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L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CATL 글자.png|썸네일|300픽셀|'''CATL'''(宁德时代)]]
 
[[파일:CATL 글자.png|썸네일|300픽셀|'''CATL'''(宁德时代)]]
 
[[파일:닝더시대 글자.png|썸네일|300픽셀|'''닝더시대'''(宁德时代)]]
 
[[파일:닝더시대 글자.png|썸네일|300픽셀|'''닝더시대'''(宁德时代)]]
[[파일:쩡위췬.jpg|썸네일|200픽셀|'''[[쩡위췬]]'''(曾毓群) CATL 창업자 및 회장]]
+
[[파일:정위췬.jpg|썸네일|200픽셀|'''[[정위췬]]'''(曾毓群) CATL 창업자 및 회장]]
 
[[파일:CATL 배터리.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CATL 배터리 이미지]]
 
[[파일:CATL 배터리.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CATL 배터리 이미지]]
[[파일:CATL 배터리2.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CATL 배터리 이미지]]
 
  
'''CATL'''(씨에이티엘) 또는 '''닝더스다이'''<!--닝더 스다이-->(宁德时代, {{발음|宁德时代}}, 닝더시대, 녕덕시대)는 2011년에 설립된 중국 [[푸젠성]] [[닝더시]](宁德市)에 본사가 있는 전기자동차(EV) [[배터리]] 제조업체이다.<ref>周小飏, 〈[https://www.jiemian.com/article/5541061.html 宁德时代2020年电池装机全球第一,斩获四连冠]〉, 《界面新闻》, 2021-01-13</ref> CATL은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의 약자로서, '''씨에이티엘'''이라고 읽는다. 간혹 '''캐틀'''이라고 읽기도 한다. CATL은 중국 1위, 4년 연속 세계 시장점유율 1위의 전기자동차 배터리 전문 업체이다.
+
'''CATL'''(씨에이티엘) 또는 '''닝더시대'''<!--닝더 시대-->(宁德时代, {{발음|宁德时代}}, 닝더스다이)는 2011년에 설립된 중국 [[푸젠성]] 닝더시(宁德市)에 본사가 있는 중국 1위, 4년 연속 세계 시장점유율 1위 전기자동차(EV) [[배터리]] 제조업체이다.<ref>周小飏, 〈[https://www.jiemian.com/article/5541061.html 宁德时代2020年电池装机全球第一,斩获四连冠]〉, 《界面新闻》, 2021-01-13</ref> '''캐틀'''이라고 읽기도 한다. CATL은 신생에너지 자동차 동력 배터리 시스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를 위주로 하며 글로벌 신생에너지 응용에 솔루션을 제공하며 주요 제품은 리튬이온배터리, 리튬 폴리머 배터리, 연료 배터리, 동력 배터리 등이 있다. 2019년 영업수익은 457.8억 위안(약 7조 8,361억 원)으로  2020년 7월에 발표한  "포춘 차이나 500강" (FORTUNE china 500)중 226위였다. <ref>〈[https://www.catlbattery.com/index.php/about/information 企业简介]〉, 《宁德时代·CATL》</ref>CATL은 중국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고 2017년 차량용 배터리 시장에서 일본 [[파나소닉]](15%)을 제치고 세계 1위(16%)에 등극했다.  
 
 
CATL은 신생에너지 자동차 동력 배터리 시스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를 위주로 하며 글로벌 신생에너지 응용에 솔루션을 제공한다. 주요 제품은 리튬이온배터리, 리튬 폴리머 배터리, 연료 배터리, 동력 배터리 등이 있다. 2019년 영업수익은 457.8억 위안(약 7조 8,361억 원)으로  2020년 7월에 발표한  "포춘 차이나 500강" (FORTUNE china 500)중 226위였다. <ref>〈[https://www.catlbattery.com/index.php/about/information 企业简介]〉, 《宁德时代·CATL》</ref>CATL은 중국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고 2017년 차량용 배터리 시장에서 일본 [[파나소닉]](15%)을 제치고 세계 1위(16%)에 등극했다.  
 
  
 
CATL은 [[테슬라]], [[폭스바겐]]과 [[BMW]] 등에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2023년 이후 출시하는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플랫폼 E-GMP 3차 물량 배터리 공급사로도 CATL이 SK이노베이션과 함께 선정되었다.<ref>안재형 기자,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2/184764/ [Business Inside] 소송에 화재까지, 국내 배터리업계 난항에 미소 짓는 CATL]〉, 《매일경제》, 2021-02-25</ref>  
 
CATL은 [[테슬라]], [[폭스바겐]]과 [[BMW]] 등에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2023년 이후 출시하는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플랫폼 E-GMP 3차 물량 배터리 공급사로도 CATL이 SK이노베이션과 함께 선정되었다.<ref>안재형 기자,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2/184764/ [Business Inside] 소송에 화재까지, 국내 배터리업계 난항에 미소 짓는 CATL]〉, 《매일경제》, 2021-02-25</ref>  
{{:자동차 배너|배터리}}
 
  
 
== 개요 ==
 
== 개요 ==
21번째 줄: 17번째 줄:
  
 
== 주요인물 ==
 
== 주요인물 ==
'''[[쩡위췬]]'''(曾毓群, {{발음|zēng yù qún}}) : CATL 창업자 및 회장이다. [[상하이교통대학]] 선박공학과를 졸업하고 중국과학원 생리학 연구소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졸업 후 그의 첫번째 직장은 일본 TDK였다. 출중한 개인 능력으로 줄곧 발탁되어 기술자에서 프로젝트 총책임자로 31세에는 TDK사의 유일한 중국인 총감독으로 발탁되었다. TDK에서 일하는 동안 쩡위췬은 2008년도에 TDK 특별 공로상을 수상하였으며, 국가과학기술 진보 2등상도 수상하였다. 광동성 과학기술진보 2등상, 2007년도 교육기술발명 부문 2등상 등의 영예를 안았다. 투자자들은 CATL을 보면 일본기업의 문화가 짙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
'''[[정위췬]]'''(曾毓群, {{발음|曾毓群}}) : CATL 창업자 및 회장이다. [[상하이교통대학]] 선박공학과를 졸업하고 중국과학원 생리학 연구소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졸업 후 그의 첫번째 직장은 일본 TDK였다. 출중한 개인 능력으로 줄곧 발탁되어 기술자에서 프로젝트 총책임자로 31세에는 TDK사의 유일한 중국인 총감독으로 발탁되었다. TDK에서 일하는 동안 정위췬은 2008년도에 TDK 특별 공로상을 수상하였으며, 국가과학기술 진보 2등상도 수상하였다. 광동성 과학기술진보 2등상, 2007년도 교육기술발명 부문 2등상 등의 영예를 안았다. 투자자들은 CATL을 보면 일본기업의 문화가 짙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위췬은 실험실에 2주 내내 갇혀 심사숙고하다 마침내 전해액 성분이 배터리를 부풀렸다는 점을 파악하고 기술진과 성공적으로 해결했다. 결국 양산으로 급속히 휴대전화 시장을 장악하게 되었다. 설립된지 3년 만인 2002년 ATL은 연간 500만 달러 이상의 흑자를 냈다. 2004년 ATL은 [[애플]]의 엄청난 수주를 따내 눈길을 끌었다.
 
 
1999년 [[쩡위췬]]과 그의 친구들은 몇 년에 걸쳐서 [[ATL]]을 창립했는데 그 회사가 바로 소비 전자 배터리 시장을 겨냥한 것이다. 창업 초기 쩡위췬은 회사 전체 창업자금의 절반(100만여 달러)을 들고 미국으로 날아가 [[벨랩]](Bell Labs)의 [[리튬 폴리머 배터리]]의 특허 권한을 위임받았다. 하지만 특허기술에 결함이 있고, 배터리를 충전·방전을 반복하다 보니 배터리가 부풀어 오르는 변형이 생겼다. 벨랩(Bell Labs)의 특허 권한을 획득한 20여 개 기업 중 쩡위췬이 있는 [[ATL]]이 유일하게 배터리 변이 문제를 해결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쩡위췬은 실험실에 2주 내내 갇혀 심사숙고하다 마침내 전해액 성분이 배터리를 부풀렸다는 점을 파악하고 기술진과 성공적으로 해결했다. 결국 양산으로 급속히 휴대전화 시장을 장악하게 되었다. 설립된지 3년 만인 2002년 ATL은 연간 500만 달러 이상의 흑자를 냈다. 2004년 ATL은 [[애플]]의 엄청난 수주를 따내 눈길을 끌었다.
 
  
2012년 쩡위췬은 [[황스린]](黄世霖, {{발음|黄世霖}}) 등과 함께 2차 창업하면서 CATL를 설립했다. CATL은 BMW의 800여 페이지에 달하는 독일어로 된 까다라운 기술서를 한 글자 한 구절씩 읽으면서  BMW 동력 배터리 핵심 공급업체로 부상했다. 이어서 벤츠, 폭스바겐과 등의 유명 자동차 회사와도 긴밀한 공급 관계를 구축했다.<ref name="증권"></ref>
+
1999년, 정위췬 그의 친구들은 몇 년에 걸쳐서친한 ATL을 창립했는데 그 회사가 바로 소비 전자 배터리 시장을 겨냥한 것이다. 창업 초기 정위췬은 회사 전체 창업자금의 절반(100만여 달러)을 들고 미국으로 날아가 벨랩(Bell Labs)의 리튬폴리머 배터리의 특허 권한을 위임받았다. 하지만 특허기술에 결함이 있고, 배터리를 충전·방전을 반복하다보니 배터리가 부풀어오르는 변형이 생겼다. 벨랩(Bell Labs)의 특허 권한을 획득한 20여 개 기업 중 정위췬이 있는 ATL이 유일하게 배터리 변이 문제를 해결했다.  
  
2020년 5월 12일 쩡위췬은 608.1억 위안으로 2020 신재부 500인 부호 리스트에서 28위에 이름을 올렸다.
+
2012년 정위췬은 황스린(黄世霖) 등과 함께 2차 창업하면서 CATL를 설립했다. CATL은 BMW의 800여 페이지에 달하는 독일어로 된 까다라운 기술서를 한 글자 한 구절씩 읽으면서  BMW 동력 배터리 핵심 공급업체로 부상했다. 이어서 벤츠, 폭스바겐과 등의 유명 자동차 회사와도 긴밀한 공급 관계를 구축했다.<ref name="증권"></ref>
  
 +
2020년 5월 12일, 정위췬은 608.1억위안으로 2020신재부500인부호 리스트에서 28위에 이름을 올렸다.
 
== 시장점유율 ==
 
== 시장점유율 ==
[[파일:연간 누적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png|썸네일|400픽셀|오른쪽|연간 누적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
[[파일:연간 누적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png|썸네일|300픽셀|오른쪽|연간 누적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
전기차 배터리 시장조사업체인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0년 중국 CATL이 세계 전기차용 배터리 탑재량에서 시장 점유율 24.0%를 차지해 1위를 기록했다. CATL의 2020년 전기차 배터리 탑재량은 34.3GWh로 전년(32.5GWh)대비 5.4% 늘었다. 2위는 LG에너지솔루션으로 점유율 23.5%를 기록했다. CATL은 2020년 상반기 중국 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전기차 생산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면서 배터리 출하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하반기 이후 전기차 판매량이 늘면서 배터리 수요가 빠르게 증가했다. CATL은 최근 전기차 배터리 주문이 폭발적으로 증가해 오는 2021년 구정 연휴기간동안 공장을 쉬지 않고 추가근무한다고 밝혔다. CATL의 전기차 배터리 주문량이 크게 늘어난 까닭은 현지 로컬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생산이 증가한 것도 있지만 [[폭스바겐]], [[BMW]]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가 중국에서 생산하는 전기차에 CATL의 배터리를 사용하기로 한 것도 있다.
+
전기차 배터리 시장조사업체인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0년 중국 CATL이 세계 전기차용 배터리 탑재량에서 시장 점유율 24.0%를 차지해 1위를 기록했다. CATL의 2020년 전기차 배터리 탑재량은 34.3GWh로 전년(32.5GWh)대비 5.4% 늘었다. 2위는 LG에너지솔루션으로 점유율 23.5%를 기록했다. CATL은 2020년 상반기 중국 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전기차 생산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면서 배터리 출하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하반기 이후 전기차 판매량이 늘면서 배터리 수요가 빠르게 증가했다. CATL은 최근 전기차 배터리 주문이 폭발적으로 증가해 오는 2021년 구정 연휴기간동안 공장을 쉬지 않고 추가근무한다고 밝혔다. CATL의 전기차 배터리 주문량이 크게 늘어난 까닭은 현지 로컬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생산이 증가한 것도 있지만 [[폭스바겐]], [[BMW]]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가 중국에서 생산하는 전기차에 CATL의 배터리를 사용하기로 한 것도 있다.  
  
 
== 현황 ==
 
== 현황 ==
95번째 줄: 90번째 줄:
 
[[파일:CTP 고집적화 배터리 플랫폼.png|썸네일|400픽셀|오른쪽|CTP 고집적화 배터리 플랫폼]]
 
[[파일:CTP 고집적화 배터리 플랫폼.png|썸네일|400픽셀|오른쪽|CTP 고집적화 배터리 플랫폼]]
 
[[파일:고에너지밀도-CTC시스템집적기술 돌파.png|썸네일|400픽셀|오른쪽|고에너지밀도-CTC는 시스템 집적기술의 돌파이다.]]
 
[[파일:고에너지밀도-CTC시스템집적기술 돌파.png|썸네일|400픽셀|오른쪽|고에너지밀도-CTC는 시스템 집적기술의 돌파이다.]]
'''최종 목표는 석유에너지의 완전한 대체'''
+
'''최종목표는 석유에너지의 완전한 대체'''
 
 
'''2025년 5세대 스마트화 CTC(Cell to Chassis)배터리 기술 출시'''
 
  
CATL은 2020년 1월 27일 "제10회 글로벌 신에너지자동차 콘퍼런스"에서 중장기 전략을 발표했다. CATL 승용차 솔류션 사업부의 샹얜훠(项延火, {{발음|项延火}}) 총책은 "CATL은 2025년 전후로 정식으로 고도로 직접화된 CTC(Cell to Chassis)배터리 기술을 내놓을 것이라고 하며 " 장기적으로 2028년에 업그레이드 된 5세대 스마트화 CTC 배터리 시스템을 내놓을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ref>钟琳, 〈[https://m.gasgoo.com/news/70240194.html 宁德时代中长期战略规划曝光:CTC技术将于2025年推出]〉, 《盖世汽》, 2021-01-28</ref>  CTC 배터리는 배터리 셀을 자동차 섀시에 바로 통합하는 기술로 차량의 무게를 줄이고 공간 효율성을 높여 주행거리를 최소 800Km까지 늘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술은 테슬라가 2020년 배터리데이에서 공개한 CTB(Cell to Body)기술과 유사하다.  
+
CATL은 2020년 1월 27일 "제10회 글로벌 신에너지자동차 콘퍼런스"에서 중장기 전략을 발표했다. CATL 승용차 솔류션 사업부의 샹얜훠(项延火, {{발음|项延火}}) 총책은 "CATL은 2025년 전후로 정식으로 고도로 직접화된 CTC(Cell to Chassis)배터리 기술을 내놓을 것이라고 하며 " 장기적으로 2028년에 업그레이드 된 5세대 스마트화 CTC 배터리 시스템을 내놓을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 CTC 배터리는 배터리 셀을 자동차 섀시에 바로 통합하는 기술로 차량의 무게를 줄이고 공간 효율성을 높여 주행거리를 최소 800Km까지 늘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술은 테슬라가 2020년 배터리데이에서 공개한 CTB(Cell to Body)기술과 유사하다.  
  
 
CATL이 현재 2세대의 플랫폼화된 셀투팩 배터리 시스템을 개발해 2022~2023년 출시할 계획이다. CTP는 모듈 단계없이 배터리 셀을 팩에 바로 통합하는 기술로 CATL은 테슬라 모델3 스탠다드에이 기술을 이용한 LFP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CATL이 현재 2세대의 플랫폼화된 셀투팩 배터리 시스템을 개발해 2022~2023년 출시할 계획이다. CTP는 모듈 단계없이 배터리 셀을 팩에 바로 통합하는 기술로 CATL은 테슬라 모델3 스탠다드에이 기술을 이용한 LFP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09번째 줄: 102번째 줄:
 
CATL은 전기차 배터리 외에 ESS, 전기 선박, 전기 이륜차, 전기차 충전기 등 산업에도 진출해 시장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현재 세계 최대 규모의 순수전기 유람선 '장강삼협(长江三峡)1호"를 건조하고 있다. 이 선박은 CATL의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탑재하는데 배터리용량이 7.5MWh로 순수전기차 100대에 탑재된 배터리 용량과 맞먹는다.  
 
CATL은 전기차 배터리 외에 ESS, 전기 선박, 전기 이륜차, 전기차 충전기 등 산업에도 진출해 시장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현재 세계 최대 규모의 순수전기 유람선 '장강삼협(长江三峡)1호"를 건조하고 있다. 이 선박은 CATL의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탑재하는데 배터리용량이 7.5MWh로 순수전기차 100대에 탑재된 배터리 용량과 맞먹는다.  
  
CATL이 내걸고 있는 최종적인 목표는 석유에너지의 완전한 대체이다. [[쩡위췬]] 회장은 "CATL이 CTP, CPC 등 시스템 구조 혁신으로 효율을 높이고 비용은 낮춘다"며 경쟁력을 계속해서 강화할 것임을 밝힌 바 있다.
+
CATL이 내걸고 있는 최종적인 목표는 석유에너지의 완전한 대체이다. 정위췬 회장은 "CATL이 CTP, CPC 등 시스템 구조 혁신으로 효율을 높이고 비용은 낮춘다"며 경쟁력을 계속해서 강화할 것임을 밝힌 바 있다.
  
 
== 보도자료 ==
 
== 보도자료 ==
119번째 줄: 112번째 줄:
 
*  '''메르세데스 벤츠와 CATL은 이미 2020년 초에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공동 시범 프로젝트를 개시했다.'''
 
*  '''메르세데스 벤츠와 CATL은 이미 2020년 초에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공동 시범 프로젝트를 개시했다.'''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기후에 악영향을 미치는 가스 배출과 배터리 전지 공급망을 따라 이차 소재의 비중에 대한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다음 단계에서는 사용된 배터리의 재활용을 통해 원료 채굴에 대한 의존성을 크게 줄일 계획이다. <ref>〈[https://www.yna.co.kr/view/AKR20200806149900009?input=1195m 메르세데스 벤츠와 CATL, 미래 배터리 기술 주도 위해 협업]〉, 《연합뉴스》, 2020-08-16</ref>
 
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기후에 악영향을 미치는 가스 배출과 배터리 전지 공급망을 따라 이차 소재의 비중에 대한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다음 단계에서는 사용된 배터리의 재활용을 통해 원료 채굴에 대한 의존성을 크게 줄일 계획이다. <ref>〈[https://www.yna.co.kr/view/AKR20200806149900009?input=1195m 메르세데스 벤츠와 CATL, 미래 배터리 기술 주도 위해 협업]〉, 《연합뉴스》, 2020-08-16</ref>
 
== 동영상 ==
 
<youtube>0yASPtRET5g</youtube>
 
<youtube>8jz3gfJ1uPE</youtube>
 
  
 
{{각주}}
 
{{각주}}
128번째 줄: 117번째 줄: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 CATL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catlbattery.com/
 
* CATL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catlbattery.com/
* [https://zh.wikipedia.org/wiki/%E5%AE%81%E5%BE%B7%E6%97%B6%E4%BB%A3%E6%96%B0%E8%83%BD%E6%BA%90%E7%A7%91%E6%8A%80%E8%82%A1%E4%BB%BD%E6%9C%89%E9%99%90%E5%85%AC%E5%8F%B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维基百科》
 
 
* pokara61, 〈[https://blog.naver.com/pokara61/222059739152 CATL -- 2차전지 밸류체인에 3.2조 투자]〉, 《네이버 블로그》, 2020-08-13
 
* pokara61, 〈[https://blog.naver.com/pokara61/222059739152 CATL -- 2차전지 밸류체인에 3.2조 투자]〉, 《네이버 블로그》, 2020-08-13
 
* 유효정 기자, 〈[https://zdnet.co.kr/view/?no=20200814081129 中 CATL "배터리+섀시로 10년 내 주행거리 800km 전기차 나올 것"]〉, 《지디넷코리아》, 2020-08-14
 
* 유효정 기자, 〈[https://zdnet.co.kr/view/?no=20200814081129 中 CATL "배터리+섀시로 10년 내 주행거리 800km 전기차 나올 것"]〉, 《지디넷코리아》, 2020-08-14
134번째 줄: 122번째 줄:
 
* 남지원 기자,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2008172140015&code=920501 LG화학 전기차 배터리,중국 CATL과 치열한 1위 경쟁…테슬라 ‘자체 개발’ 땐 판도 흔들릴 듯]〉, 《경향비즈》, 2020-08-17
 
* 남지원 기자,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2008172140015&code=920501 LG화학 전기차 배터리,중국 CATL과 치열한 1위 경쟁…테슬라 ‘자체 개발’ 땐 판도 흔들릴 듯]〉, 《경향비즈》, 2020-08-17
 
* 최만수 기자,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0081759241 테슬라 '배터리 데이' 주인공은 中 CATL?…긴장한 K배터리]〉, 《한경닷컴》, 2020-08-18
 
* 최만수 기자,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0081759241 테슬라 '배터리 데이' 주인공은 中 CATL?…긴장한 K배터리]〉, 《한경닷컴》, 2020-08-18
* 안재형 기자,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2/184764/ [Business Inside] 소송에 화재까지, 국내 배터리업계 난항에 미소 짓는 CATL]〉, 《매일경제》, 2021-02-25
 
* 류정 윤형준 기자, 〈[https://www.chosun.com/economy/auto/2021/02/22/MLSFF7BXS5AWBA5ZUMOOKBBO4I/ 현대차 물량 휩쓴 中 배터리업체, 머스크도 놀란 기술 갖고 있었다]〉, 《조선일보》, 20121-02-21
 
* 김위수 기자,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1021902109919033001&ref=naver 中 밖으로 눈 돌리는 CATL의 매서운 추격]〉, 《디지털타임스》, 2021-02-19
 
* 屈红燕, 〈[https://news.stcn.com/sd/202011/t20201109_2513588.html 6000亿巨头暴涨,背后有何逻辑?跳出财务报表,才能看到成长背后的推动力!来看宁德时代的走牛"根基" ]〉, 《证券时报网》, 2020-11-09
 
* 电动汽车观察家, 〈[https://www.sohu.com/a/445213530_100044558 曾毓群:宁德时代正开发1000km续航、10分钟快速充电]〉, 《搜狐网》, 2021-01-18
 
* 钟琳, 〈[https://m.gasgoo.com/news/70240194.html 宁德时代中长期战略规划曝光:CTC技术将于2025年推出]〉, 《盖世汽》, 2021-01-28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쩡위췬]]
 
 
* [[배터리]]
 
* [[배터리]]
 
* [[현대자동차]]
 
* [[현대자동차]]
148번째 줄: 129번째 줄:
 
* [[BMW]]
 
* [[BMW]]
 
* [[베이징자동차]]
 
* [[베이징자동차]]
* [[지리자동차]]
+
* [[지리]]
 
* [[광저우자동차]]
 
* [[광저우자동차]]
  
{{배터리 회사|검토 필요}}
+
{{자동차 부품 회사|추가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