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DK 편집하기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아이디(ID)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편집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저장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파일:이시구로 시게나오.jpg|썸네일|200픽셀|'''[[이시구로 시게나오]]'''(石黒成直, いしぐろしげなお) '''TDK Corporation''' 사장]]  
 
[[파일:이시구로 시게나오.jpg|썸네일|200픽셀|'''[[이시구로 시게나오]]'''(石黒成直, いしぐろしげなお) '''TDK Corporation''' 사장]]  
  
'''TDK'''<!--티디케이-->(TDK Corporation)는 자성(磁性) 재료인 [[페라이트]]를 기반으로 소프트 페라이트의 상업화를 목적으로 하는 화학소재 전문기업이다. 1935년 12월 7일 설립되었다. 본사는 일본 [[도쿄]]에 있다. 2021년 3월 통계에 의하면 회사 총자본금은 32,641,976,312엔이고 매출은 1,479억 엔이다. 관련 임직원은 129,284명이고 대표이사 사장은 '''[[이시구로 시게나오]]'''(石黒成直, いしぐろしげなお)이다.
+
'''TDK'''<!--티디케이-->(TDK Corporation)는 1935년 12월 7일 설립되었고 자성(磁性) 재료인 [[페라이트]]를 기반으로 소프트 페라이트의 상업화를 목적으로 하는 화학소재 전문기업이다. 본사는 도쿄에 있고 2021년 3월 통계에 의하면 회사 총자본금은 32,641,976,312엔이고 매출은 1,479억 엔이다. 관련 임직원은 129,284명이고 대표이사 사장은 [[이시구로 시게나오]] (石黒成直, いしぐろしげなお)이다.
  
 
== 개요 ==
 
== 개요 ==
'''TDK'''는 주로 산업용 [[센서]], 산업용 [[커넥터]], 산업용 전력, [[자성]](磁性)제품과 에너지 제품을 취급하고 있다. 1935년에 도쿄공업대학 출신의 카토(加藤, かとう)박사와 타케이(武井, たけい)박사가 꾸린 전기부품을 제조하는 [[벤처기업]]으로 시작하였으며, 회사명 TDK는 T:도쿄(Tokyo), D:전기(Denki), K:화학(Kagaku)의 일본어 발음에서 지어진 것이다. 초창기에는 오디오·비디오 테이프 등 기록매체의 화학소재를 개발하였으나 2007년에 자회사인 이메이션(Imation)사로 모두 업무 이전을 시키고 현재는 특수 화학소재와 차량용 전장(電場)부품과 [[리튬이온배터리]] 등 산업에 집중하고 있다. TDK는 전기차와 차량용 배터리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기술인 [[전고체배터리]]에 세계 최초로 [[세라믹]]을 적용하여 신제품을 개발하였다. [[IoT]] 제품용과 전동 공구용 소형 전고체 배터리는 이미 판매 중이며, 전기차용은 저가화 연구와 양산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
'''TDK'''는 주로 산업용 [[센서]], 산업용 [[커넥터]], 산업용 전력, 자성(磁性)제품과 에너지 제품을 취급하고 있다. 1935년에 도쿄공업대학 출신의 카토(加藤, かとう)박사와 타케이(武井, たけい)박사가 꾸린 전기부품을 제조하는 [[벤처기업]]으로 시작하였으며, 회사명 TDK는 T:도쿄(Tokyo), D:전기(Denki), K:화학(Kagaku)의 일본어 발음에서 지어진 것이다. 초창기에는 오디오·비디오 테이프 등 기록매체의 화학소재를 개발하였으나 후에 자회사인 Imation사로 모두 업무 이전을 시키고 현재는 특수 화학소재와 차량용 전장(電場)부품과 [[리튬이온배터리]] 등 산업에 집중하고 있다. TDK는 전기차와 차량용 배터리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는 기술인 [[전고체배터리]]에 세계 최초로 [[세라믹]]을 적용하여 신제품을 개발하였다. [[IoT]] 제품용과 전동 공구용 소형 전고체 배터리는 이미 판매 중이며, 전기차용은 저가화 연구와 양산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
TDK의 제품군은 다양한데 센서와 센서 시스템 및 전원공급 장치 그리고 세라믹, [[알루미늄]] 전해 및 [[필름 커패시터]], 페라이트 및 [[인덕터]], [[고주파]] 제품, [[피에조]]와 수동형구성  등 제품이 포함된다. 이러한 제품은 TDK, EPCOS, InvenSense, Micronas, Tronics 및 TDK-Lambda 제품 브랜드의 방식으로 시장에 출시되고있다. TDK의 추가 주요 제품군에는 자성(磁性)응용 제품, 에너지장치 및 [[플래시메모리]] 응용 장치가 포함된다. TDK Corporation는 페라이트 관련 전자 부품과 더불어, 과거에는 비디오 테이프, 아날로그 오디오 테이프,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등 각종 미디어도 제조 및 판매하였다. 1980년대 이후에는 광범한 전자 부품, 전자소재, 태양광, 리튬 이온 배터리와 같은 주력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며 해외를 포함한 M&A(기업의 매수와 합병)도 활발히 진행하였다. 해외 매출 비율이 90%를 넘으며, 해외 주주 비율도 40%에 달한다. 일본의 소비자들 인상에는 각종 기록 미디어 브랜드라는 인상이 강하였지만 사실 2007년에 이미 기록 미디어 판매사업을 미국 IMAITION사에 양도했다. 현재 HDD용 헤드 부품 제조 규모로는 일본 최대기업이며 2008년 알프스전기가 동 분야에서 철수하였기에, HDD 제조사 이외에 HDD용 헤드를 제조하는 유일의 제조사가 되었으며 OEM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30%를 넘고 있다. 그 밖에 HDD용 서스펜션, 정밀가공부품 그리고 페라이트와 자석(페라이트 자석, 희토류 자석), 전자 실드시트도 제조 및 판매한다. 특히 산업의 쌀이라 불리는 MLCC(적층세라믹콘덴서)로는 글로벌시장에서 3위를 차지하며 고주파수 모듈 등 통신 부품도 제조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TDK_(%EA%B8%B0%EC%97%85) TDK(기업)]〉, 《위키백과》 </ref>
TDK의 제품군은 다양한데 센서와 센서 시스템 및 전원공급 장치 그리고 세라믹, [[알루미늄]] 전해 및 [[필름 커패시터]], 페라이트 및 [[인덕터]], [[고주파]] 제품, [[피에조]]와 수동형구성  등 제품이 포함된다. 이러한 제품은 TDK, EPCOS, InvenSense, Micronas, Tronics 및 TDK-Lambda 제품 브랜드의 방식으로 시장에 출시되고있다. TDK의 추가 주요 제품군에는 자성(磁性)응용 제품, 에너지장치 및 [[플래시메모리]] 응용 장치가 포함된다. TDK Corporation는 페라이트 관련 전자 부품과 더불어, 과거에는 비디오 테이프, 아날로그 오디오 테이프,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등 각종 미디어도 제조 및 판매하였다. 1980년대 이후에는 광범한 전자 부품, 전자소재, 태양광, 리튬 이온 배터리와 같은 주력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며 해외를 포함한 M&A(기업의 매수와 합병)도 활발히 진행하였다. 해외 매출 비율이 90%를 넘으며, 해외 주주 비율도 40%에 달한다. 일본의 소비자들 인상에는 각종 기록 미디어 브랜드라는 인상이 강하였지만 사실 2007년에 이미 기록 미디어 판매사업을 미국 IMAITION사에 양도했다.  
 
 
 
현재 HDD용 헤드 부품 제조 규모로는 일본 최대기업이며 2008년 알프스전기가 동 분야에서 철수하였기에, HDD 제조사 이외에 HDD용 헤드를 제조하는 유일의 제조사가 되었으며 OEM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30%를 넘고 있다. 그 밖에 HDD용 서스펜션, 정밀가공부품 그리고 페라이트와 자석(페라이트 자석, 희토류 자석), 전자 실드시트도 제조 및 판매한다. 특히 산업의 쌀이라 불리는 [[MLCC]](적층세라믹콘덴서)로는 글로벌시장에서 3위를 차지하며 고주파수 모듈 등 통신 부품도 제조한다.<ref>〈[https://ko.wikipedia.org/wiki/TDK_(%EA%B8%B0%EC%97%85) TDK(기업)]〉, 《위키백과》 </ref>
 
  
 
== 주요 연혁==  
 
== 주요 연혁==  
117번째 줄: 114번째 줄:
 
===TDK 한국===
 
===TDK 한국===
 
* 경기도 평택시에 있는 TDK한국은 1973년 서울에서 창립하여 2011년 평택에서 한국의 제조 거점으로 있으며 전자부품의 기본 소재인 페라이트로 시작하여, 페라이트 코어와 각종 가전 제품용 인덕터, 자동차용 노이즈 필터 등을 생산하고 있다. TDK의 한국투자법인으로 전자산업 필수 소재인 페라이트의 생산을 진행하고 있고 그 후 전자산업발전에 참여해 코일, 콘텐서, 트랜스, 필터 등으로의 생산도 확대해가고 있다.
 
* 경기도 평택시에 있는 TDK한국은 1973년 서울에서 창립하여 2011년 평택에서 한국의 제조 거점으로 있으며 전자부품의 기본 소재인 페라이트로 시작하여, 페라이트 코어와 각종 가전 제품용 인덕터, 자동차용 노이즈 필터 등을 생산하고 있다. TDK의 한국투자법인으로 전자산업 필수 소재인 페라이트의 생산을 진행하고 있고 그 후 전자산업발전에 참여해 코일, 콘텐서, 트랜스, 필터 등으로의 생산도 확대해가고 있다.
 
== TDK와 중국 배터리회사 ATL 및 CATL의 관계 ==
 
* 1999년  [[쩡위췬]](曾毓群, {{발음|zēng yù qún}})이 설립한 ATL은 애플오더의 성공으로 배터리업계의 선두기업으로 발전하였고 둥관(东莞)공장에 이어 닝더(宁德)에도 공장을 지었다. 2005년 TDK이 ATL 100% 주식을 인수하여 자회사로 편입하였다. ATL에서 물러난 뒤 2011년 [[쩡위췬]]은 CATL을 세웠는데 그 주식 15%는 역시 TDK이 소유하였고 배터리 핵심기술 또한 TDK이 제어하고 있었다. 중국 정부의 '배터리생산에 외국계 투자는 금지'라는 협상이 안되는 규정에도 TDK는 정위췬의 또 다른 중국회사 닝보랜촹(宁波联创)을 통해 사실상 회사제어를 계속하는 등 방법을 잘 찾아갔고 ATL 및 CATL과 보이지 않지만 끊을 수 없는 매듭을 지었다. ATL과 CATL의 작은 발전에도 TDK는 큰 발전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2021년에 [[ATL]]은 중국 최대 배터리 업체인 [[CATL]]과 2조 원 규모의 투자 합작 계획을 발표했으며 저장용 에너지 장치·전기자전거·전기스쿠터 등에 탑재할 중형 배터리의 [[배터리셀]]과 배터리팩 연구·개발·생산 및 판매인 것으로 알려졌다.<ref>양지혜 기자, 〈[https://cmobile.g-enews.com/view.php?ud=20210429142324685c4c1a19e2e_1&md=20210429144256_R 中 최대 배터리업체 CATL, ATL과 2조원 투자 합작 회사 2개 설립]〉, 《코노믹》, 2021-04-29</ref>
 
 
* TDK는 2021년 4월 28일, 중국 CATL과 합자회사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합자회사는 일본 TDK의 배터리 제어소재와 이를 제어하는 기술과 중국 CATL의 배터리 제작기술을 두 회사가 서로 상호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다만, 초기는 중국 전기 오토바이용 배터리 생산에 제한하여 사업을 진행하고, 차차 범위를 확대해 나간다.
 
  
 
== 동영상 ==  
 
== 동영상 ==  
143번째 줄: 133번째 줄:
 
* 오소영 기자,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23691  日 TDK, 中 배터리 패키징 업체와 합작사 협의 중단]〉, 《더구루》, 2021-08-01
 
* 오소영 기자, 〈[https://www.theguru.co.kr/mobile/article.html?no=23691  日 TDK, 中 배터리 패키징 업체와 합작사 협의 중단]〉, 《더구루》, 2021-08-01
 
* 〈[https://www.sakigake.jp/news/article/20210605AK0020/ 小型で安全、長寿命TDKが次世代「全固体電池」量産化]〉, 《秋田魁新報》, 2021-06-05
 
* 〈[https://www.sakigake.jp/news/article/20210605AK0020/ 小型で安全、長寿命TDKが次世代「全固体電池」量産化]〉, 《秋田魁新報》, 2021-06-05
* 양지혜 기자, 〈[https://cmobile.g-enews.com/view.php?ud=20210429142324685c4c1a19e2e_1&md=20210429144256_R 中 최대 배터리업체 CATL, ATL과 2조원 투자 합작 회사 2개 설립]〉, 《코노믹》, 2021-04-29
 
 
* 조성영, 〈[https://www.be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5381 日 전자 기업, '탈탄소' 관련 부품 증산에 적극 투자]〉, 《비아이뉴스》, 2021-01-19
 
* 조성영, 〈[https://www.bei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5381 日 전자 기업, '탈탄소' 관련 부품 증산에 적극 투자]〉, 《비아이뉴스》, 2021-01-19
 
* 윤희석 기자, 〈[https://m.etnews.com/20201127000095  日 TDK, 이차전지에 200억엔 추가 투자...'LG화학 원통형과 경쟁']〉, 《전자신문》, 2020-11-29
 
* 윤희석 기자, 〈[https://m.etnews.com/20201127000095  日 TDK, 이차전지에 200억엔 추가 투자...'LG화학 원통형과 경쟁']〉, 《전자신문》, 2020-11-29
153번째 줄: 142번째 줄: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 [[펄라이트]]
 
* [[페라이트 코어]]
 
* [[페라이트 코어]]
 
* [[초크 코일]]
 
* [[초크 코일]]
159번째 줄: 149번째 줄:
 
* [[ATL]]
 
* [[ATL]]
  
 +
{{로고 수정 필요}}
 
{{배터리 회사|검토 필요}}
 
{{배터리 회사|검토 필요}}

해시넷에서의 모든 기여는 다른 기여자가 편집, 수정, 삭제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시넷:저작권 문서를 보세요).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