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3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번째 줄: 5번째 줄:
 
'''[[R3]]'''(알쓰리)는 세계 최대의 [[블록체인]] 컨소시엄으로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금융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 적용을 주도하고 있다.<ref>임정빈 기자, 〈[http://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1216#09ne 기획] 블록체인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 그 기술의 시작인 가상화폐는 사기?]〉, 《시사매거진》, 2018-04-05</ref> 블록체인을 금융 산업에 본격적으로 적용, 실행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R3는 [[분산원장]] 기술인 '''[[코다]]'''(Corda)를 이용하여,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인 [[코다 플랫폼]](Corda Platform)을 만들었다.
 
'''[[R3]]'''(알쓰리)는 세계 최대의 [[블록체인]] 컨소시엄으로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금융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 적용을 주도하고 있다.<ref>임정빈 기자, 〈[http://www.sisamaga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1216#09ne 기획] 블록체인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 그 기술의 시작인 가상화폐는 사기?]〉, 《시사매거진》, 2018-04-05</ref> 블록체인을 금융 산업에 본격적으로 적용, 실행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R3는 [[분산원장]] 기술인 '''[[코다]]'''(Corda)를 이용하여,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인 [[코다 플랫폼]](Corda Platform)을 만들었다.
  
== 개요 ==
+
{{:테크핀 아시아 2019 배너|R3가 테크핀 아시아 2019 행사에 참가합니다.}}
 +
 
 +
==개요==
 
R3는 글로벌 금융 서비스 개발 스타트업으로서 금융 서비스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분산원장]] 기술 플랫폼과 상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컨소시엄을 결성했다.<ref>정용환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부회장,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9&aid=0002437979 (시론) 블록체인 무한가능성에 주목해야]〉, 《디지털타임스》, 2017-12-27</ref> R3는 결제·회사채·보험 등 8개 금융 분야에 적용할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2015년 9월 [[골드만삭스]] 등 9개의 금융기관과 함께 R3 컨소시엄을 구성했다.<ref>중소벤처기업부, TIPA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NICE평가정보㈜, 〈[http://smroadmap.smtech.go.kr/download/2017_03.pdf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2018-2020]〉</ref> 2016년, R3는 분산원장 기술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확장이 쉽고 빠르며 유지관리 비용이 저렴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플랫폼 [[코다]](Corda)를 개발했다. 이들은 기본적인 시스템 설계 및 기술 개발을 담당하고, 컨소시엄 회원사는 자사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에 연결해 시스템을 테스트한다.<ref>대박지군, 〈[https://blog.naver.com/onelife-korea/220917543152 (블록체인 돋보기)②R3CEV 컨소시엄·하이퍼레저·이더리움...속도내는 블록체인 합종연횡]〉, 《네이버 블로그》, 2017-01-22</ref>
 
R3는 글로벌 금융 서비스 개발 스타트업으로서 금융 서비스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분산원장]] 기술 플랫폼과 상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컨소시엄을 결성했다.<ref>정용환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부회장,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9&aid=0002437979 (시론) 블록체인 무한가능성에 주목해야]〉, 《디지털타임스》, 2017-12-27</ref> R3는 결제·회사채·보험 등 8개 금융 분야에 적용할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2015년 9월 [[골드만삭스]] 등 9개의 금융기관과 함께 R3 컨소시엄을 구성했다.<ref>중소벤처기업부, TIPA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NICE평가정보㈜, 〈[http://smroadmap.smtech.go.kr/download/2017_03.pdf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2018-2020]〉</ref> 2016년, R3는 분산원장 기술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확장이 쉽고 빠르며 유지관리 비용이 저렴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플랫폼 [[코다]](Corda)를 개발했다. 이들은 기본적인 시스템 설계 및 기술 개발을 담당하고, 컨소시엄 회원사는 자사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에 연결해 시스템을 테스트한다.<ref>대박지군, 〈[https://blog.naver.com/onelife-korea/220917543152 (블록체인 돋보기)②R3CEV 컨소시엄·하이퍼레저·이더리움...속도내는 블록체인 합종연횡]〉, 《네이버 블로그》, 2017-01-22</ref>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이미지|정렬=가운데
 
{{이미지|정렬=가운데
 
|데이비드 루터.jpg|'''[[데이비드 루터]]'''(David Rutter) R3 공동설립자 겸 파트너
 
|데이비드 루터.jpg|'''[[데이비드 루터]]'''(David Rutter) R3 공동설립자 겸 파트너
63번째 줄: 65번째 줄:
 
* 2014년 08월 ~ 현재 : R3 공동 창립자
 
* 2014년 08월 ~ 현재 : R3 공동 창립자
  
===제임스 칼라일===
+
=== 제임스 칼라일 ===
 
[[제임스 칼라일]](James Carlyle)은 R3의 최고정보책임자(CIO)이다.
 
[[제임스 칼라일]](James Carlyle)은 R3의 최고정보책임자(CIO)이다.
  
72번째 줄: 74번째 줄:
 
[[톰 메너]](Tom Menner)는 R3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총괄 디렉터이다.
 
[[톰 메너]](Tom Menner)는 R3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총괄 디렉터이다.
  
== 등장배경 ==
+
==등장배경==
 
R3는 [[분산원장]] 기반의 [[핀테크]] 스타트업으로 [[월스트리트]]의 베테랑들인 [[데이비드 루터]](David Rutter), [[제시 에드워즈]](Jesse Edwards), [[토드 맥도널드]](Todd McDonald)가 모여 창립하였다. 최고 경영자인 데이비드 루터는 R3을 창립하기 전 전산 금융 중개 및 리스크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아이캡]](ICAP)이라는 회사의 대표이사였다.<ref name="엘지">LG CNS 홍보팀, 〈[https://blog.lgcns.com/1422?category=602442 세계 최대 금융 블록체인 컨소시음 R3과 손잡은 LG CNS]〉, 《엘지씨앤에스》, 2017-05-30</ref>
 
R3는 [[분산원장]] 기반의 [[핀테크]] 스타트업으로 [[월스트리트]]의 베테랑들인 [[데이비드 루터]](David Rutter), [[제시 에드워즈]](Jesse Edwards), [[토드 맥도널드]](Todd McDonald)가 모여 창립하였다. 최고 경영자인 데이비드 루터는 R3을 창립하기 전 전산 금융 중개 및 리스크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아이캡]](ICAP)이라는 회사의 대표이사였다.<ref name="엘지">LG CNS 홍보팀, 〈[https://blog.lgcns.com/1422?category=602442 세계 최대 금융 블록체인 컨소시음 R3과 손잡은 LG CNS]〉, 《엘지씨앤에스》, 2017-05-30</ref>
  
97번째 줄: 99번째 줄:
 
2015년 말 42개의 DLT 그룹의 구성원들과 R3는 분산원장의 가장 큰 힘은 네트워크 효과에서 온다는 데에 합의를 도출했다.<ref name="백종찬"></ref> 또한 이에 따라 컨소시엄의 멤버십을 확장하기로 결심했다. 국내에는 현재 금융지주 5곳(하나, 신한, IBK, 우리, KB)울 포함해 70여 개 이상의 금융기관들이 참여하고 있다. R3 컨소시엄엔 은행 이외 카드사, 거래소, 보험사, 증권사, 투자사, 물류회사 등을 비롯한 중앙은행, 규제, 감독기관이 참여하고 있다.<ref name="야옹메롱">야옹메롱, 〈[https://blog.naver.com/mage7th/221161158897 (블록체인) 블록체인에 대한 연구, R3과 코다]〉, 《네이버 블로그》, 2017-12-12</ref>
 
2015년 말 42개의 DLT 그룹의 구성원들과 R3는 분산원장의 가장 큰 힘은 네트워크 효과에서 온다는 데에 합의를 도출했다.<ref name="백종찬"></ref> 또한 이에 따라 컨소시엄의 멤버십을 확장하기로 결심했다. 국내에는 현재 금융지주 5곳(하나, 신한, IBK, 우리, KB)울 포함해 70여 개 이상의 금융기관들이 참여하고 있다. R3 컨소시엄엔 은행 이외 카드사, 거래소, 보험사, 증권사, 투자사, 물류회사 등을 비롯한 중앙은행, 규제, 감독기관이 참여하고 있다.<ref name="야옹메롱">야옹메롱, 〈[https://blog.naver.com/mage7th/221161158897 (블록체인) 블록체인에 대한 연구, R3과 코다]〉, 《네이버 블로그》, 2017-12-12</ref>
  
== 주요 업무 ==
+
==주요 업무==
 
R3의 주요 업무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1. 분산원장인 [[코다]](Corda) 및 코다 플랫폼 개발, 2. 컨소시엄 멤버 간의 프로젝트, 3. 금융 서비스 개발이다.<ref>전략품목교육센터, 〈[https://itdcenter.blog.me/221168917458 https://itdcenter.blog.me/221168917458]〉, 《네이버 블로그》, 20187-12-22</ref>
 
R3의 주요 업무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1. 분산원장인 [[코다]](Corda) 및 코다 플랫폼 개발, 2. 컨소시엄 멤버 간의 프로젝트, 3. 금융 서비스 개발이다.<ref>전략품목교육센터, 〈[https://itdcenter.blog.me/221168917458 https://itdcenter.blog.me/221168917458]〉, 《네이버 블로그》, 20187-12-22</ref>
  
143번째 줄: 145번째 줄:
 
===금융 서비스===
 
===금융 서비스===
 
R3의 코다 플랫폼 위에서 다양한 기술기반 스타트업들이 금융 앱들을 개발할 수 있지만, R3 역시 독자적으로 서비스를 개발한다.<ref name="야옹메롱"></ref>
 
R3의 코다 플랫폼 위에서 다양한 기술기반 스타트업들이 금융 앱들을 개발할 수 있지만, R3 역시 독자적으로 서비스를 개발한다.<ref name="야옹메롱"></ref>
 
== 행사 ==
 
{{:테크핀 아시아 2019 배너|R3가 테크핀 아시아 2019 행사에 참가했습니다.}}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데이비드 루터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daviderutter/
 
* 데이비드 루터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daviderutter/
 
* 제시 에드워즈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jesseledwards/
 
* 제시 에드워즈 링크드인 - https://www.linkedin.com/in/jesseledwards/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