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 계층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 개요 ==
 
== 개요 ==
 
OSI 7 계층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통신]]하는 구조를 7개의 계층으로 분리하여 각 계층간 상호 작동하는 방식을 정해 놓은 것이다. [[ISO]](국제표준화기구)가 1984년에 발표했다.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크게 구분하여 한 눈에 들어올 수 있도록 정의했기 때문에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다. 1계층인 물리계층(Physical Layer), 2계층인 데이터링크 계층(DataLink Layer),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4계층인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5계층인 세션 계층(Session Layer), 6계층인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7계층인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으로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 통신 구조의 모델과 앞으로 개발될 프로토콜의 표준적인 뼈대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참조 모델이어서 OSI 7 계층 모델을 알면 네트워크 구성을 예측하고 이해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의 흐름을 꿰뚫어 볼 수 있으며, 각 계층은 독립되어 있다. 7단계 중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드리지 않고도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칠 수 있다.<ref>IT양햄찌(jhnyang), 〈[https://jhnyang.tistory.com/194 OSI 7계층 모델 완벽 이해-이유를 알고 개변을 이해하고 전체 보기(7 layer)]〉, 《티스토리》, 2019-10-24</ref>
 
OSI 7 계층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통신]]하는 구조를 7개의 계층으로 분리하여 각 계층간 상호 작동하는 방식을 정해 놓은 것이다. [[ISO]](국제표준화기구)가 1984년에 발표했다.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크게 구분하여 한 눈에 들어올 수 있도록 정의했기 때문에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다. 1계층인 물리계층(Physical Layer), 2계층인 데이터링크 계층(DataLink Layer),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4계층인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5계층인 세션 계층(Session Layer), 6계층인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7계층인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으로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 통신 구조의 모델과 앞으로 개발될 프로토콜의 표준적인 뼈대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참조 모델이어서 OSI 7 계층 모델을 알면 네트워크 구성을 예측하고 이해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의 흐름을 꿰뚫어 볼 수 있으며, 각 계층은 독립되어 있다. 7단계 중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드리지 않고도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칠 수 있다.<ref>IT양햄찌(jhnyang), 〈[https://jhnyang.tistory.com/194 OSI 7계층 모델 완벽 이해-이유를 알고 개변을 이해하고 전체 보기(7 layer)]〉, 《티스토리》, 2019-10-24</ref>
 
== 등장 배경 ==
 
1980년대 [[컴퓨터]] 통신망이 확산되면서 다양한 통신망 혼재 상황에서의 기능별 분류가 필요해졌다. 통신망별 정보교환을 위한 별도의 절차를 마련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다른 제조업자의 시스템이라도 네트워크 유형에 관계없이 상호 통신이 가능한 지침이 필요했다. 일반적인 통신 환경에서 서로 통신을 원하는 양 당사자는 신뢰성 있고, 원활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서로 합의에 의해 설정한 통신 규약, 즉 프로토콜(Protocol)을 가지게 됐다.<ref>이덕우, 〈[https://niceit.tistory.com/308 네트워크계층(OSI 7 Layer)]〉, 《티스토리》, 2018-11-23</ref> 컴퓨터간의 네트워크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되자 ISO(국제표준화기구)는 OSI 7 계층이라는 새로운 네트워크 모델을 발표 했다. 이 모델은 서로 다른 컴퓨터 기기 간에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규정한 네트워크 모델 표준안이다. 이 모델은 모든 통신 관련 시스템, 즉 각종 네트워크 장비 및 컴퓨터기기 등에 동일하게 적용이 되는 개념이며 우리가 사용하고 접하는 모든 통신 관련 시스템은 이 OSI 7 계층 범주에 속하게 된다. 이 OSI 참조 모델은 각 시스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자원을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7개의 계층으로 구분 했다. 각 계층은 가장 상위 계층에 속하는 응용층(Application Layer, 7계층), 표현층(Presentation Layer, 6계층), 세션층(Session Layer, 5계층), 전송층(Transport Layer, 4계층), 네트워크층(Network Layer, 3계층), 데이터링크층(DataLink Layer, 2계층) 그리고 가장 하위 계층에 속하는 물리층(Physical Layer, 1계층)등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진다. 물론 모든 통신 시스템이 7계층을 다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어떤 장비는 7계층을 다 구현(예 : Gateway)한 기능을 가지고 있고 어떤 장비는 하위 1계층(예, 각종 케이블) 또는 3계층(예, 라우터)만 구현한 장비도 있다. 다시 말하면 필요에 따라 모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는 하나의 계층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계층에 걸쳐 구현될 수도 있다. 두 컴퓨터가 서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7계층이 다 구현되어야 하며, 각각의 계층은 서로 독립된 기능을 제공한다. 서로 인접한 계층 간에만 의존하게 된다.<ref>웅이, 〈[https://olooi.tistory.com/entry/OSI-7%EA%B3%84%EC%B8%B5 OSI 7계층]〉, 《티스토리》, 2009-05-22</ref>
 
  
 
== 특징 ==
 
== 특징 ==
=== 데이터 캡슐화 ===
 
[[파일:데이터 캡슐화.jpg|썸네일|400픽셀|'''데이터 캡슐화''']]
 
 
[[데이터 캡슐화]]는 사용자 데이터가 각 계층을 지나면서 하위 계층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온 정보를 데이터로 취급하며, 자신의 계층 특성을 담은 제어정보(주소, 에러 제어 등)를 헤더화 시켜 붙이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ref>차재복, 〈[http://www.ktword.co.kr/abbr_view.php?m_temp1=379  Encapsulation, Encapsulating  캡슐화]〉,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2020-01-08</ref> 데이터를 보낼 때는 응용 계층에서 시작되어 OSI 계층을 차례로 내려오며 물리 계층으로 간다. 이 과정에서 캡슐화를 하게 되는데 각 계층은 다른 계층과 통신할 때 데이터에 특정 정보가 들어 있는 머리말(헤더)과 꼬리말(푸터)을 추가한 후 다른 계층으로 전달한다. PDU(Protocol Data Unit)은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이며 OSI 모델의 정보 처리 단위이다. 캡슐화 과정에서 만들어진다. 아래 계층으로 내려갈수록 PDU에는 다양한 프로토콜에 의해 헤더와 푸터가 더해진다. 마지막 물리 계층에서 PDU는 최종적인 모습으로 변하며, 데이터를 보내는 접점이 된다. 반대로 데이터를 받은 컴퓨터는 PDU로부터 프로토콜의 헤더와 푸터를 분석하며 올라가 마지막 응용 계층에 도달하면 원본 데이터만 남는다.<ref>GoldDog, 〈[https://enter.tistory.com/141 OSI 7계층 모델 - 계층별 프로토콜 종류와 캡슐화 방법]〉, 《티스토리》, 2014-07-30</ref>
 
 
:{|class=wikitable width=1000 style="background-color:#ffffee
 
|+<big>OSI 7 계층</big>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7%|계층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16%|이름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단위(PDU)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예시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프로토콜(Protocols)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ffeecc" width=9%|디바이스(Device)
 
|-
 
|align=center|7
 
|align=center|응용 계층<br>(Application Layer)
 
|align=center|Data
 
|align=center|텔넷(Telnet), 구글 크롬, 이메일, 데이터베이스 관리
 
|align=center|HTTP, SMTP, SSH, FTP, Telnet, DNS, modbus, SIP, AFP, APPC, MAP
 
|align=center|
 
|-
 
|align=center|6
 
|align=center|표현 계층<br>(Presentation Layer)
 
|align=center|Data
 
|align=center|인코딩, 디코딩, 암호화, 복호화
 
|align=center|ASCII, MPEG, JPEG, MIDI, EBCDIC, XDR, AFP, PAP
 
|align=center|
 
|-
 
|align=center|5
 
|align=center|세션 계층<br>(Session Layer)
 
|align=center|Data
 
|align=center|
 
|align=center|NetBIOS, SAP, SDP, PIPO, SSL, TLS, NWLink, ASP, ADSP, ZIP, DLC
 
|align=center|
 
|-
 
|align=center|4
 
|align=center|전송 계층<br>(Transport Layer)
 
|align=center|TCP-Segment, UDP-datagram
 
|align=center|특정 방화벽 및 프록시 서버
 
|align=center|TCP, UDP, SPX, SCTP, NetBEUI, RTP, ATP, NBP, AEP, OSPF
 
|align=center|게이트웨이
 
|-
 
|align=center|3
 
|align=center|네트워크 계층<br>(Network Layer)
 
|align=center|Packet
 
|align=center|라우터
 
|align=center|IP, IPX, IPsec, ICMP, ARP, NetBEUI, RIP, BGP, DDP, PLP
 
|align=center|라우터
 
|-
 
|align=center|2
 
|align=center|데이터링크 계층<br>(DataLink Layer)
 
|align=center|Frame
 
|align=center|MAC 주소, 브리지 및 스위치
 
|align=center|Ethernet, Token Ring, AppleTalk, PPP, ATM, MAC, HDLC, FDDI, LLC, ALOHA
 
|align=center|브릿지,<br>스위치
 
|-
 
|align=center|1
 
|align=center|물리 계층<br>(Physical Layer)
 
|align=center|Bit
 
|align=center|전압, 허브, 네트워크 어댑터, 중계기 및 케이블 사양, 신호 변경(디지털,아날로그)
 
|align=center|10BASE-T, 100BASE-TX, ISDN, wired, wireless, RS-232, DSL, Twinax
 
|align=center|허브,<br>리피터
 
|-
 
|}
 
 
 
== 기능 ==
 
== 기능 ==
 
;응용 계층
 
;응용 계층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