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서재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주요활동)
잔글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디코인 거래소 글자.png|썸네일|300픽셀|'''[[디코인]]'''(Dcoin) 거래소]]
 
[[파일:디코인 거래소 글자.png|썸네일|300픽셀|'''[[디코인]]'''(Dcoin) 거래소]]
  
'''서재원'''은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인 '''[[디코인]]'''(Dcoin)의 한국 대표이다.
+
'''서재원'''은 중국 CMGE, [[액토즈소프트]] 등  게임업계에서 종사하였으며, 블록체인 산업으로 전직하여 '''[[디코인]]'''의 한국 대표를 역임하였었다. 그리고 현재는 블록체인 전문 컨설팅 업체인 [[다복스테크놀러지]]의 대표를 맡고 있다.  
  
==주요활동==
+
==주요 활동==
===디코인===
+
=== 디코인 ===
디코인은 글로벌 최초 금융권 수준의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등 블록체인 자산의 코인간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고, "글로벌 최초 금융권 수준 암호화폐 거래소”를 모토로 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거래환경을 마련해 글로벌 혁신 기술구조를 도입했다. 이 기술은 [[구글]] [[클라우드]]와 아마존 AWS에 기반하여 [[디도스]](DDOS)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고 동적 데이터(Dymamic Data)와 정적 데이터(Static Data)분리, 핫스팟데이터저장등 을 지원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최적화를 통해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에러와 문제점을 방지한다. 스위스에서 설립되어, 코인마켓캡 조정된 거래량 기준 30위권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국에 지사를 두고 최근 다수 유망한 알트코인의 최초 단독 런칭을 진행하며 관심 받고 있는 거래소이다.  
+
[[디코인]](Dcoin)은 암호자산 및 파생상품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금융권 수준의 디지털자산 거래소'를 목표로, 스위스 [[핀마]](FINMA) 라이선스 승인을 추진 중이다. 스위스 [[추크]]에 본사를 두고 있고, 비즈니스 센터는 한국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주요 투자자와 개발자는 중국인들이 포함되어 있다. 디코인 거래소는 2018년 8월 21일 오픈 당시  "첫달 거래 수수료 면제 행사" 및 "백만 [[USDT]] 에어드랍 프로젝트"를 실행하여 사용자들에게 최대 120개의 [[USDT]]를 보너스로 획득할 수 있는 복지를 제공함으로써 블록체인 업계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ref name="天极网">Yesky, 〈[http://cloud.yesky.com/info/460/1657455460.shtml 狂撒百万USDT空投糖果 Dcoin创世公测版今日上线]〉, 《天极网》, 2018-08-21</ref>
  
*ARM토큰
+
디코인은 '글로벌 최초 금융권 수준 암호화폐 거래소'를 모토로 하여 고객에게 안전하고 신속한 거래환경을 마련해 드리고자 글로벌 혁신 기술구조가 도입되어 있다. 해당 기술은 구글 클라우드와 [[아마존 웹서비스]](AWS)에 기반하여 [[디도스]](DDoS)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고 동적데이터(dynamic dada)와 정적데이터(static data) 분리, 핫스팟데이터 저장, 원격 재해복구(DR; disaster recovery), Parallel Extension을 지원함과 동시에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최적화를 통해 자주 발생할 있는 에러와 문제점을 방지한다.<ref name="디코인">Dcoin, 〈[https://support.dcoin.com/hc/ko/articles/360004562492-Dcoin-%EC%86%8C%EA%B0%9C Dcoin 소개]〉, 《디코인》, 2019-04-04</ref> 디코인 거래소는 언제나 누구나 참여할 있고 투명하며 공유 가능한 블록체인 가치를 선도한다. 고객 권익보호 차원에서 상장코인에 대하여 보다 엄격한 심사를 거칠 것이며 자산발행사와 협약하여 더욱 가치있는 디지털자산 투자제품을 창출한다.
: ARM은 세계 최초의 블록체인 보안 생태계를 구축하는 코인으로 주로 블록체인 보안 생태계를 구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ARM 코인을 보유한 일반 유저는 지갑 모니터링 및 도난 경보를 받을 수 있다. 프로젝트 팀, 거래소 및 DAPP는 ARM 코인을 사용하여 보안 서비스 비용 지불이 가능하며, 개발자 및 마이너들은 자신의 모니터링 프로그램 작성 능력 및 해시레이트를 제공하여 ARM 코인을 얻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ref> Dcoin Official〈[https://blog.naver.com/d-coin/221504216625 Dcoin, 첫 사전거래(Pre-trading) ARM토큰 출시
 
]〉, 《네이버 블로그》,2019-04-03 </ref>
 
 
 
*테나코인
 
: 9월 9일 [[테나 코인]](TENA COIN)을 글로벌 상장하며 거래를 개시하였다. [[서재원]]대표는 "테나 코인은 전국 주요 편의점 등 수 많은 오프라인에서 결제 가능한 고페이 앱에서 통용되는 코인으로 이미 실생활에 사용 가능한 검증된 블록체인 프로젝트이고, 출시 이후 매우 유의미한 발전을 거듭 진행하는 테나 코인(TENA)의 디코인 상장을 통해서, 한국의 대표 결제앱인 [[고페이]][[테나]]를 알리는 계기가 될수 있을것 같다"고 기대를 드러냈다.<ref> 조필영기자〈[http://newsbrite.net/126163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디코인', 테나(TENA) 코인 9월 9일 글로벌 상장]〉, 《NewsBrite》, 2019-09-06 </ref>
 
 
 
*네모랩
 
: 글로벌 시장에서 뛰어난 보안기술과 인프라 능력을 인정받고 있는 [[디코인]](대표 서재원)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P2P]] 데이터/콘텐츠 거래 플랫폼 [[네모닥X]]를 개발중인 네모랩과 네모닥의 글로벌 마케팅 파트너 계약을 체결했다. 디코인 코리아 서재원 대표는 지난 4월 한국 프로젝트 토큰의 [[IEO]]를 진행해 완판시켰다. 두번째 한국프로젝트인 네모랩과도 좋은 결과가 있을것이라 말하며, 글로벌에서 더 좋은 성과를 낼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할 예정이라 밝혔다.<ref>〈[https://www.tokenpost.kr/article-9070 네모랩 디코인과 네모닥 글로벌 마케팅 파트너 협약 체결]〉, 《TOKENPOST》, 2019-05-03 </ref>
 
 
 
*조로
 
: [[조로]](ZORO)는 네오(NEO) 개발자 커뮤니티의 넬(NEL)에서 인큐베이팅을 받고 NGC펀드의 투자를 유치한 네오의 첫 게임 생태계 프로젝트이다.<ref>빵꼴라,〈[https://blog.naver.com/cor2738/221614908999 조로 (ZORO) 코인]〉, 《네이버 블로그》,2019-08-13 </ref> 디코인은 조로와 전력적 파트너십 관계를 구축하고, 디코인 거래소인 USDT마켓에 조로토큰을 상장할 예정이라 밝혔다. 또한 디코인 업체 관계자는 디코인 거래소는 한국에 지사를 두고 한국에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저력을 바탕으로 조로 프로젝트 한국에서 성장 할 있도록 동반자가 될 것임을 알렸다.<ref> 온라인뉴스팀,〈[http://www.etnews.com/20190806000040?m=1 Zoro, Dcoin과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통해 한국 시장 진출]〉, 《전자신문 etnews》, 2019-08-06 </ref>
 
  
 
{{각주}}
 
{{각주}}
34번째 줄: 23번째 줄:
 
* [[정웅모]]
 
* [[정웅모]]
  
 +
{{인물사진 필요}}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자|토막글}}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자|토막글}}

2022년 6월 21일 (화) 22:30 기준 최신판

디코인(Dcoin) 거래소

서재원은 중국 CMGE, 액토즈소프트 등 게임업계에서 종사하였으며, 블록체인 산업으로 전직하여 디코인의 한국 대표를 역임하였었다. 그리고 현재는 블록체인 전문 컨설팅 업체인 다복스테크놀러지의 대표를 맡고 있다.

주요 활동[편집]

디코인[편집]

디코인(Dcoin)은 암호자산 및 파생상품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금융권 수준의 디지털자산 거래소'를 목표로, 스위스 핀마(FINMA) 라이선스 승인을 추진 중이다. 스위스 추크에 본사를 두고 있고, 비즈니스 센터는 한국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주요 투자자와 개발자는 중국인들이 포함되어 있다. 디코인 거래소는 2018년 8월 21일 오픈 당시 "첫달 거래 수수료 면제 행사" 및 "백만 USDT 에어드랍 프로젝트"를 실행하여 사용자들에게 최대 120개의 USDT를 보너스로 획득할 수 있는 복지를 제공함으로써 블록체인 업계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1]

디코인은 '글로벌 최초 금융권 수준 암호화폐 거래소'를 모토로 하여 고객에게 안전하고 신속한 거래환경을 마련해 드리고자 글로벌 혁신 기술구조가 도입되어 있다. 해당 기술은 구글 클라우드와 아마존 웹서비스(AWS)에 기반하여 디도스(DDoS)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고 동적데이터(dynamic dada)와 정적데이터(static data) 분리, 핫스팟데이터 저장, 원격 재해복구(DR; disaster recovery), Parallel Extension을 지원함과 동시에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최적화를 통해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에러와 문제점을 방지한다.[2] 디코인 거래소는 언제나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투명하며 공유 가능한 블록체인 가치를 선도한다. 고객 권익보호 차원에서 상장코인에 대하여 보다 엄격한 심사를 거칠 것이며 자산발행사와 협약하여 더욱 가치있는 디지털자산 투자제품을 창출한다.

각주[편집]

  1. Yesky, 〈狂撒百万USDT空投糖果 Dcoin创世公测版今日上线〉, 《天极网》, 2018-08-21
  2. Dcoin, 〈Dcoin 소개〉, 《디코인》, 2019-04-04

참고자료[편집]

같이 보기[편집]


  질문.png 이 문서는 인물사진이 필요합니다.  

  의견.png 이 서재원 문서는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