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간단한 비잔틴 장애 허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자료)
7번째 줄: 7번째 줄:
 
==참고자료==
 
==참고자료==
 
* 〈[https://research.vmware.com/publications/sbft-a-scalable-decentralized-trust-infrastructure-for-blockchains SBFT: a Scalable Decentralized Trust Infrastructure for Blockchains]〉, 《VMware Research》, 2018-04
 
* 〈[https://research.vmware.com/publications/sbft-a-scalable-decentralized-trust-infrastructure-for-blockchains SBFT: a Scalable Decentralized Trust Infrastructure for Blockchains]〉, 《VMware Research》, 2018-04
 +
* Ittai Abraham, 〈[https://ittaiab.github.io/2019-06-23-what-is-the-difference-between/?utm_campaign=Cosmology&utm_medium=email&utm_source=Revue%20newsletter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PBFT, Tendermint, SBFT and HotStuff ?]〉, 《GitHub》, 2019-06-23
 +
 
==같이보기==
 
==같이보기==
  
 
{{합의 알고리즘|토막글}}
 
{{합의 알고리즘|토막글}}

2019년 9월 3일 (화) 14:38 판

간단한 비잔틴 장애 허용(SBFT; Simplified Byzantine Fault Tolerance)이란 더 나은 확장성과 최상의 대기 시간을 위해 PBFT를 기반으로 하는 BFT 시스템으로 확장성과 분산성의 과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비잔틴 내결함성 알고리즘을 구현한다. 20개 미만의 복제본을 중심으로 중앙집중화된 경우에만 잘 수행되었던 많은 이전 BFT 시스템과 달리, SBFT는 분산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100개 이상의 활성 복제본을 쉽게 처리할 수 있다. SBFT는 이더리움(ethereum)의 EVM 바이트 코드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계약 실행 환결을 제공한다.

개요

각주

참고자료

같이보기

  의견.png 이 간단한 비잔틴 장애 허용 문서는 합의 알고리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