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5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HTML5 로고.png|썸네일|200픽셀|'''HTML5''']]
+
'''HTML5'''(에이치티엠엘 파이브)는 Hypertext Markup Language version 5의 약자로서, 기존의 [[HTML]]이 [[텍스트]] 및 [[하이퍼링크]] 위주로 표시하던 것과 달리 HTML5는 [[액티브 엑스]](Active-X)를 사용하지 않고, 오디오, 비디오, 그래픽, 기타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웹 자체에서 구현할 수 있는 코딩 언어이다. 2014년 [[W3C]]에서 표준안을 확정했다.
[[파일:HTML5 글자.png|썸네일|300픽셀|'''HTML5''']]
 
[[파일:HTML 글자.png|썸네일|300픽셀|'''[[HTML]]''']]
 
[[파일:W3C 글자.png|썸네일|300픽셀|'''[[W3C]]'''(World Wide Web Consortium)]]
 
[[파일:팀 버너스-리.jpg|썸네일|200픽셀|'''[[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
 
 
 
'''HTML5'''(에이치티엠엘 파이브)는 Hypertext Markup Language version 5의 약자로서, 기존의 [[HTML]]이 [[텍스트]] 및 [[하이퍼링크]] 위주로 표시하던 것과 달리 HTML5는 [[액티브엑스]](Active-X)를 사용하지 않고, 오디오, 비디오, 그래픽, 기타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웹 자체에서 구현할 수 있는 코딩 언어이다. 2014년 '''[[W3C]]'''에서 표준안을 확정했다.
 
  
 
== 개요  ==
 
== 개요  ==
HTML 5는 웹 페이지를 위한 하나의 중요한 '언어'이고,
+
HTML 5는 'HyperText Markup Language 5'의 약자로, 웹 페이지를 위한 하나의 중요한 '언어'이다.
웹 표준 기관인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3C]])이 만들고 있는 차세대 웹 언어 규격이다. HTML이라는 언어를 이용해서 지금의 웹 페이지의 글, 아이콘, 표, 클릭 박스 등 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위와 같이 HTML 5도 웹 문서를 제작하는 데 쓰이는 기본 프로그래밍 언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최신규격으로, HTML의 종류 중 하나이다. 별도 설치 없이 웹브라우저상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앱 등을 바로 제공할 수 있다.
+
웹 표준 기관인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3C]])이 만들고 있는 차세대 웹 언어 규격이다. HTML이라는 언어를 이용해서 지금의 웹 페이지의 글, 아이콘, 표, 클릭 박스 등 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
위와 같이 HTML 5도 웹 문서를 제작하는 데 쓰이는 기본 프로그래밍 언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최신규격으로, HTML의 종류 중 하나이다. 별도 설치 없이 웹브라우저상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앱 등을 바로 제공할 수 있다.
  
 
== 등장배경  ==
 
== 등장배경  ==
16번째 줄: 11번째 줄:
 
1990년대 공급자 기반의 홈페이지를 작성할 때 웹페이지를 구조적으로 표현함에 있어서 사용하기 편리하고 당시의 기술로는 유저가 판단하기에 심미성이 뛰어나 많은 곳에서 활용되었지만 HTML3.x버젼으로 업데이트된 시점에서 HTML만으로는 표현하기에는 제한사항이 발생되어 필요한 태그를 사용자가 직접 정의할 수 있는 XML이 생겨나게 되었고 XML은 HTML이 고정된 태그만을 사용가능하다면 DTD라는 XML 스키마를 정의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직접 태그를 작성하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HTML에서 확장성을 강조했다.
 
1990년대 공급자 기반의 홈페이지를 작성할 때 웹페이지를 구조적으로 표현함에 있어서 사용하기 편리하고 당시의 기술로는 유저가 판단하기에 심미성이 뛰어나 많은 곳에서 활용되었지만 HTML3.x버젼으로 업데이트된 시점에서 HTML만으로는 표현하기에는 제한사항이 발생되어 필요한 태그를 사용자가 직접 정의할 수 있는 XML이 생겨나게 되었고 XML은 HTML이 고정된 태그만을 사용가능하다면 DTD라는 XML 스키마를 정의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직접 태그를 작성하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HTML에서 확장성을 강조했다.
 
이에 XML과 HTML을 융합한 [[XHTML]]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W3C는 HTML의 개발을 중지하고  XHTML을 표준으로 지정하려는 움직임이 일게 되는데 이미 HTML사용에 익숙해진 사용자들(개발자,디자이너)과 브라우져 공급자들은 XHTML보다 HTML을 더욱 발전시키는 쪽이 더 나을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W3C의 생각과는 정면으로 대치하게 된다.
 
이에 XML과 HTML을 융합한 [[XHTML]]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W3C는 HTML의 개발을 중지하고  XHTML을 표준으로 지정하려는 움직임이 일게 되는데 이미 HTML사용에 익숙해진 사용자들(개발자,디자이너)과 브라우져 공급자들은 XHTML보다 HTML을 더욱 발전시키는 쪽이 더 나을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W3C의 생각과는 정면으로 대치하게 된다.
이에 독립적으로 HTML을 발전시키위해 Apple,Mozilla,Opera는 [[WHATWG]]라는 워킹그룹을 발촉하게 되고 이에 W3C는 WHATWG를 정식 W3C워킹그룹으로 인정받고 XHTML의 개발을 중지하면서 HTML을 업데이트 하게 되는데 이것이 현재 HTML5가 되었다.<ref>초초의 다락방, 〈[https://cho2.tistory.com/entry/HTML5%EC%9D%98-%EB%93%B1%EC%9E%A5%EB%B0%B0%EA%B2%BD 등장배경]〉,《티스토리》, 2015-01-30</ref>
+
이에 독립적으로 HTML을 발전시키위해 Apple,Mozilla,Opera는 [[WHATWG]]라는 워킹그룹을 발촉하게 되고 이에 W3C는 WHATWG를 정식 W3C워킹그룹으로 인정받고 XHTML의 개발을 중지하면서 HTML을 업데이트 하게 되는데 이것이 현재 HTML5가 되었다.<ref>초초의 다락방, 〈[https://cho2.tistory.com/entry/HTML5%EC%9D%98-%EB%93%B1%EC%9E%A5%EB%B0%B0%EA%B2%BD/등장배경]〉,《티스토리》, 2015-01-30</ref>
  
 
== 역사 ==
 
== 역사 ==
32번째 줄: 27번째 줄:
 
* 2014.02 : HTML5 최종 표준안 (Recommendation)
 
* 2014.02 : HTML5 최종 표준안 (Recommendation)
 
* 2016.11 : HTML5의 버전업인 HTML5.1이 최신 표준으로 지정되었다.
 
* 2016.11 : HTML5의 버전업인 HTML5.1이 최신 표준으로 지정되었다.
* 2017.12 : HTML5.1의 버전업인 HTML5.2가 최신 표준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HTML5.3이 워킹 드래프트 단계에 돌입했다.<ref>나무위키 공식 홈페이지 - https://namu.wiki/w/HTML5 </ref><ref>정민권, 〈[http://doomok.dothome.co.kr/html5/html5.html HTML5의 역사]〉,《네이버 카페》, 2012년</ref><ref>위키백과 공식 홈페이지 - https://ko.wikipedia.org/wiki/HTML5</ref>
+
* 2017.12 : HTML5.1의 버전업인 HTML5.2가 최신 표준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HTML5.3이 워킹 드래프트 단계에 돌입했다.
 +
<ref>나무위키 공식 홈페이지 - https://namu.wiki/w/HTML5 </ref>
 +
<ref>http://doomok.dothome.co.kr/html5/html5.html</ref>
 +
<ref>위키백과 공식 홈페이지 - https://ko.wikipedia.org/wiki/HTML5</ref>
  
 
== 특징  ==
 
== 특징  ==
52번째 줄: 50번째 줄:
 
* 이용 방법의 호환성 : 기존에 HTML 태그 사용법을 최대한 사용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 이용 방법의 호환성 : 기존에 HTML 태그 사용법을 최대한 사용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 기능의 재사용 : 각각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 가능한 기능들을 통합하여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기능의 재사용 : 각각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 가능한 기능들을 통합하여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혁신보다는 발전을 우선 : HTML5는 새로운 언어를 구현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미 사용 중인 HTML을 보다 사용하기 쉽도록 재구성하도록 한다.<ref>복세편살 개발 라이프, 〈[https://www.leafcats.com/99 HTML5 탄생 배경과 HTML5의 특징]〉,《티스토리》, 2017년</ref><ref>likingyo, 〈[https://blog.naver.com/likingyo/221079942961 HTML5의 핵심적인 특징]〉,《네이버 블로그》, 2017-08-22</ref><ref>webclub, 〈[https://webclub.tistory.com/491 HTML5란 무엇인가?]〉,《티스토리》, 2016년</ref>
+
* 혁신보다는 발전을 우선 : HTML5는 새로운 언어를 구현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미 사용 중인 HTML을 보다 사용하기 쉽도록 재구성하도록 한다.
 +
<ref>복세편살 개발 라이프, 〈[https://www.leafcats.com/99]〉</ref>
 +
<ref>likingyo, 〈[https://blog.naver.com/likingyo/221079942961]〉,《네이버》, 2017-08-22</ref>
 +
<ref>webclub, 〈[https://webclub.tistory.com/491]〉,《티스토리》</ref>
  
 
== 활용  ==
 
== 활용  ==
HTML5는 개발자들 사이에서 최신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데에도 활용되고 있다. HTML5를 지원하고 활용한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어도비 엣지([[Adobe Edge]]), 어도비 드림위버 CS6, 어도비 콜드퓨전 10, 센차 아키텍트 2([[sencha Architect 2]]). 센차 터치 2([[Sencha Touch 2]]), 도조 파운데이션 마케타([[Dojo Foundation Maqetta]]), 마이크로소프트 비주얼 스튜디오 2010 서비스 팩 1, 젯브레인스 웹스톰 4.0([[JetBrains WebStorm 4.0]]), [[구글 웹 툴킷]] 등등 HTML5를 활용한 프로그램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웹사이트에서 또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애플ㆍ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페이스북 등 글로벌 IT 기업들은 HTML5 시대 주도권을 잡고 활용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에 돌입하기도 했다.<ref>InfoWorld, 〈[http://www.itworld.co.kr/print/76718 HTML5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9가지 프로그래밍 도구]〉, 《아이티월드》</ref>
+
HTML5는 개발자들 사이에서 최신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데에도 활용되고 있다. HTML5를 지원하고 활용한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어도비 엣지([[Adobe Edge]]), 어도비 드림위버 CS6, 어도비 콜드퓨전 10, 센차 아키텍트 2([[sencha Architect 2]]). 센차 터치 2([[Sencha Touch 2]]), 도조 파운데이션 마케타([[Dojo Foundation Maqetta]]), 마이크로소프트 비주얼 스튜디오 2010 서비스 팩 1, 젯브레인스 웹스톰 4.0([[JetBrains WebStorm 4.0]]), [[구글 웹 툴킷]] 등등 HTML5를 활용한 프로그램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웹사이트에서 또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애플ㆍ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페이스북 등 글로벌 IT 기업들은 HTML5 시대 주도권을 잡고 활용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에 돌입하기도 했다.
 +
 
 +
<ref>http://www.itworld.co.kr/print/76718</ref>
  
 
== 종류(버전)  ==
 
== 종류(버전)  ==
* '''HTML5'''는 HTML의 완전한 5번째 버전으로 월드 와이드 웹 (World Wide Web)의 핵심 마크업 언어이다.
+
 
* '''HTML5.1'''은 기본 HTML5에 버그를 고치고 추가기능을 포함한 업그레이드 버전이다.<ref>나무위키 공식 홈페이지 - https://ko.wikipedia.org/wiki/HTML5</ref>
+
'''[[HTML5]]'''
 +
 
 +
'''[[HTML5.1]]'''
  
 
== 문제점과 대안  ==
 
== 문제점과 대안  ==
68번째 줄: 73번째 줄:
 
* [[CORS]]를 이용한 [[CSRF]] 공격 : CORS는 서로 다른 도메인 간에도 [[Ajax]]로 요청을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표준이다.html5 에는  XHR level 2라는 스펙이 추가 되었는데 , 여기서  [[XHR]]이란 Ajax의 XMLHttpRequest를 줄인 말로,기존 Level 1에서는 SOP에의해 COR이 제한되었으나,이 XHR2는 COR를 가능하게 해준다,이 때 기존에 없던 'Origin' 헤더가 포함되는데,이 헤더는 COR을 발생시킨 도메인의 정보를 포함하며, 받는 도메인 측에서도 출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이러한 과정에서 보안취약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대응을 위해서는 접근을 허용하는 발송처에 대한 설정에 주의하고 "Access-control-Allow-Origin::*"또는 "Access-control-Allow-Credentials: true"와 같은 코드 패턴은 사용해서는 안된다.
 
* [[CORS]]를 이용한 [[CSRF]] 공격 : CORS는 서로 다른 도메인 간에도 [[Ajax]]로 요청을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표준이다.html5 에는  XHR level 2라는 스펙이 추가 되었는데 , 여기서  [[XHR]]이란 Ajax의 XMLHttpRequest를 줄인 말로,기존 Level 1에서는 SOP에의해 COR이 제한되었으나,이 XHR2는 COR를 가능하게 해준다,이 때 기존에 없던 'Origin' 헤더가 포함되는데,이 헤더는 COR을 발생시킨 도메인의 정보를 포함하며, 받는 도메인 측에서도 출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이러한 과정에서 보안취약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대응을 위해서는 접근을 허용하는 발송처에 대한 설정에 주의하고 "Access-control-Allow-Origin::*"또는 "Access-control-Allow-Credentials: true"와 같은 코드 패턴은 사용해서는 안된다.
  
*웹 워커를 이용한 DDos공격 : 브라우저는 페이지의 자바스크립트를 처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한 개의 스레드를 이용한다.이 자바스크립트를 백그라운드에서 독립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HTML5에서 등장한 API가 웹 워커이다.이 떄,워커를 생성하고 메시지를 송수신 하는데, 이 특징을 이용하여 [[디도스]](DDoS) 공격에 약용할 수 있다.<ref>jvioonpe,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vioonpe&logNo=220232089357 html5 보안취약점과 대응방안]〉,《네이버 블로그》, 2015-01-07
+
*웹 워커를 이용한 DDos공격 : 브라우저는 페이지의 자바스크립트를 처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한 개의 스레드를 이용한다.이 자바스크립트를 백그라운드에서 독립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HTML5에서 등장한 API가 웹 워커이다.이 떄,워커를 생성하고 메시지를 송수신 하는데, 이 특징을 이용하여 DDos에 약용할 수 있다.
</ref>
+
<ref>*jvioonpe,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vioonpe&logNo=220232089357]〉,《네이버》, 2015-01-07</ref>
  
 
== 평가 및 전망 ==
 
== 평가 및 전망 ==
; HTML5로 인한 명실상부한 One source Multi Device가 가능함에 따라 콘텐츠의 활성화 기반 마련
+
=== HTML5로 인한 명실상부한 One source Multi Device가 가능함에 따라 콘텐츠의 활성화 기반 마련 ===
* 기존의 웹 콘텐츠의 경우, One source, One Device에 운영되었으나, HTML5가 적용됨에 따라 비로소 표준을 따르는 대부분의 기종(브라우저)를 수용하는 환경이 되었음
+
* 기존의 웹 콘텐츠의 경우, One source, One Device에 운영되었으나,
* 이에 따라 개발하는 콘텐츠가 다양한 화면크기, 운영체제에서도 운영될 수 있도록 통합화된 교수 전략 및 인터페이스, 내용 설계가 요구됨
+
HTML5가 적용됨에 따라 비로소 표준을 따르는 대부분의 기종(브라
 
+
우저)를 수용하는 환경이 되었음
; 웹 응용의 공통 개발 및 활용 환경 조성에 따른 프로그램의 개발, 갱신, 관리의 용이성 제고
+
* 이에 따라 개발하는 콘텐츠가 다양한 화면크기, 운영체제에서도 운영
* 웹 응용 프로그램의 공통 활용 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활용이 이전보다 훨씬 배가됨에 따라 개발자의 수익성이 크게 증대될 수 있음
+
수 있도록 통합화된 교수 전략 및 인터페이스, 내용 설계가 요구됨
* 또한 웹 응용 프로그램의 갱신 시 One source만 수정하면 되어 이의 관리가 매우 쉬워짐
+
=== 웹 응용의 공통 개발 및 활용 환경 조성에 따른 프로그램의 개발, 갱신, 관리의 용이성 제고 ===
 
 
; 구글, 애플의 포털 홈페이지에서와 같이 웹 포탈의 HTML5로의 대전환 필요
 
* 국내 대부분의 기관 홈페이지의 경우 특정 브라우저에서만 운영이 되는 한계가 있었고, 모바일의 등장에 따라 시험 수준의 특정 기종에만 운영되는 모바일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음
 
* 웹 포탈의 경우 점진적으로 HTML5를 도입함에 따라 Multi Device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음
 
* 이를 위해서는 특정 플러그인, Active-X 등의 지양으로 웹 응용 프로그램의 중복 개발 및 노력을 절감하여 효율을 기할 필요가 있음
 
 
 
; 웹 응용의 표준화와 오픈화로 인터넷 문화의 확산 및 정보격차 가속화
 
* 웹 응용 프로그램의 특정 브라우저, 특정 기종의 이용 환경에서 공통 이용 환경으로의 전환에 따라 웹 응용의 활성화 및 인터넷 문화의 확산이 예상됨
 
* 그러나 이러한 인터넷 문화에 아직 접하지 못하는 세대 및 계층과의 정보 격차가 가속화됨에 따라 이들의 생활 수준 및 의식에 많은 차이가 발생하며 통합에 장애 요인으로의 작용이 예상됨<ref>유재택, 〈[http://www.keris.or.kr/upload/board01/1308031227939_550709374.pdf 웹 표준 언어(HTML5) 동향 및 전망]〉,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년</ref>
 
  
 +
* 웹 응용 프로그램의 공통 활용 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하나의 응용
 +
프로그램의 활용이 이전보다 훨씬 배가됨에 따라 개발자의 수익성이
 +
크게 증대될 수 있음
 +
* 또한 웹 응용 프로그램의 갱신 시 One source만 수정하면 되어 이
 +
의 관리가 매우 쉬워 짐
 +
=== 구글, 애플의 포탈 홈페이지에서와 같이 웹 포탈의 HTML5로의 대 전환 필요 ===
 +
* 국내 대부분의 기관 홈페이지의 경우 특정 브라우저에서만 운영이
 +
되는 한계가 있었고, 모바일의 등장에 따라 시험 수준의 특정 기종
 +
에만 운영되는 모바일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음
 +
* 웹 포탈의 경우 점진적으로 HTML5를 도입함에 따라 Multi Device
 +
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음
 +
* 이를 위해서는 특정 플러그인, Active-X 등의 지양으로 웹 응용 프로
 +
그램의 중복 개발 및 노력을 절감하여 효율을 기할 필요가 있음
 +
=== 웹 응용의 표준화와 오픈화로 인터넷 문화의 확산 및 정보격차 가속화 ===
 +
* 웹 응용 프로그램의 특정 브라우저, 특정 기종의 이용 환경에서 공
 +
통 이용 환경으로의 전환에 따라 웹 응용의 활성화 및 인터넷 문화
 +
의 확산이 예상됨
 +
* 그러나 이러한 인터넷 문화에 아직 접하지 못하는 세대 및 계층과의
 +
정보 격차가 가속화됨에 따라 이들의 생활 수준 및 의식에 많은 차
 +
이가 발생하며 통합에 장애 요인으로의 작용이 예상됨
 +
<ref>*http://www.keris.or.kr/upload/board01/1308031227939_550709374.pdf</ref>
 
{{각주}}
 
{{각주}}
  
 
==참고자료==
 
==참고자료==
* 초초의 다락방, 〈[https://cho2.tistory.com/entry/HTML5%EC%9D%98-%EB%93%B1%EC%9E%A5%EB%B0%B0%EA%B2%BD 등장배경]〉,《티스토리》, 2015-01-30
+
*초초의 다락방, 〈[https://cho2.tistory.com/entry/HTML5%EC%9D%98-%EB%93%B1%EC%9E%A5%EB%B0%B0%EA%B2%BD/등장배경]〉,《티스토리》, 2015-01-30
* 나무위키 공식 홈페이지 - https://namu.wiki/w/HTML5  
+
*나무위키 공식 홈페이지 - https://namu.wiki/w/HTML5  
* 정민권, 〈[http://doomok.dothome.co.kr/html5/html5.html HTML5의 역사]〉,《네이버 카페》, 2012년
+
*http://doomok.dothome.co.kr/html5/html5.html
* 〈[https://ko.wikipedia.org/wiki/HTML5 HTML5]〉, 《위키백과》
+
*위키백과 공식 홈페이지 - https://ko.wikipedia.org/wiki/HTML5
* 나무위키 공식 홈페이지 - https://ko.wikipedia.org/wiki/HTML5
+
*복세편살 개발 라이프, 〈[https://www.leafcats.com/99]〉
* 복세편살 개발 라이프, 〈[https://www.leafcats.com/99 HTML5 탄생 배경과 HTML5의 특징]〉,《티스토리》, 2017년
+
*likingyo, 〈[https://blog.naver.com/likingyo/221079942961]〉,《네이버》, 2017-08-22
* likingyo, 〈[https://blog.naver.com/likingyo/221079942961 HTML5의 핵심적인 특징]〉,《네이버 블로그》, 2017-08-22
+
*webclub, 〈[https://webclub.tistory.com/491]〉,《티스토리》
* webclub, 〈[https://webclub.tistory.com/491 HTML5란 무엇인가?]〉,《티스토리》, 2016년
+
*http://www.itworld.co.kr/print/76718
* jvioonpe,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vioonpe&logNo=220232089357 html5 보안취약점과 대응방안]〉,《네이버 블로그》, 2015-01-07
+
*jvioonpe,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vioonpe&logNo=220232089357]〉,《네이버》, 2015-01-07
* InfoWorld, 〈[http://www.itworld.co.kr/print/76718 HTML5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9가지 프로그래밍 도구]〉, 《아이티월드》
+
*http://www.keris.or.kr/upload/board01/1308031227939_550709374.pdf
* 유재택, 〈[http://www.keris.or.kr/upload/board01/1308031227939_550709374.pdf 웹 표준 언어(HTML5) 동향 및 전망]〉,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HTML]]
 
* [[HTML]]
 
* [[W3C]]
 
* [[W3C]]
* [[팀 버너스-리]]
 
  
{{프로그래밍 언어|검토 필요}}
+
{{프로그래밍 언어|토막글}}
 
[[분류:퍼블리싱]]
 
[[분류:퍼블리싱]]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