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체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1번째 줄: 1번째 줄:
 
'''사이드체인'''(sidechain)은 [[플랫폼]] 코인에 해당하는 [[이더리움]], [[넴]], [[스트라티스]], [[리스크]], [[엘프]], [[에이치닥]] 등의 메인체인 옆에 나란히 붙어서 작동하는 체인을 말한다.<ref>유성민 칼럼니스트, 〈[http://www.sciencetimes.co.kr/?news=%EB%8C%80%EC%95%88-%EC%B2%B4%EC%9D%B8%EA%B3%BC-%EC%82%AC%EC%9D%B4%EB%93%9C-%EC%B2%B4%EC%9D%B8%EC%9D%80-%EB%AD%98%EA%B9%8C 대안 체인과 사이드 체인은 뭘까]〉, 《사이언스타임즈》, 2018-03-20</ref> 사이드체인만의 독립된 노드를 구성하지 않고, 기존 메인체인의 노드에 사이드체인의 노드가 추가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사이드체인'''(sidechain)은 [[플랫폼]] 코인에 해당하는 [[이더리움]], [[넴]], [[스트라티스]], [[리스크]], [[엘프]], [[에이치닥]] 등의 메인체인 옆에 나란히 붙어서 작동하는 체인을 말한다.<ref>유성민 칼럼니스트, 〈[http://www.sciencetimes.co.kr/?news=%EB%8C%80%EC%95%88-%EC%B2%B4%EC%9D%B8%EA%B3%BC-%EC%82%AC%EC%9D%B4%EB%93%9C-%EC%B2%B4%EC%9D%B8%EC%9D%80-%EB%AD%98%EA%B9%8C 대안 체인과 사이드 체인은 뭘까]〉, 《사이언스타임즈》, 2018-03-20</ref> 사이드체인만의 독립된 노드를 구성하지 않고, 기존 메인체인의 노드에 사이드체인의 노드가 추가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위에 각 기업별, 기관별, 서비스별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때 퍼블릭 블록체인 위에서 작동하는 개별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사이드체인(side chain)이라고 한다.
+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위에 각 기업별, 기관별, 서비스별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때 퍼블릭 블록체인 위에서 작동하는 개별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사이드체인(sidechain)이라고 한다.
  
 
{{각주}}
 
{{각주}}

2018년 8월 2일 (목) 01:55 판

사이드체인(sidechain)은 플랫폼 코인에 해당하는 이더리움, , 스트라티스, 리스크, 엘프, 에이치닥 등의 메인체인 옆에 나란히 붙어서 작동하는 체인을 말한다.[1] 사이드체인만의 독립된 노드를 구성하지 않고, 기존 메인체인의 노드에 사이드체인의 노드가 추가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위에 각 기업별, 기관별, 서비스별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때 퍼블릭 블록체인 위에서 작동하는 개별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사이드체인(sidechain)이라고 한다.

각주

  1. 유성민 칼럼니스트, 〈대안 체인과 사이드 체인은 뭘까〉, 《사이언스타임즈》, 2018-03-20

참고자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