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제천시'''<!--제천시-->(堤川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북동부의 시이다. 1980년 제천읍이 제천시로 승격되었고, 1995년 제천군(옛 제원...)
 
잔글 (같이 보기)
65번째 줄: 65번째 줄:
 
* [[충주시]]
 
* [[충주시]]
  
{{도시|검토 필요}}
+
{{행정구역|검토 필요}}

2022년 4월 21일 (목) 00:54 판

제천시(堤川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북동부의 시이다. 1980년 제천읍이 제천시로 승격되었고, 1995년 제천군(옛 제원군)을 통합하여 도농복합시가 되었다. 중앙선, 충북선, 태백선 철도가 연결되어 예로부터 교통의 메카였다. 명소로는 의림지, 충주호가 있고, 시의 남쪽으로 경상북도 문경시와의 경계에는 월악산(1,094m)이 있다. 시청 소재지는 천남동이고, 행정구역은 1읍 7면 9동이다. 충청북도 북부출장소가 설치되어 있다.

개요

  • 행정 단위: 대한민국 충청북도 도시
  • 면적: 883.17km²
  • 인구: 133,018명 (2020년)
  • 시청 소재지: 제천시 내토로 295 (천남동 12-2)
  • 시장: 이상천(더불어민주당)
  • 정부 공식 홈페이지: https://www.jecheon.go.kr/www/index.do

지도

역사

이 지역에서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구석기시대부터이다. 송학면 포전리 점말동굴과 도화리 고인돌, 봉양읍 학산리 고인돌, 청풍면 황석리 고인돌 등을 통해 이 같은 주장이 뒷받침된다. 특히 송학면 포전리 점말동굴은 남한지역에서 최초로 확인된 구석기 유적으로 큰 역사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 1106년 감무(監務)를 두었다.
  • 1460년 제천현(堤川縣)을 설치하고 현감(縣監)을 두었다. 이웃한 청풍 지역은 청풍군(淸風郡)이 되었다.
  • 1660년 청풍군이 청풍도호부(淸風都護府)로 승격되었다. (현종비 명성왕후 김씨의 관향)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제천현이 제천군(堤川郡)으로 승격되고, 청풍도호부가 청풍군으로 환원되어, 충주부 제천군, 청풍군이 되었다.
  • 1896년 8월 4일 충청북도 제천군, 청풍군으로 개편하였다.
  • 1914년 4월 1일 청풍군이 제천군에 편입되었다.
  • 1940년 11월 1일 제천면을 제천읍으로 승격하였다. (1읍 8면)
  • 1980년 4월 1일 제천군 제천읍이 제천시로 승격되고, 제천군이 제원군(堤原郡)으로 개칭되었다.
  • 1983년 2월 15일 제원군 금성면 명지리, 강제리, 산곡리와 봉양면 천남리, 왕암리, 신리가 제천시에 편입되었다.
  • 1987년 1월 1일 단양군 어상천면 자작리가 제천시에 편입되었다.
  • 1989년 1월 1일 제원군 금성면 대랑리를 제천시로 편입하였다.
  • 1991년 1월 1일 제원군을 제천군으로 명칭을 환원하였다.
  • 1995년 1월 1일 제천시 일원과 제천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제천시가 설치되었다. 봉양면이 봉양읍으로 승격되었다. (1읍 7면 13동)
  • 1998년 9월 25일 제천시 일부 동이 통폐합되었다. (1읍 7면 9동)
  • 2003년 7월 7일 제천시 일부 동이 신설 혹은 통폐합되었다. (1읍 7면 9동)
  • 2011년 1월 1일 제천시 일부 동의 명칭을 변경하였다. (1읍 7면 9동)[14]
  • 2017년 1월 1일 제천시 일부 동의 명칭을 변경하였다. (1읍 7면 9동)[15]

지리

제천시는 충청북도의 북동부, 차령산맥소백산맥의 중간에 위치한다. 동쪽은 단양군, 서측은 충주시, 남측은 문경시, 북측은 원주시·영월군과 접해 있다. 남측과 서측은 화강암지대이나 북동측은 석회암지대로 주요 시멘트 생산 지역 중 하나이다.

행정 구역

제천시의 행정 구역은 1읍 7면 9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 봉양읍(鳳陽邑)
  • 금성면(錦城面)
  • 청풍면(淸風面)
  • 수산면(水山面)
  • 덕산면(德山面)
  • 한수면(寒水面)
  • 백운면(白雲面)
  • 송학면(松鶴面
  • 교동 (장락동)(校洞)
  • 의림지동(義林池洞)
  • 중앙동(中央洞)
  • 남현동(南峴洞)
  • 영서동(榮西洞)
  • 용두동(龍頭洞)
  • 신백동(新百洞)
  • 청전동(靑田洞)
  • 화산동(花山洞)

참고자료

같이 보기

  1. 넘겨주기 틀:한국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