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N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3번째 줄: 23번째 줄:
  
 
===글로벌 로드밸런싱===
 
===글로벌 로드밸런싱===
글로벌 로드밸런싱(Global Load Balancing)은 인터넷 네트워크 여러 곳에 분산 배치되어 있는 여러 서버 중에서 엔드유저(End User)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를 선정해 서비스를 연결하는 기술이다. 최상의 위치에 있는 서버에 장애가 일어났을 경우에도 차상위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서버로 우회 연결하여 [[장애 (정보통신)|장애]]를 해소할 수 있게 한다. 자체 장애에 대비해 서로 다른 네트워크상에 이중으로 배치하게 된다. 이용자의 콘텐츠 요청이 발생하면, DNS의 IP 대역을 확인하여 각 노드 간 글로벌 로드밸런싱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구해진 최단 경로 서버가 이 요청을 수행함에 따라, 응답 시간이 단축되고 서버 간 분산처리를 통해 서버 부하가 경감되어 결과적으로 장애를 줄이고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ref>〈[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7031902012231727002 [알아봅시다] CDN(콘텐츠전송네트워크)]〉, 《디지털타임스》, 2007-03-19</ref>
+
글로벌 로드밸런싱(Global Load Balancing)은 인터넷 네트워크 여러 곳에 분산 배치되어 있는 여러 서버 중에서 엔드유저(End User)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를 선정해 서비스를 연결하는 기술이다. 최상의 위치에 있는 서버에 장애가 일어났을 경우에도 차상위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서버로 우회 연결하여 [[장애]]를 해소할 수 있게 한다. 자체 장애에 대비해 서로 다른 네트워크상에 이중으로 배치하게 된다. 이용자의 콘텐츠 요청이 발생하면, DNS의 IP 대역을 확인하여 각 노드 간 글로벌 로드밸런싱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구해진 최단 경로 서버가 이 요청을 수행함에 따라, 응답 시간이 단축되고 서버 간 분산처리를 통해 서버 부하가 경감되어 결과적으로 장애를 줄이고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ref>〈[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7031902012231727002 [알아봅시다] CDN(콘텐츠전송네트워크)]〉, 《디지털타임스》, 2007-03-19</ref>
  
 
===동기화===
 
===동기화===

위키원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위키원: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