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N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84번째 줄: 84번째 줄:
  
 
===국내 시장===
 
===국내 시장===
2000년 국내에 처음으로 선보인 CDN 서비스는 이후 대용량 콘텐츠 증가와 이에 따르는 관련 서비스들의 품질 경쟁 등으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KIPA)의 2007년 업종 분류에 따르면 CDN은 디지털콘텐츠 솔루션에 속한다. 대한민국의 디지털콘텐츠 산업은 매출액 기준으로 2006년에는 전년대비 약 12.0%의 성장을 보였는데, 솔루션 부문은 14.0% 성장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솔루션 부문은 다시 저작 툴, 콘텐츠 보호, 과금 결제, 모바일 솔루션,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CDN, 기타로 구분되는데, 이 중 CDN은 전년 대비 52.6%의 성장을 보여 솔루션 부문의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00년 국내에 처음으로 선보인 CDN 서비스는 이후 대용량 콘텐츠 증가와 이에 따르는 관련 서비스들의 품질 경쟁 등으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KIPA)의 2007년 업종 분류에 따르면 CDN은 디지털콘텐츠 솔루션에 속한다. 우리나라의 디지털콘텐츠 산업은 매출액 기준으로 2006년에는 전년대비 약 12.0%의 성장을 보였는데, 솔루션 부문은 14.0% 성장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솔루션 부문은 다시 저작 툴, 콘텐츠 보호, 과금 결제, 모바일 솔루션,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CDN, 기타로 구분되는데, 이 중 CDN은 전년 대비 52.6%의 성장을 보여 솔루션 부문의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class=wikitable width=600
 
:{|class=wikitable width=600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