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PEMD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번째 줄: 5번째 줄:
  
 
== 역사 ==
 
== 역사 ==
1992년 EU 프로젝트 RIPE(Race Integrity Primitives Evaluation) 프레임워크에서 [[MD4]] 해시 기능을 기반으로 한 RIPEMD가 설계되었다. 1996년, 기존의 RIPEMD에서 보안적인 취약점이 발견되었고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벨기에]]의 루벤에 위치한 [[뢰벤 카톨릭 대학]](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의 [[코식]](COSIC) 연구 그룹의 [[한스 도버틴]](Hans Dobbertin), [[안톤 보슬라이어스]](Antoon Bosselaers), [[바트 프레닐]](Bart Preenel)이 [[RIPEMD-128]], [[RIPEMD-160]], [[RIPEMD-256]], [[RIPEMD-320]]을 만들었다.
+
1992년 EU 프로젝트 RIPE(Race Integrity Primitives Evaluation) 프레임워크에서 [[MD4]] 해시 기능을 기반으로 한 RIPEMD가 설계되었다. 1996년, 기존의 RIPEMD에서 보안적인 취약점이 발견되었고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벨기에]]의 루벤에 위치한 Katholieke UniversitLeuven의 COSIC 연구 그룹의 Hans Dobbertin, Antoon Bosselaers, Bart Preenel이 [[RIPEMD-128]], [[RIPEMD-160]], [[RIPEMD-256]], [[RIPEMD-320]]을 만들었다.
  
 
== 종류 ==
 
== 종류 ==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