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합성곱 신경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역사)
(기원)
11번째 줄: 11번째 줄:
  
 
== 기원 ==  
 
== 기원 ==  
1958년에서 1959년, 데이비드 H. 허벨(David H. Hubel)과 토스텐 위젤(Torsten Wiesel)은 시각 피질의 구조에 대한 결정적인 힌트를 얻은 고양이 실험을 진행했다. 이들은 이 실험을 통해 시각 피질 안에 있는 수 많은 [[뉴련]]이 작은 국부 수용 영역(local receptive field)을 갖고 있다는 것을 화긴했다. 이는 뉴런이 시야에 들어온 일부 범위 안에 들어온 시각 자극에만 반응한다는 뜻이다. 뉴련의 수용 영역은 서로 겹칠 수 있으며, 이렇게 서로 겹친 수용 영역이 어루어져 전체 시야가 이루어진다. 또한 어떤 뉴런은 수직선의 이미지에만 반응하고, 어떤 뉴런은 특정 각도의 선에만 반응하는 반면에 어떤 뉴런은 넓은 수용 영역을 가진 데 반해 저수준의 패턴이 합친 복잡한 패턴(글귀 사물 등)에 반응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렇나 관찰을 통해 허벨과 위젤은 높은 수준을 갖춘 뉴런이 바로 옆에 있는 낮은 수준을 가진 뉴런의 출력에 기반한다는 아이디어를 고안했다. 이 아이디어가 바로 지금의 합성곱 신경망으로 발전해 온 것이다 .
+
1958년에서 1959년, 데이비드 H. 허벨(David H. Hubel)과 토스텐 위젤(Torsten Wiesel)은 시각 피질의 구조에 대한 결정적인 힌트를 얻은 고양이 실험을 진행했다. 이들은 이 실험을 통해 시각 피질 안에 있는 수 많은 [[뉴련]]이 작은 국부 수용 영역(local receptive field)을 갖고 있다는 것을 화긴했다. 이는 뉴런이 시야에 들어온 일부 범위 안에 들어온 시각 자극에만 반응한다는 뜻이다. 뉴련의 수용 영역은 서로 겹칠 수 있으며, 이렇게 서로 겹친 수용 영역이 어루어져 전체 시야가 이루어진다. 또한 어떤 뉴런은 수직선의 이미지에만 반응하고, 어떤 뉴런은 특정 각도의 선에만 반응하는 반면에 어떤 뉴런은 넓은 수용 영역을 가진 데 반해 저수준의 패턴이 합친 복잡한 패턴(글귀 사물 등)에 반응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렇나 관찰을 통해 허벨과 위젤은 높은 수준을 갖춘 뉴런이 바로 옆에 있는 낮은 수준을 가진 뉴런의 출력에 기반한다는 아이디어를 고안했다. 이 아이디어가 바로 지금의 합성곱 신경망으로 발전해 온 것이다. 이후 1998년에 발표 된 문서 '사물 인식에 적용하는 그라디언트 기반 학습'(LeCun et al., 1998) 논문에서 손글씨 숫자를 인식하는 데 사용한 LenNet-5르 소개하면서 합성곱 신경망이 이 세상에 등장하게 되었다.
  
 
== 특징 ==  
 
== 특징 ==  

2019년 9월 19일 (목) 11:15 판

합성곱 신경망(CNN)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은 합성곱(Convolution) 연산을 사용하는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중의 하나이다. 또한 컨볼루션 신경망이라고도 부른다. 합성곱을 사용하면 3차원 데이터의 공간적인 정보를 유지한 채 다음 레이어로 보낼 수 있다. 대표적인 합성곱 신경망으로는 LeNet(1998)과 AlexNet(2012)가 있으며, VGG, GoodLeNet, ResNet 등은 더 깊은 층을 쌓은 합성곱 신경만 기반의 심층신경망(Depp Neural Network, DNN)이다.[1]

개요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은 컴퓨터 과학의 일종으로 시각적 이미지를 분석하는 데 쓰이는 인공 신경망의 한 종류이다.[2] 합성곱 신경망은 특히 음성 인식이나 사물 이미지 인식에서 주료 사용한다. 이 신경망은 다차원 배열 데이터를 처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컬러 이미지와 같은 다차원 배열 처리에 특화 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신경망은 이미지 데이터를 그대로 처리하는 데 반해 합성곱 신경망은 이미지에서 특징을 추출해 처리한다.[3] 그렇기 때문에 이미지 인식 분야에서 딥러닝을 활용한 기법은 대부분 합성곱 신경망을 기초로 만들어졌다. [4]

필터의 종류와 기능

또한 합성곱 신경망은 필터링 기법을 인공 신경망에 적용하여 이미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컨볼루션 네트워크(LeCun , 1989)에서 처음 소개 되었다. 시간이 지나 효율적인 받침대 이론(LeCun et al., 1998 -: 최적의 학습률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2차 파생물 및 기타 잡화를 역전파하는 방법 등 역전파를 통해 신경망을 효율적으로 훈련시키기 위한 모든 이론을 뜻한다.)이 현재 딥 러닝에서 이용되고 있는 형태의 합성곱 신경망을 제안했다. 기존의 필터링 기법은 옆에 첨부한 그림과 같이 고정된 필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처리했다. 그러나 합성곱 신경망의 기본 개념은 "행렬로 표현된 필터의 각 요소가 데이터 처리에 적합하도록 자동으로 학습되게 하자"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미지를 분류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할 때 필터링 기법을 이용하면 분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한 가지 문제점은 사람의 직관이나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알고리즘에 이용될 필터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하면, 알고리즘은 이미지 분류 정확도를 최대화하는 필터를 자동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5]

기원

1958년에서 1959년, 데이비드 H. 허벨(David H. Hubel)과 토스텐 위젤(Torsten Wiesel)은 시각 피질의 구조에 대한 결정적인 힌트를 얻은 고양이 실험을 진행했다. 이들은 이 실험을 통해 시각 피질 안에 있는 수 많은 뉴련이 작은 국부 수용 영역(local receptive field)을 갖고 있다는 것을 화긴했다. 이는 뉴런이 시야에 들어온 일부 범위 안에 들어온 시각 자극에만 반응한다는 뜻이다. 뉴련의 수용 영역은 서로 겹칠 수 있으며, 이렇게 서로 겹친 수용 영역이 어루어져 전체 시야가 이루어진다. 또한 어떤 뉴런은 수직선의 이미지에만 반응하고, 어떤 뉴런은 특정 각도의 선에만 반응하는 반면에 어떤 뉴런은 넓은 수용 영역을 가진 데 반해 저수준의 패턴이 합친 복잡한 패턴(글귀 사물 등)에 반응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렇나 관찰을 통해 허벨과 위젤은 높은 수준을 갖춘 뉴런이 바로 옆에 있는 낮은 수준을 가진 뉴런의 출력에 기반한다는 아이디어를 고안했다. 이 아이디어가 바로 지금의 합성곱 신경망으로 발전해 온 것이다. 이후 1998년에 발표 된 문서 '사물 인식에 적용하는 그라디언트 기반 학습'(LeCun et al., 1998) 논문에서 손글씨 숫자를 인식하는 데 사용한 LenNet-5르 소개하면서 합성곱 신경망이 이 세상에 등장하게 되었다.

특징

합성공 신경망의 구조

기존 신경망 구조

첨부된 그림과 같이 기존 신경망은 서로 인접해 있는 계층의 모든 뉴련이 결합 되어 있는 완전연결(fully-connected) 상태로, 아핀(Affine)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기존 신경망은 아핀으로 명시된 완전연결 연산과 ReLU(Rectified Linear Unit, ReLU) 함수와 같은 비선형 활성 함수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계층을 여러 개 쌓은 구조이다.

기존 신경망 구조

합성곱 신경망은 기존 신경망에 합성곱 계층(Conv)와 풀링 계층(Pooling, 풀링 계층은 생략할 수 있다)을 완전연결한 계층 이전에 추가하여 원본 이미지에 필터링 기법을 적용한다. 이어 해당 이미지에 분류 연산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면 합성곱 계층은 이미지에 필터링 기법을 적용하고, 풀링 계층은 각 이미지의 국소적인 부분을 하나의 대표적인 스칼라 값으로 변환하여 이미지 크기를 줄이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합성곱 신경망의 또 다른 특징은 합성곱 계층과 풀링 계층을 추가해도 출력과 가까운 층에는 계속해서 사용한 'Affine-ReLU' 계층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마지막 계층에서는 'Affine-Softmax' 조합을 그대로 사용한다. 이것이 일반적인 합성곱 신경망의 구성이다.

각주

  1. 박희경,〈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Chapter7. 합성공 신경망(CNN)〉, 《모두의 연구소 DeepLap》
  2. 합성공 신경망〉, 《위키백과》
  3. 김콜리, 〈#6-(1) 합성곱 신경망(CNN) : 소개 및 구조〉, 《'브콜리의 집' 티스토리 블로그》, 2018-03-16
  4. 합성곱신경망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Practical Understanding of Data& Dex' 티스토리 블로그》, 2017-06-02
  5. 불, 〈[머신 러닝/딥 러닝 합성곱 신경망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과 학습 알고리즘]]〉, 《'Untitled' 티스토리 블로그》, 2019-02-16

동영상

참고자료

같이 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합성곱 신경망 문서는 알고리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