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3번째 줄: 43번째 줄:
 
1970년대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프르트헤이트 정권]]에 대한 전 세계적 혐오는 윤리적 노선에 따라 선택적 투자를 중단한 가장 유명한 사례 중 하나가 되었다. 미국 [[제너럴 모터스]]의 이사인 [[레온 설리번 목사]]는 정권에 대한 제재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1971년 남아프리카와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행동 강령을 만들었다. 설리번 원칙(Sullivan Principles)으로 알려진 것은 많은 관심을 끌었고, 정부는 설리번 강령을 위반하는 남아프리카 기업에 얼마나 많은 미국 기업이 투자하고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여러 보고서를 의뢰했다. 보고서의 결론은 많은 남아공 기업들로부터 미국에 의한 대규모 투자 중단으로 이어졌다. 재계가 남아프리카 정권에 가한 결과적인 압박은 [[아파르트헤이트 제도]]가 폐지되어야 한다는 추진력을 증기시키는 데 큰 무게를 더했다.
 
1970년대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프르트헤이트 정권]]에 대한 전 세계적 혐오는 윤리적 노선에 따라 선택적 투자를 중단한 가장 유명한 사례 중 하나가 되었다. 미국 [[제너럴 모터스]]의 이사인 [[레온 설리번 목사]]는 정권에 대한 제재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1971년 남아프리카와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행동 강령을 만들었다. 설리번 원칙(Sullivan Principles)으로 알려진 것은 많은 관심을 끌었고, 정부는 설리번 강령을 위반하는 남아프리카 기업에 얼마나 많은 미국 기업이 투자하고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여러 보고서를 의뢰했다. 보고서의 결론은 많은 남아공 기업들로부터 미국에 의한 대규모 투자 중단으로 이어졌다. 재계가 남아프리카 정권에 가한 결과적인 압박은 [[아파르트헤이트 제도]]가 폐지되어야 한다는 추진력을 증기시키는 데 큰 무게를 더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널리 퍼진 자선활동에 대한 지배적인 분위기에, [[밀턴 프리드먼]]은 사회적 책임이 기업의 재무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큰 정부"의 규제와 간섭이 항상 거시 경제를 손상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회사나 자산의 평가가 전적으로 순이익에 따라 예측되어야 한다는 그의 주장(사회적 책임에 의해 발생하는 비용이 필수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됨)은 20세기 대부분 널리 퍼져있는 신념을 뒷받침했다. 그러나 세기 말에 이르러서는 반대의 이론이 나오기 시작했다. 1988년 비즈니스 컨설팅 회사인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의 공동 창립자인 [[존 엘킹턴]](John Elkington)은 Cannibals with Forks: The Triple Bottom Line of 21st Century Business*를 출판했는데, 이 책에서 기업 또는 주식 가치를 결정하는 요소에 새롭게 포함되어야 하는 비재무적 고려 사항의 클러스터를 만들었다. 그는 새로운 계산에 포함된 재정적, 환경적, 사회적 요인을 언급하며 "3중 이익"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널리 퍼진 자선활동에 대한 지배적인 분위기에, [[밀턴 프리드먼]]은 사회적 책임이 기업의 재무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큰 정부"의 규제와 간섭이 항상 거시 경제를 손상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회사나 자산의 평가가 전적으로 순이익에 따라 예측되어야 한다는 그의 주장(사회적 책임에 의해 발생하는 비용이 필수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됨)은 20세기 대부분 널리 퍼져있는 신념을 뒷받침했다. 그러나 세기 말에 이르러서는 반대의 이론이 나오기 시작했다. 1988년 비즈니스 컨설팅 회사인 [[SustainAbility]]의 공동 창립자인 [[존 엘킹턴]](John Elkington)은 Cannibals with Forks: The Triple Bottom Line of 21st Century Business*를 출판했는데, 이 책에서 기업 또는 주식 가치를 결정하는 요소에 새롭게 포함되어야 하는 비재무적 고려 사항의 클러스터를 만들었다. 그는 새로운 계산에 포함된 재정적, 환경적, 사회적 요인을 언급하며 "3중 이익"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1997년에는 기업이나 기관이 발간하는 지속가능 보고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한 비영리단체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가 [[미국]] [[보스턴]]에 설립되었다. GRI는 2000년에 첫 번째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데 이어 수 차례의 개정을 거쳐 2016년에는 GRI 표준(GRI Standards)을 정립했다. GRI표준은 경제, 환경, 사회 부문으로 나누어 기업이나 기관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설정하고 있다. 현재 GRI표준은 전 세계 기업과 기관이 지속가능 보고서나 ESG 보고서를 발간하는 데 기본적인 프레임 워크 중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1997년에는 기업이나 기관이 발간하는 지속가능 보고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한 비영리단체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가 [[미국]] [[보스턴]]에 설립되었다. GRI는 2000년에 첫 번째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데 이어 수 차례의 개정을 거쳐 2016년에는 GRI 표준(GRI Standards)을 정립했다. GRI표준은 경제, 환경, 사회 부문으로 나누어 기업이나 기관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설정하고 있다. 현재 GRI표준은 전 세계 기업과 기관이 지속가능 보고서나 ESG 보고서를 발간하는 데 기본적인 프레임 워크 중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55번째 줄: 55번째 줄:
 
프리드먼의 ESG 유형 요소를 재무 관행에 통합하면 재무 성과가 저하된다는 주장을 학술적으로 뒷받침하는 여러 보고서가 21세기 초에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이 보고서는 반대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를 생산하기도 했다. 2006년 [[옥스포드 대학]]의 [[마이클 바넷]](Michael Barnett)와 뉴욕 대학의 [[로버트 살로몬]](Robert Salomon)은 이 논쟁의 양측이 심지어 상호 보완적일 수 있다는 결론에 대한 영향력 있는 연구를 발표했다. 즉, 사회적 책임과 재정적 성과 사이의 곡선적 관계를 제시했다. 선별적 투자 관행과 비선택적 투자 방식 모두 투자 포트폴리오의 재무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성과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유일한 경로는 선별적 투자의 중간 방법이었다. ESG문제에 관심을 보이는 대형 투자 회사 및 은행 외에도, 금융계 전반에 걸쳐 책임 있는 투자와 ESG 기반 포트폴리오를 다루는 일련의 투자 회사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투자 업계의 많은 사람들은 ESG 요소의 개발이 투자 분석의 고려 사항으로 불가피하다고 생각한다. ESG 문제와 재무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증거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으며, 수탁 업무와 장기적인 투자 지속 가능성에 대한 필요성을 폭넓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및 기업 지배 구조에 대한 우려는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투자 시장에서 점점 중요한 역할을 한다. ESG는 실용성보다는 자선 활동의 문제가 되었다.
 
프리드먼의 ESG 유형 요소를 재무 관행에 통합하면 재무 성과가 저하된다는 주장을 학술적으로 뒷받침하는 여러 보고서가 21세기 초에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이 보고서는 반대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를 생산하기도 했다. 2006년 [[옥스포드 대학]]의 [[마이클 바넷]](Michael Barnett)와 뉴욕 대학의 [[로버트 살로몬]](Robert Salomon)은 이 논쟁의 양측이 심지어 상호 보완적일 수 있다는 결론에 대한 영향력 있는 연구를 발표했다. 즉, 사회적 책임과 재정적 성과 사이의 곡선적 관계를 제시했다. 선별적 투자 관행과 비선택적 투자 방식 모두 투자 포트폴리오의 재무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성과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유일한 경로는 선별적 투자의 중간 방법이었다. ESG문제에 관심을 보이는 대형 투자 회사 및 은행 외에도, 금융계 전반에 걸쳐 책임 있는 투자와 ESG 기반 포트폴리오를 다루는 일련의 투자 회사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투자 업계의 많은 사람들은 ESG 요소의 개발이 투자 분석의 고려 사항으로 불가피하다고 생각한다. ESG 문제와 재무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증거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으며, 수탁 업무와 장기적인 투자 지속 가능성에 대한 필요성을 폭넓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및 기업 지배 구조에 대한 우려는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투자 시장에서 점점 중요한 역할을 한다. ESG는 실용성보다는 자선 활동의 문제가 되었다.
  
투자의 지속 가능성 및 윤리적 영향과 관련된 무형 요소의 포함을 무엇이라고 부를지에 대한 불확실성과 논쟁이 있었다. "친환경"과 "ECO"와 같은 유행어를 초기에 사용한 것부터 투자 분석 유형("책임 투자", "사회 책임 투자"(SRI), "윤리적인", "외부 금융", "긴 수평적 투자"(LHI), "기업 건강", "전통적이지 않은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설명이 가능하다. 그러나 ESG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악사 인베스트먼트 매니저스]](AXA Investment Managers)와 [[AQ 리서치]](AQ Research)가 2008년에 실시한 350명의 글로벌 투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대다수의 전문가가 이러한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 ESG라는 용어를 선호한다고 결론지었다.
+
투자의 지속 가능성 및 윤리적 영향과 관련된 무형 요소의 포함을 무엇이라고 부를지에 대한 불확실성과 논쟁이 있었다. "친환경"과 "ECO"와 같은 유행어를 초기에 사용한 것부터 투자 분석 유형("책임 투자", "사회 책임 투자"(SRI), "윤리적인", "외부 금융", "긴 수평적 투자"(LHI), "기업 건강", "전통적이지 않은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설명이 가능하다. 그러나 ESG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악사 인베스트먼트 매니저스]](AXA Investment Managers)와 [[AQ Research]]가 2008년에 실시한 350명의 글로벌 투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대다수의 전문가가 이러한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 ESG라는 용어를 선호한다고 결론지었다.
  
 
2006년에는 [[UN]]의 주도하에 지속가능성 투자 원칙을 준수하는 국제 투자 기관 연합체인 UN PRI(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책임투자원칙)가 결성되었다. UN PRI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와 관련된 이슈를 투자 정책 수립 및 의사결정, 자산 운용 등에 고려한다는 원칙을 발표했다. UN PRI에는 국내 [[국민연금]]을 포함해 2020년 3월 말 기준 전 세계 3,038개의 투자사 및 투자 기관이 가입되어 있다. UN PRI는 금융 투자 원칙으로 ESG를 강조했다는 점에서 현재 기업 경영에서 강조되는 ESG 프레임워크의 초석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006년에는 [[UN]]의 주도하에 지속가능성 투자 원칙을 준수하는 국제 투자 기관 연합체인 UN PRI(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책임투자원칙)가 결성되었다. UN PRI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와 관련된 이슈를 투자 정책 수립 및 의사결정, 자산 운용 등에 고려한다는 원칙을 발표했다. UN PRI에는 국내 [[국민연금]]을 포함해 2020년 3월 말 기준 전 세계 3,038개의 투자사 및 투자 기관이 가입되어 있다. UN PRI는 금융 투자 원칙으로 ESG를 강조했다는 점에서 현재 기업 경영에서 강조되는 ESG 프레임워크의 초석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