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리무진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KTX리무진.jpg|썸네일|300픽셀|'''KTX 리무진'''(KTX Limousine)]]
 
[[파일:KTX리무진.jpg|썸네일|300픽셀|'''KTX 리무진'''(KTX Limousine)]]
  
'''KTX리무진'''<!--KTX 리무진-->(KTX Limousine)이란 [[한국고속철도]](KTX)역과 시내를 연결하여 운행하는 [[버스]]이다. '''케이티엑스 리무진'''이라고 읽는다.
+
'''KTX리무진'''<!--KTX 리무진-->(KTX Limousine)이란 [[한국고속철도]](KTX)역과 시내를 연결하여 운행하는 [[버스]]이다.  
{{:자동차 배너}}
 
 
 
 
==개요==
 
==개요==
 
KTX는 빠른 속도를 위하여 직선 위주로 짜다 보니 신설 역사들은 역사 위치가 도심에 먼 경우가 많다. 하지만 KTX 리무진은 KTX 역과 시내를 이어 KTX의 수요를 확대할 뿐만 아니라 승객 편의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대체로 교통이 불편한 지방 도시의 역에서 인접한 도시로 갈 때 이용된다. KTX가 2단계 노선이 개통된 2010월 11월 1일을 기해 울산역과 울산광역시 시내를 잇는 [[리무진버스]]가 개통되면서, 개통 한 달 차에는 1일 평균 2,900명, 한 대당 평균 121명이 이용하는 등 성공하였다. 이에 접근성이 낮은 김천구미역 역시 구미시와의 연계를 위해 2011년 4월 11일 1일 26회 김천시, 김천구미역, 구미역 등을 잇는 리무진버스를 개통하였다. 이에 따라 김천구미역의 이용객이 4월 29,372명에서 7월 말 기준 31,353명으로 2,000여명이 증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KTX_%EB%A6%AC%EB%AC%B4%EC%A7%84#cite_note-7 KTX 리무진]〉, 《위키백과》 </ref> SRT의 개통으로 KTX와 본격적인 철도 경쟁시대가 열리면서 광명역에서 사당역까지 한 정거장에 이동이 가능한 8507번을 개통하여 운영하였다.<ref> 박장식,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277832 11일 개통 수도권 최초 'KTX 리무진', 미리 타보니]〉, 《오마이뉴스》, 2017-01-11 </ref> 이후 송내역과 광명역을 잇는 노선과 부평구와 원인재역 등 인천 각지와 광명역을 잇는 노선이 개통되었다가 인천공항행 KTX가 공항철도 열차나 리무진버스보다 가격이 비싼데 시간적 이점도 가져오지 못하여 폐쇄함에 따라 인천공항행 KTX 리무진버스는 6770번을 두고 사라졌다.<ref> 최성욱 기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1S2ARGGDNI 문닫힌 인천공항 KTX]〉, 《서울경제》, 2018-07-31 </ref>
 
KTX는 빠른 속도를 위하여 직선 위주로 짜다 보니 신설 역사들은 역사 위치가 도심에 먼 경우가 많다. 하지만 KTX 리무진은 KTX 역과 시내를 이어 KTX의 수요를 확대할 뿐만 아니라 승객 편의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대체로 교통이 불편한 지방 도시의 역에서 인접한 도시로 갈 때 이용된다. KTX가 2단계 노선이 개통된 2010월 11월 1일을 기해 울산역과 울산광역시 시내를 잇는 [[리무진버스]]가 개통되면서, 개통 한 달 차에는 1일 평균 2,900명, 한 대당 평균 121명이 이용하는 등 성공하였다. 이에 접근성이 낮은 김천구미역 역시 구미시와의 연계를 위해 2011년 4월 11일 1일 26회 김천시, 김천구미역, 구미역 등을 잇는 리무진버스를 개통하였다. 이에 따라 김천구미역의 이용객이 4월 29,372명에서 7월 말 기준 31,353명으로 2,000여명이 증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ref> 〈[https://ko.wikipedia.org/wiki/KTX_%EB%A6%AC%EB%AC%B4%EC%A7%84#cite_note-7 KTX 리무진]〉, 《위키백과》 </ref> SRT의 개통으로 KTX와 본격적인 철도 경쟁시대가 열리면서 광명역에서 사당역까지 한 정거장에 이동이 가능한 8507번을 개통하여 운영하였다.<ref> 박장식,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277832 11일 개통 수도권 최초 'KTX 리무진', 미리 타보니]〉, 《오마이뉴스》, 2017-01-11 </ref> 이후 송내역과 광명역을 잇는 노선과 부평구와 원인재역 등 인천 각지와 광명역을 잇는 노선이 개통되었다가 인천공항행 KTX가 공항철도 열차나 리무진버스보다 가격이 비싼데 시간적 이점도 가져오지 못하여 폐쇄함에 따라 인천공항행 KTX 리무진버스는 6770번을 두고 사라졌다.<ref> 최성욱 기자, 〈[https://www.sedaily.com/NewsVIew/1S2ARGGDNI 문닫힌 인천공항 KTX]〉, 《서울경제》, 2018-07-31 </ref>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