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농협손해보험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NH농협손해보험 로고.png|썸네일|200픽셀|'''NH농협손해보험'''로고]]
+
'''농협손해보험'''(NongHyup Property & Casualty Insurance)는 2012년 3월 농협법 개정에 의한 농협신경분리에 따라 과거 [[농협중앙회]]의 공제부문 중 손해보험 부문이 분할되어 설립된 [[농협금융지주]] 계열의 손해보험회사다, 대표이사로는 [[오병관]]이 있다.
[[파일:NH농협손해보험 글자.png|썸네일|300픽셀|'''NH농협손해보험'''로고와 글자]]
 
 
 
'''농협손해보험'''(NongHyup Property & Casualty Insurance)는 2012년 3월 농협법 개정에 의한 농협신경분리에 따라 과거 [[농협중앙회]]의 공제부문 중 손해보험 부문이 분할되어 설립된 [[농협금융지주]] 계열의 손해보험회사다, 대표이사는 [[오병관]]이다.
 
  
 
==개요==
 
==개요==
157번째 줄: 154번째 줄:
 
|align=center colspan=4| [https://www.nhfire.co.kr/product/retrieveProduct.nhfire?pdtCd=E610711 다중이용업소화재배상책임보험]
 
|align=center colspan=4| [https://www.nhfire.co.kr/product/retrieveProduct.nhfire?pdtCd=E610711 다중이용업소화재배상책임보험]
 
|}
 
|}
 
==현황==
 
===보험사기방지시스템===
 
[[SAS코리아]]는 NH농협손해보험 보험사기방지시스템(Fraud Detection System, FDS)을 'SAS 보험사기방지 [[프레임워크]](SAS Fraud Framework for Insurance)' 기반으로 구축하고, 본격적으로 보험사기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한다고 한다. NH농협손해보험 FDS 시스템은 급증하는 보험사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농협조합원의 재산보호를 위해 구축됐다. 또한 [[금융감독원]]의 보험사기 대응방향에 부합하는 보험사기방지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약 3년의 준비기간을 거쳐 2016년 4월에 개발 착수하여 11월에 개발 완료됐다. 특히, NH농협손해보험만의 특화된 가축, 농기계 등 보험에 대한 사기적발 및 사전예방 대응체계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하다고 한다.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SAS코리아는 'SAS 보험 사기방지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보험사기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고 체계적으로 적발해 담당부서 SIU팀의 보험사기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FDS시스템을 개발했다. 보험청구 건에 대한 계약자별 사고 위험을 점수화하고 보험사기 유발개체에 대한 세부 혐의사항을 추출해 보험금 지급심사 및 언더라이팅 등 관련부서에 정보를 제공하고, 보험사기자에 대한 NH농협손해보험의 유입을 사전에 차단하는 기능을 탑재했다. 주요 과제로는 ▲ SIU업무지원 시스템 개발 ▲ 심사자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한 경험룰과 [[데이터마이닝]]을 바탕으로 한 통계룰로 지급 심사지원시스테 개선 ▲ 사기 및 부당청구 위험정도를 점수화한 이상징후 분석시스템 및 심사 화면에 자동으로 경보를 띄우는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 통계분석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 정비 및 데이터 관리 체계 개선 ▲ 사용자중심 화면 개발 및 보고서 지원 ▲ 위험요인 풀과 데이터 기반 사기조사 및 보험금심사 업무지원을 위한 리스크 데이터마트 구축 ▲ 룰 성능 모니터링 및 이상징후 분석 결과를 통한 룰 개선 체계 구축을 추진했다. 이로써 보험사기 SIU 전문조사관은 FDS시스템에서 이상징후로 추출되는 정보에 대해 보험사고의 위험정도를 점수화할 수 있게 되었다. 보험 심사자 화면에 자동으로 정보를 제공해 부당 청구를 사전에 인지하고 손사법인을 통해 대응할 수 있다. 고도의 보험사기 청구건에 대해서는 금융감독원에 보험사기인지보고 후 SIU팀 자체조사를 강화해 적발하고, 지능적인 보험 사기자에 대해서는 손보업계와 공조해 수사착수 의뢰를 통해 적발한다.<ref>편집부, 〈[http://www.itworld.co.kr/news/102087 SAS코리아, NH농협손해보험에 보험사기방지시스템 구축 완료]〉, 《IT월드》, 2016-11-15</ref>
 
 
{{각주}}
 
  
 
==참고자료==
 
==참고자료==
 
* 농협손해보험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nhfire.co.kr/index.nhfire
 
* 농협손해보험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nhfire.co.kr/index.nhfire
* 편집부, 〈[http://www.itworld.co.kr/news/102087 SAS코리아, NH농협손해보험에 보험사기방지시스템 구축 완료]〉, 《IT월드》, 2016-11-15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금융기관]]
 
* [[금융기관]]
* [[농협중앙회]]
 
* [[농협금융지주]]
 
 
* [[농협생명]]
 
* [[농협생명]]
  
{{금융기관|검토 필요}}
+
{{로고 필요}}
 +
{{금융기관|토막글}}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