 생성했다. 북미 모델은 비엠더블유 S50B30US 엔진을 대신 사용했다. 1995년 말에 페이스리프트 모델은 비엠더블유 S50 엔진의 3,201cc(195cu in)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어 7,400rpm에서 236kW(316마력) 및 350N⋅m(258lbf⋅ft)을 3,250rpm에 생성했다.  그리고 북미 모델은 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비엠더블유 S52 엔진을 대신 사용했다.<ref name=위키백과></ref>
 
E36 M3는 비엠더블유 S50 스트레이트 식스 엔진으로 구동된다. 2014년 이후 대부분의 M3 모델을 사용한 최초의 M3 엔진이다.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초기 2,990cc(182cu in) 버전에서 7,000rpm에서 213kW(286마력) 및 320 N⋅m(236lb⋅ft)을 3,600rpm에 생성했다. 북미 모델은 비엠더블유 S50B30US 엔진을 대신 사용했다. 1995년 말에 페이스리프트 모델은 비엠더블유 S50 엔진의 3,201cc(195cu in)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어 7,400rpm에서 236kW(316마력) 및 350N⋅m(258lbf⋅ft)을 3,250rpm에 생성했다.  그리고 북미 모델은 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비엠더블유 S52 엔진을 대신 사용했다.<ref name=위키백과></ref>
  
 
=== 3세대 (E46 M3) ===
 
=== 3세대 (E46 M3) ===
[[파일:BMW M3 시리즈 3세대.jpg|썸네일|300픽셀|'''BMW E46 M3'''(3세대)]]
+
[[파일:BMW M3 시리즈 3세대.jpg|썸네일|300픽셀|'''비엠더블유 E46 M3'''(3세대)]]
  
 
E46 M3는 새로운 직렬 6기통 3.2리터 비엠더블유 S54 엔진을 장착하고 2000년 10월에 발표되었다. 발표 당시, 비엠더블유 최초로 레드라인 8,000rpm에 달하던 고회전형 S54 엔진은 338마력(252kW/343PS)에 370Nm의 토크를 낼 수 있었다. 첫 번째로 생산된 E46 M3는 라구나 세카 블루(Laguna Seca Blue)로 도색되었고, SMG 드라이브로직 변속기, 클러치 페달이 없는 포뮬라 원 형태의 전기유체식 수동 기어박스,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패들 쉬프터가 특징이다. 종전 미국형 E36 M3엔진 성능이 유럽 모델에 비해 성능이 현저히 축소돼서 판매되었던 것에 반해, E46 M3는 출시 당시 유럽형 모델과 같은 엔진 출력을 지니고 출시되었다. 최근 모델은 333마력(248kW;338PS)을 발생시켰는데, 이는 다운파이프의 추가적인 촉매 변환기 장착으로 인해 독일 내수형 모델에 비해 5마력 떨어진 수치이다. 국내에서는 E46 M3 부터 정식수입 하기 시작 했으며 공인연비 8.5km/L을 기록했다. E36 M3의 생산은 1992년 9월에 시작되어 1999년 8월에 중단되었다. 대부분의 차량은 독일의 비엠더블유 레겐스부르크 공장에서 생산되었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 로슬린에있는 비엠더블유 공장에서 소수의 저압축 우측 드라이브 자동차가 조립되었다. 이곳에서 총 46,525개의 쿠페, 12,114개의 컨버터블, 12,603개의 세단이 생산되었다. 하지만 세단은 1997년 12월 생산을 중단했고, 쿠페는 1998년 말에 생산을 중단했으며, 컨버터블은 1999년 12월에 생산을 중단했다.
 
E46 M3는 새로운 직렬 6기통 3.2리터 비엠더블유 S54 엔진을 장착하고 2000년 10월에 발표되었다. 발표 당시, 비엠더블유 최초로 레드라인 8,000rpm에 달하던 고회전형 S54 엔진은 338마력(252kW/343PS)에 370Nm의 토크를 낼 수 있었다. 첫 번째로 생산된 E46 M3는 라구나 세카 블루(Laguna Seca Blue)로 도색되었고, SMG 드라이브로직 변속기, 클러치 페달이 없는 포뮬라 원 형태의 전기유체식 수동 기어박스,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패들 쉬프터가 특징이다. 종전 미국형 E36 M3엔진 성능이 유럽 모델에 비해 성능이 현저히 축소돼서 판매되었던 것에 반해, E46 M3는 출시 당시 유럽형 모델과 같은 엔진 출력을 지니고 출시되었다. 최근 모델은 333마력(248kW;338PS)을 발생시켰는데, 이는 다운파이프의 추가적인 촉매 변환기 장착으로 인해 독일 내수형 모델에 비해 5마력 떨어진 수치이다. 국내에서는 E46 M3 부터 정식수입 하기 시작 했으며 공인연비 8.5km/L을 기록했다. E36 M3의 생산은 1992년 9월에 시작되어 1999년 8월에 중단되었다. 대부분의 차량은 독일의 비엠더블유 레겐스부르크 공장에서 생산되었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 로슬린에있는 비엠더블유 공장에서 소수의 저압축 우측 드라이브 자동차가 조립되었다. 이곳에서 총 46,525개의 쿠페, 12,114개의 컨버터블, 12,603개의 세단이 생산되었다. 하지만 세단은 1997년 12월 생산을 중단했고, 쿠페는 1998년 말에 생산을 중단했으며, 컨버터블은 1999년 12월에 생산을 중단했다.
37번째 줄: 37번째 줄:
 
[[파일:BMW M3 시리즈 4세대.jpg|썸네일|300픽셀|'''BMW E92 M3'''(4세대)]]
 
[[파일:BMW M3 시리즈 4세대.jpg|썸네일|300픽셀|'''BMW E92 M3'''(4세대)]]
  
4세대 BMW M3(코드네임 E90/92/93)는 2007년 3월 06일부터 2007년 3월 18일까지 개최된 독일의 2007년 제네바 오토쇼에서 'BMW M3 컨셉트'라는 명칭으로 공개되었다. E46 M3 컨셉트와 E60 M5 컨셉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4세대 M3 컨셉트는 양산형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양산형 4세대 M3는 2007년 9월 13일부터 2007년 9월 23일까지 개최된 독일의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되었다. 4세대 M3의 공개와 동시에 비엠더블유 S65 모델의 새로운 엔진도 함께 공개되었다. 이 S65B40 엔진은 자연흡기 및 고회전의 4.0리터 V8 엔진은 E60/E61 M5와 E63/64 M6에서 사용된 S85B50 507마력 5.0리터 V10 엔진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최대 414마력(309kW; 420PS)를 8,300rpm에서 생성시키며, 최대토크는 3,900rpm에서 400Nm를 발생시킨다. 이 엔진은 종전 E46 M3의 직렬 6기통 3.2리터 엔진에 비해 22%가량의 출력 상승을 이뤄냈으며, 202kg이던 6기통 엔진 무게에 비해 15kg(33lbs)의 무게가 감소되었다. 6단 수동변속기가 기본으로 탑재되며, 2008년 4월부터는 새로운 M-DKG(Doppel-Kupplungs-Getriebe) 또는 M-DCT(Dual Clutch Transmission)라고 불리는 듀얼클러치 자동변속기를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듀얼 클러치 자동변속기는 수동변속기에 비해 변속 시간이 0.1초 미만으로 줄어들었으며, 0-100km 가속을 0.2초 단축시킨다. 또한, E36과 E46의 SMG 기어박스처럼 수동과 자동변속 모드를 지원하며, E92 M3 쿠페는 E46 M3 CSL에 탑재되었던 카본 파이퍼 루프를 옵션으로 탑재하여 무게 경감을 했다.
+
4세대 BMW M3(코드네임 E90/92/93)는 2007년 3월 06일부터 2007년 3월 18일까지 개최된 독일의 2007년 제네바 오토쇼에서 'BMW M3 컨셉트'라는 명칭으로 공개되었다. E46 M3 컨셉트와 E60 M5 컨셉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4세대 M3 컨셉트는 양산형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양산형 4세대 M3는 2007년 9월 13일부터 2007년 9월 23일까지 개최된 독일의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되었다. 4세대 M3의 공개와 동시에 비엠더블유 S65 모델의 새로운 엔진도 함께 공개되었다. 이 S65B40 엔진은 자연흡기 및 고회전의 4.0리터 V8 엔진은 E60/E61 M5와 E63/64 M6에서 사용된 S85B50 507마력 5.0리터 V10 엔진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최대 414마력(309kW; 420PS)를 8,300rpm에서 생성시키며, 최대토크는 3,900rpm에서 400Nm를 발생시킨다. 이 엔진은 종전 E46 M3의 직렬 6기통 3.2리터 엔진에 비해 22%가량의 출력 상승을 이뤄냈으며, 202kg이던 6기통 엔진 무게에 비해 15kg(33lbs)의 무게가 감소되었다. 6단 수동변속기가 기본으로 탑재되며, 2008년 4월부터는 새로운 M-DKG(Doppel-Kupplungs-Getriebe) 또는 M-DCT(Dual Clutch Transmission)라고 불리는 듀얼클러치 자동변속기를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듀얼 클러치 자동변속기는 수동변속기에 비해 변속 시간이 0.1초 미만으로 줄어들었으며, 0-100km 가속을 0.2초 단축시킨다. 또한, E36과 E46의 SMG 기어박스처럼 수동과 자동변속 모드를 지원하며, E92 M3 쿠페는 E46 M3 CSL에 탑재되었던 카본 파이퍼 루프를 옵션으로 탑재하여 무게 경감을 했다.
  
 
4세대 M3는 E46 M3에 없던 세단형 버전을 다시금 개발했지만, 국내에는 세단형과 컨버터블이 들어오지 않았다. E90형 3 시리즈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헤드램프를 포함한 앞부분을 M3 쿠페와 공유한다. E92 M3 쿠페에 장착되는 카본파이버 루프는 지원되지 않는다. 2009년 3 시리즈의 앞, 뒷범퍼, LED 리어램프의 부분변경으로 E90 M3 세단역시 같은 부분이 변경되었다. 코드네임 E93인 M3 컨버터블은 쿠페 출시 직후 발표되었다. 하지만, 2013년 7월에 세단형과 쿠페가 단종되었다.<ref name=위키백과></ref>
 
4세대 M3는 E46 M3에 없던 세단형 버전을 다시금 개발했지만, 국내에는 세단형과 컨버터블이 들어오지 않았다. E90형 3 시리즈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헤드램프를 포함한 앞부분을 M3 쿠페와 공유한다. E92 M3 쿠페에 장착되는 카본파이버 루프는 지원되지 않는다. 2009년 3 시리즈의 앞, 뒷범퍼, LED 리어램프의 부분변경으로 E90 M3 세단역시 같은 부분이 변경되었다. 코드네임 E93인 M3 컨버터블은 쿠페 출시 직후 발표되었다. 하지만, 2013년 7월에 세단형과 쿠페가 단종되었다.<ref name=위키백과></ref>
  
 
=== 5세대 (F80 M3) ===
 
=== 5세대 (F80 M3) ===
[[파일:BMW M3 시리즈 5세대.jpg|썸네일|300픽셀|'''BMW F80 M3'''(5세대)]]
+
[[파일:BMW M3 시리즈 5세대.jpg|썸네일|300픽셀|'''비엠더블유 F80 M3'''(5세대)]]
  
BMW M3 5세대는 코드네임 F80으로 2013년 12월에 발표되었다. F30 3시리즈 세단이 베이스로, 비엠더블유의 모델 체계 분리에 따라 M3는 앞으로 오로지 세단 모델만 출시한다. 기존 M3를 상징하던 쿠페 모델은 F32 4시리즈 쿠페가 출시됨에 따라 별도로 F82 M4 쿠페로 출시되었다. 다운사이징한 직렬 6 기통 3.0리터 트윈터보 엔진(S55B30A)을 적용했으며 7단 M-DCT 듀얼클러치 미션과 조합된다. M3의 독특한 디자인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닛에 엔진부근이 불룩 솟아있는 디자인으로 탄소섬유 재질의 루프가 지속적으로 적용되었다. 엔진은 이전보다 배기량/밸브 숫자가 줄어들었음에도 마력, 토크, 연비는 상당히 향상되어서 실제로 성능은 더욱 강력해졌다.<ref name=위키백과></ref>
+
M3 5세대는 코드네임 F80으로 2013년 12월에 발표되었다. F30 3시리즈 세단이 베이스로, 비엠더블유의 모델 체계 분리에 따라 M3는 앞으로 오로지 세단 모델만 출시한다. 기존 M3를 상징하던 쿠페 모델은 F32 4시리즈 쿠페가 출시됨에 따라 별도로 F82 M4 쿠페로 출시되었다. 다운사이징한 직렬 6 기통 3.0리터 트윈터보 엔진(S55B30A)을 적용했으며 7단 M-DCT 듀얼클러치 미션과 조합된다. M3의 독특한 디자인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닛에 엔진부근이 불룩 솟아있는 디자인으로 탄소섬유 재질의 루프가 지속적으로 적용되었다. 엔진은 이전보다 배기량/밸브 숫자가 줄어들었음에도 마력, 토크, 연비는 상당히 향상되어서 실제로 성능은 더욱 강력해졌다.<ref name=위키백과></ref>
  
 
=== 6세대 (G80/81 M3) ===
 
=== 6세대 (G80/81 M3) ===
[[파일:비엠더블유 G80 M3 6세대.jpg|썸네일|300픽셀|'''BMW G80 M3'''(6세대)]]
+
[[파일:비엠더블유 G80 M3 6세대.jpg|썸네일|300픽셀|'''비엠더블유 G80 M3'''(6세대)]]
  
BMW는 G20 3 시리즈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는 [[신모델]]이다. 2021년에 출시될 예정인 6세대 BMW M3는 이전의 BMW M3가 채택한 [[후륜구동]]이 아닌 드라이브트레인 레이아웃을 적용했다. BMW M3 G80은 2021년 모델로 판매될 예정이며, 초기 프로토타입은 비엠더블유 M4 G82와함께 뉘르부르크링에서 테스트될 예정이다. 2020년 9월 23일에 M4와 함께 공식적으로 공개되었다. 2021년 3월부터 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구매 시 날개, 사이드 스커트, 배기 가스를 포함한 M 퍼포먼스 부품도 제공한다고 알려져있다.<ref name=위키백과></ref>
+
비엠더블유는 G20 3 시리즈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는 신 모델이다. 2021년에 출시될 예정인 6세대 M3는 이전의 M3가 채택한 후륜 구동이 아닌 드라이브트레인 레이아웃을 적용했다. 비엠더블유 M3 G80은 2021년 모델로 판매될 예정이며, 초기 프로토타입은 비엠더블유 M4 G82와함께 뉘르부르크링에서 테스트될 예정이다. 2020년 9월 23일에 M4와 함께 공식적으로 공개되었다. 2021년 3월부터 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구매 시 날개, 사이드 스커트, 배기 가스를 포함한 M 퍼포먼스 부품도 제공한다고 알려져있다.<ref name=위키백과></ref>
  
 
== 특징 ==
 
== 특징 ==
 
=== 디자인 ===
 
=== 디자인 ===
BMW M3의 외관디자인은 세단 전면부에 탑재된 [[LED 헤드라이트]]의 개성으로 차별성을 높였으며 [[키드니 그릴]]의 블랙 더블 슬랫에 부착된 M 엠블럼으로 마무리되었다. 측면은 순수한 M의 열정 안에 형태와 기능이 완벽하게 통합되었음을 보여준다. 곡면 지붕의 곡선은 고성능 모터스포츠의 성격을 4도어 세단의 실루엣과 완벽하게 결합시켰다. 블랙 카본 재질의 루프는 도로에 밀착된 날렵한 외형을 빚어내며 차의 전체 중량을 줄이고 무게중심을 낮추어 보다 역동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후면부에 탑재된 4개의 테일 파이프에서 나오는 강력한 배기음으로 강렬한 이미지를 연출했다. 또한, 공기역학적으로 최적화된 M 아웃사이드 미러는 더블 브리지 디자인과 통합 LED 방향지시등으로 이 모델만의 역동적인 캐릭터를 강조한다. 비엠더블유 M3 세단이 주행 성능의 극대화를 위한 M 엔지니어링 기술의 절정이라는 것은 엄청난 폐활량을 보여주는 전면부의 대형 I49공기 흡입구에서부터 느낄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실내 디자인은 운전자 중심의 전형적인 M 운전석 배치와 완벽하게 제작된 마감재를 자랑한다. 깊은 착석 위치, 높은 사이드 볼스터가 특징인 모터스포츠 감각을 강조한 M 전용 스포츠 시트,그리고 M 스티어링휠 등 모든 요소들이 한계를 넘는 역동적인 주행상황에서도 완벽한 인체공학과 머신의 통제능력을 보장한다. 아울러 드라이브 로직 내장 7단 듀얼클러치 변속기와 인체공학적으로 최적화된 시프트 레버는 모터스포츠 감각을 전달하고, 고급스러운 가죽 마감의 컨트롤 디스플레이는 모든 기능을 매우 선명하고 직관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컨트롤 디스플레이의 고급스러운 익스클루시브 나파 가죽 트림은 컨트라스트 스티칭과 조화를 이루며 럭셔리한 실내공간을 느낄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ref name=BMW코리아>BMW코리아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bmw.co.kr/ko/all-models/m-series/m3-sedan/2014/design.html</ref>
+
비엠더블유 M3의 외관디자인은 세단 전면부에 탑재된 LED 헤드라이트의 개성으로 차별성을 높였으며 키드니 그릴의 블랙 더블 슬랫에 부착된 M 엠블럼으로 마무리되었다. 측면은 순수한 M의 열정 안에 형태와 기능이 완벽하게 통합되었음을 보여준다. 곡면 지붕의 곡선은 고성능 모터스포츠의 성격을 4도어 세단의 실루엣과 완벽하게 결합시켰다. 블랙 카본 재질의 루프는 도로에 밀착된 날렵한 외형을 빚어내며 차의 전체 중량을 줄이고 무게중심을 낮추어 보다 역동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후면부에 탑재된 4개의 테일 파이프에서 나오는 강력한 배기음으로 강렬한 이미지를 연출했다. 또한, 공기역학적으로 최적화된 M 아웃사이드 미러는 더블 브리지 디자인과 통합 LED 방향지시등으로 이 모델만의 역동적인 캐릭터를 강조한다. 비엠더블유 M3 세단이 주행 성능의 극대화를 위한 M 엔지니어링 기술의 절정이라는 것은 엄청난 폐활량을 보여주는 전면부의 대형 I49공기 흡입구에서부터 느낄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실내 디자인은 운전자 중심의 전형적인 M 운전석 배치와 완벽하게 제작된 마감재를 자랑한다. 깊은 착석 위치, 높은 사이드 볼스터가 특징인 모터스포츠 감각을 강조한 M 전용 스포츠 시트,그리고 M 스티어링휠 등 모든 요소들이 한계를 넘는 역동적인 주행상황에서도 완벽한 인체공학과 머신의 통제능력을 보장한다. 아울러 드라이브 로직 내장 7단 듀얼클러치 변속기와 인체공학적으로 최적화된 시프트 레버는 모터스포츠 감각을 전달하고, 고급스러운 가죽 마감의 컨트롤 디스플레이는 모든 기능을 매우 선명하고 직관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컨트롤 디스플레이의 고급스러운 익스클루시브 나파 가죽 트림은 컨트라스트 스티칭과 조화를 이루며 럭셔리한 실내공간을 느낄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ref name=BMW코리아>BMW코리아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bmw.co.kr/ko/all-models/m-series/m3-sedan/2014/design.html</ref>
  
 
* '''M 시트'''
 
* '''M 시트'''
256번째 줄: 256번째 줄: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BMW M3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BMW_M3
 
* BMW M3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BMW_M3
 
* 2020 BMW M3  네이버 자동차 - https://auto.naver.com/car/lineup.nhn?yearsId=141209
 
* 2020 BMW M3  네이버 자동차 - https://auto.naver.com/car/lineup.nhn?yearsId=141209
262번째 줄: 262번째 줄:
 
* BMW M3 WIKIPEDIA - https://en.wikipedia.org/wiki/BMW_M3#G80_generation_(2021-)
 
* BMW M3 WIKIPEDIA - https://en.wikipedia.org/wiki/BMW_M3#G80_generation_(2021-)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BMW]]
+
* [[비엠더블유]]
* [[BMW M]]
+
* [[비엠더블유 엠]]
* [[BMW M4]]
 
* [[BMW M5]]
 
* [[BMW M8]]
 
  
 
{{독일 자동차|검토 필요}}
 
{{독일 자동차|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