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H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9번째 줄: 29번째 줄:
 
시큐어셸은 공개키 암호방식을 사용한다. 공개키 암호방식은 암호를 걸 때와 풀 때 사용하는 키가 다르기 때문에 비대칭 암호방식이라고도 불린다. 다른 컴퓨터와 통신을 하기 위해 접속을 할 때 기본적으로 [[공개키]]와 [[비밀키]]로 이루어진 한 쌍의 키를 통해 접속하려는 컴퓨터와 인증 과정을 거치게 된다.
 
시큐어셸은 공개키 암호방식을 사용한다. 공개키 암호방식은 암호를 걸 때와 풀 때 사용하는 키가 다르기 때문에 비대칭 암호방식이라고도 불린다. 다른 컴퓨터와 통신을 하기 위해 접속을 할 때 기본적으로 [[공개키]]와 [[비밀키]]로 이루어진 한 쌍의 키를 통해 접속하려는 컴퓨터와 인증 과정을 거치게 된다.
  
*'''공개키'''(Public Key): 단어 뜻 그대로 공개되어도 비교적 안전한 키이며 이 공개키를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암호화를 하게 되지만 비밀키가 없으면 [[복호화]]는 불가능하다.  
+
*'''공개키'''(Public Key) : 단어 뜻 그대로 공개되어도 비교적 안전한 키이며 이 공개키를 통해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암호화를 하게 되지만 [[복호화]]는 불가능하다.  
*'''비밀키'''(Private Key): 암호화된 메시지를 복호화 할 수 있으며 본인의 컴퓨터 내부에 저장하게 되어있다. 비밀키가 유출될 시 공개키가 등록된 서버에 이 키를 이용하여 아무나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유출되지 않게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
*'''비밀키'''(Private Key) : 암호화된 메시지를 복호화 할 수 있으며 본인의 컴퓨터 내부에 저장하게 되어있다. 비밀키가 유출될 시 공개키가 등록된 서버에 이 키를 이용하여 아무나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유출되지 않게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암호화 과정''': 공개키를 통신하고자 하는 컴퓨터에 복사하여 저장한다. 요청을 보낸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서버 컴퓨터에 저장된 공개키와 쌍을 이루는 비밀키와 비교를 하여 서로 한 쌍의 키인지 아닌지를 검사한다. 이렇게 서로 관계를 맺고 있는 키라는 것이 증명이 되면 비로소 두 컴퓨터 사이에 암호화된 채널이 형성이 되어 키를 활용해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며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
*'''암호화 과정''': 공개키를 통신하고자 하는 컴퓨터에 복사하여 저장한다. 요청을 보낸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서버 컴퓨터에 저장된 공개키와 쌍을 이루는 비밀키와 비교를 하여 서로 한 쌍의 키인지 아닌지를 검사한다. 이렇게 서로 관계를 맺고 있는 키라는 것이 증명이되면 비로소 두 컴퓨터 사이에 암호화된 채널이 형성이되어 키를 활용해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며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키 생성====
 
====키 생성====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