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C-721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ERC-721'''은 증서라고 알려진 '''[[NFT]]'''의 표준안이다. NFT는 '''[[대체불가토큰]]'''(Non Fungible Token)의 약자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ERC-721로 발행되는 토큰은 대체 불가능하여 모두 제 각각의 가치(Value)를 갖고 있다.
 
'''ERC-721'''은 증서라고 알려진 '''[[NFT]]'''의 표준안이다. NFT는 '''[[대체불가토큰]]'''(Non Fungible Token)의 약자로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ERC-721로 발행되는 토큰은 대체 불가능하여 모두 제 각각의 가치(Value)를 갖고 있다.
  
ERC-721은 토큰 그 자체보다는 게임에 주로 쓰이는데, 대표적인 예로는 [[크립토키티]](CryptoKitties)가 있다. 크립토키티의 고양이들은 제 각각 다른 생김새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고양이는 전 세계에서 단 하나밖에 없는 유일한 고양이가 된다.
+
ERC-721은 토큰 그 자체보다는 게임에 주로 쓰이는데, 대표적인 예로는 [[크립토키티]](CryptoKitteies)가 있다. 크립토키티의 고양이들은 제 각각 다른 생김새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고양이는 전 세계에서 단 하나밖에 없는 유일한 고양이가 된다.
  
 
크립토키티는 수집형 토큰이라는 ERC-721의 특징을 활용했다. ERC-721은 토큰이 [[디앱]] 내에서 공유될 수 있고 미래 NFT 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집물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들은 이 세상에서 하나밖에 없는 유일한 고양이를 수집하는 것에서 재미를 얻는다. NFT는 무제한으로 공급이 가능한데, 가치의 손상을 막기 위해 대부분의 디앱 프로젝트가 NFT의 전체 공급량을 제한하고 있다.
 
크립토키티는 수집형 토큰이라는 ERC-721의 특징을 활용했다. ERC-721은 토큰이 [[디앱]] 내에서 공유될 수 있고 미래 NFT 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집물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들은 이 세상에서 하나밖에 없는 유일한 고양이를 수집하는 것에서 재미를 얻는다. NFT는 무제한으로 공급이 가능한데, 가치의 손상을 막기 위해 대부분의 디앱 프로젝트가 NFT의 전체 공급량을 제한하고 있다.
  
 
== 개요 ==
 
== 개요 ==
ERC-721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대체 할 수 없거나 고유한 토큰을 작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무료 공개 표준이다. 대부분의 토큰은 대체 할 수 있지만, ERC-721 토큰은 모두 대체할 수 없다.  2018년 6월 21일, ERC-721은 최종적으로 받아들여졌는데, 이는 이 일에 관심을 두는 사람들 사이에 상당한 지지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가장 성공적인 애플리케이션은 고양이를 교화하는 게임이다. 고양이는 기본적으로 ERC-721 토큰으로 기록되었다. ERC-721 토큰은 제안된 ERC-165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야 한다. 이 표준은 계약에 의해 구현된 인터페이스의 탐지를 허용한다. 이는 토큰이 구현하는 [[인터페이스]]를 감지하여 메소드/코드를 상호 작용하도록 조정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하다.
+
ERC-721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대체 할 수 없거나 고유한 토큰을 작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무료 공개 표준이다. 대부분의 토큰은 대체 할 수 있지만, ERC-721 토큰은 모두 대체할 수 없다.  2018년 6월 21일, ERC-721은 최종적으로 받아들여졌는데, 이는 이 일에 관심을 두는 사람들 사이에 상상한 지지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가장 성공적인 애플리케이션은 고양이를 교화하는 게임이다. 고양이는 기본적으로 ERC-721 토큰으로 기록되었다. ERC-721 토큰은 제안된 ERC-165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야 한다. 이 표준은 계약에 의해 구현된 인터페이스의 탐지를 허용한다. 이는 토큰이 구현하는 [[인터페이스]]를 감지하여 메서드/코드를 상호 작용하도록 조정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하다.
  
 
== ERC-20 토큰과 ERC-721 차이점 ==
 
== ERC-20 토큰과 ERC-721 차이점 ==
*[[ERC-20]] 토큰 : 2017년 당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던 토큰이다. ERC-20 토큰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거래소에서 거래하고 있는 대부분의 토큰 발행 기준이 되고 있는데, 그것은 ERC-20 토큰이 대체 가능한 암호화폐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체 가능'의 의미는 '화폐'를 떠올리면 쉽다. 예를 들어 지금 가지고 있는 1,000원 지폐와 다른 누군가가 가지고 있는 1,000원 지폐는 모두 동일한 가치를 지닌다. 이를 다른 사람에게 주어도 마찬가지다. ERC-20 토큰으로 발행되는 토큰은 모두 이와 같은 '대체 가능'의 특징을 지닌다.  
+
*[[ERC-20]] 토큰 : 2017년 당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던 토큰이다. ERC-20 토큰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거래소에서 거래하고 있는 대부분의 토큰 발행 기준이 되고 있는데, 그것은 ERC-20 토큰이 대체 가능한 암호화폐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체 가능'의 의미는 '화폐'를 떠올리면 쉽다. 예를 들어 지금 가지고 있는 1,000원 지폐와 다른 누군가가 가지고 있는 1,000원 지폐는 모두 동일한 가치를 지닌다. 이를 다른 사람에게 주어도 마찬가지다. ERC-20 토큰으로 발행되는 토큰은 모두 이와 같은 '대체 가능'의 특징을 지닌다.  
*ERC-721 토큰 : ERC-721 토큰은 ERC-20 토큰과는 반대로 '대체 불가능'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쉽게 말해 ERC-721로 발행되는 토큰은 모두 각각의 가치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크립토키티를 예로 들어보면 [[크립토키티]]는 신기하게도 전세계에 동일한 고양이가 나오지 않는다. 모두 다 다른 고양이가 만들어지게 되어 있는데, 더 예쁜 고양이는 시장에서 높은 가치를 받고 팔리고 별로인 고양이는 팔리지 않을 수도 있을 만큼 가치가 없기도 하다. 이는 어떤 토큰이든 동일한 가치를 지니는 오미세고와 같은 ERC-20 토큰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이게 된다.
+
*ERC-721 토큰 : ERC-721 토큰은 ERC-20 토큰과는 난대로 '대체 불가능'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쉽게 말해 ERC-721로 발행되는 토큰은 모두 각각의 가치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크립토키티를 예로 들어보면 [[크립토키티]]는 신기하게도 전세계에 동일한 고양이가 나오지 않는다. 모두 다 다른 고양이가 만들어지게 되어 있는데, 더 예쁜 고양이는 시장에서 높은 가치를 받고 팔리고 별로인 고양이는 팔리지 않을 수도 있을 만큼 가치가 없기도 하다. 이는 어떤 토큰이든 동일한 가치를 지니는 오미세고와 같은 ERC-20 토큰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이게 된다.
  
 
== ERC-721 활용 게임 ==
 
== ERC-721 활용 게임 ==
 
===크립토키티===
 
===크립토키티===
대표적인 ERC-721 활용 [[디앱]]인 [[크립토키티]]는 고양이를 교배해 희귀한 고양이를 수집하고 거래하는 육성 게임이다. 이 고양이들은 모두 ERC-721 토큰으로 이루어져 있다. NFT의 대체 불가능하다는 특성처럼, 모든 고양이(ERC-721 토큰)들은 각기 다른 모습이며 누구도 동일한 고양이(동일한 토큰)를 가질 수 없다. 내가 가진 고양이는 모두 세상에 하나뿐인 고양이인 것이다. 태어나는 고양이들은 희귀도에 따라 가격이 매겨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더욱 '유니크'한 고양이를 얻기 위해 교배를 하거나 새로운 고양이를 입양한다.<ref> BORA,[https://medium.com/boraecosystem/bora%EC%9D%98-nft-non-fungible-token-%EC%9D%B4%EC%95%BC%EA%B8%B0-part-1-cfb6bd3ce019 BoRA의 NFT(non Fungible Token) 이야기 PART1]〉, 《미디엄》, 2019-04-26</ref>
+
대표적인 ERC-721 활용 [[DAPP]]인 [[크립토키티]]는 고양이를 교배해 희귀한 고양이를 수집하고 거래하는 육성 게임입니다. 이 고양이들은 모두 ERC-721 토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NFT의 대체 불가능하다는 특성처럼, 모든 고양이(ERC-721 토큰)들은 각기 다른 모습이며 누구도 동일한 고양이(동일한 토큰)를 가질 수 없습니다. 내가 가진 고양이는 모두 세상에 하나뿐인 고양이인 것이다. 태어나는 고양이들은 희귀도에 따라 가격이 매겨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더욱 '유니크'한 고양이를 얻기 위해 교배를 하거나 새로운 고양이를 입양한다.<ref> BORA,[https://medium.com/boraecosystem/bora%EC%9D%98-nft-non-fungible-token-%EC%9D%B4%EC%95%BC%EA%B8%B0-part-1-cfb6bd3ce019 BoRA의 NFT(non Fungible Token) 이야기 PART1]〉, 《미디엄》, 2019-04-26</ref>
  
 
===고크립토봇===
 
===고크립토봇===
36번째 줄: 36번째 줄:
  
 
===[[Status]]===
 
===[[Status]]===
스테이터스(Status)는 조금 더 개방된 모바일 인터넷으로 전환하는 모든 작업을 간편하게 한다. 누구든지,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만으로 간편히 이더리움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스테이터스는 이더리움 디앱 커뮤니티를 육성하고 서로 연결하며, 이더리움 생태계가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한다.
+
스테이터스(Status)는 조금 더 개방된 모바일 인터넷으로 전환하는 모든 작업을 간편하게 한다. 누구든지,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만으로 간편히 이더리움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스테이터스는 이더리움 DApp 커뮤니티를 육성하고 서로 연결하며, 이더리움 생태계가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한다.
  
 
===[[Tosh]]i===
 
===[[Tosh]]i===
현재는 [[코인베이스 월렛]]으로 이름을 바꿨다. 코인베이스 월렛은 사용자가 관리하는 디지털 통화 지갑 및 [[디앱]] [[브라우저]]이다. 즉, 월렛에서 개인 키는 [[Coinbase Consumer]]과 같은 중앙 교환기가 아니라 기기에 직접 저장된다. 월렛을 사용할때 [[Coinbase]] 소비자 계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전 세계 어디에서든 월렛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
현재는 [[코인베이스 월렛]]으로 이름을 바꿨다. 코인베이스 월렛은 사용자가 관리하는 디지털 통화 지갑 및 [[DApp]] [[브라우저]]이다. 즉, 월렛에서 개인 키는 [[Coinbase Consumer]]과 같은 중앙 교환기가 아니라 기기에 직접 저장된다. 월렛을 사용할때 [[Coinbase]] 소비자 계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전 세계 어디에서든 월렛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IDEO CoLab]]===
 
===[[IDEO CoLab]]===
48번째 줄: 48번째 줄:
  
 
===[[Trust Wallet]]===
 
===[[Trust Wallet]]===
Trust Wallet은 탈중앙화된 [[인터넷]]의 디앱들을 원활하고 안전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웹 브라우저]]를 내장하고 있다. 이곳은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들이 엄격한 퀄리티와 보안 기준을 만족하며, 최고의 수준으로 작동하도록 최적화된 장소이다.
+
Trust Wallet은 탈중앙화된 [[인터넷]]의 DApp들을 원활하고 안전하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웹 브라우저]]를 내장하고 있다. 이곳은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들이 엄격한 퀄리티와 보안 기준을 만족하며, 최고의 수준으로 작동하도록 최적화된 장소이다.
  
 
===[[Decentraland]]===
 
===[[Decentraland]]===
Decentraland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의해 구동되는 가상 현실 플랫폼이다.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통해 3D 세계의 토지를 살 수도 있다.
+
Decentraland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의해 구동되는 가상 현실 플랫폼이다. 이더리움 블록 체인을 통해 3D 세계의 토지를 살 수도 있다.
  
 
===[[Su Squares]]===
 
===[[Su Squares]]===
57번째 줄: 57번째 줄:
  
 
===[[Cipher Browser]]===
 
===[[Cipher Browser]]===
Cipher Browser는 세계 최초의 [[이더리움]] [[블록체인]] 용 모바일 [[디앱]] 브라우저 및 지갑이다. Cipher를 사용하면 모바일 장치에서 이더리움으로 구동되는 디앱과 상호 작용할 수 있으며 [[Ether]] 및 [[ERC20]] 토큰을 안전하게 저장, 전송 및 수신 할 수 있다.
+
Cipher Browser는 세계 최초의 [[이더리움]] [[블록체인]] 용 모바일 [[DApp]] 브라우저 및 지갑이다. Cipher를 사용하면 모바일 장치에서 이더리움으로 구동되는 Dapp과 상호 작용할 수 있으며 [[Ether]] 및 [[ERC20]] 토큰을 안전하게 저장, 전송 및 수신 할 수 있다.
  
 
===[[KnowsOrigin Marketplace]]===
 
===[[KnowsOrigin Marketplace]]===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예술가, 일러스트레이터 및 창조적인 실천가의 작품을 전시하고 판매하는 에테르 기반의 예술 플랫폼이다.
+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예술가, 일러스트 레이터 및 창조적인 실천가의 작품을 전시하고 판매하는 에테르 기반의 예술 플랫폼이다.
  
 
===[[Auctionity]]===
 
===[[Auctionity]]===
67번째 줄: 67번째 줄:
 
===[[NonFungible]]===
 
===[[NonFungible]]===
 
[[블록체인]] 게이밍 및 크리스탈 픽스 수집 시장의 가장 큰 [[데이터베이스]]다. 과거의 시장 판매 데이터를 추적하여 개별 암호화 자산의 평가를 구축한다.
 
[[블록체인]] 게이밍 및 크리스탈 픽스 수집 시장의 가장 큰 [[데이터베이스]]다. 과거의 시장 판매 데이터를 추적하여 개별 암호화 자산의 평가를 구축한다.
 
===[[NOW Wallet]]===
 
NOW Wallet은 안전한 비 보관 암호화폐 지갑입니다. 사용자는 50,000개 이상의 거래 쌍 중에서 선택하여 암호화폐를 저장하고, 교환하고, 법정화폐로 구매할 수 있습니다. TRX, BNB 및 NOW(BEP2) 토큰의 스테이킹도 가능합니다.
 
토큰의 경우 NOW Wallet은 Ethereum, Binance Smart Chain, Polygon, Avax C-chain, Tron, Klaytn 및 Solana의 모든 토큰 저장을 지원합니다. 지갑은 또한 NFT를 보내고, 받고, 저장할 수 있습니다
 
  
 
===[[0xcert 프로토콜]]===
 
===[[0xcert 프로토콜]]===
76번째 줄: 72번째 줄:
  
 
===[[Smartz]]===
 
===[[Smartz]]===
Smartz란 다중 체인 스마트 계약 관리 시스템으로 Smartz의 핵심 아이디어는 [[디앱]]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 올리고 개발자, 최종 사용자 및 비즈니스에 블록체인을 기반으로하는 분산화를 통해 타사에 대한 신뢰 없이 편리하고 강력하며 비용 효율적인 디앱에 대한 방법을 제공한다.
+
Smartz란 다중 체인 스마트 계약 관리 시스템으로 Smartz의 핵심 아이디어는 분산 형 애플리케이션(DApps)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 올리고 개발자, 최종 사용자 및 비즈니스에 블록체인을 기반으로하는 분산화를 통해 타사에 대한 신뢰 없이 편리하고 강력하며 비용 효율적인 DApp에 대한 방법을 제공한다.
  
 
===[[Emoon]]===
 
===[[Emoon]]===
109번째 줄: 105번째 줄:
 
* KnownOrigin.io 공식 홈페이지 - https://knownorigin.io/
 
* KnownOrigin.io 공식 홈페이지 - https://knownorigin.io/
 
* NonFungible 공식 홈페이지 - https://nonfungible.com/
 
* NonFungible 공식 홈페이지 - https://nonfungible.com/
* NOW Wallet 공식 홈페이지 - https://walletnow.app/
 
 
* Smartz 공식 홈페이지 - https://about.smartz.io/
 
* Smartz 공식 홈페이지 - https://about.smartz.io/
 
* Emoon 공식 홈페이지 - https://ko.emoon.io/
 
* Emoon 공식 홈페이지 - https://ko.emoon.io/
122번째 줄: 117번째 줄:
 
* [[ERC-1155]]
 
* [[ERC-1155]]
  
{{블록체인 기술|검토 필요}}
+
{{블록체인 기술|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