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리라2알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리라2알이'''(Lyra2RE)는 버트코인팀이 Scrypt-N 알고리즘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암호화폐를 위한 해싱 알고리즘이다. 목표는 VTC...)
 
1번째 줄: 1번째 줄:
'''리라2알이'''(Lyra2RE)는 [[버트코인]]팀이 Scrypt-N 알고리즘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암호화폐]]를 위한 해싱 [[알고리즘]]이다. 목표는 VTC 토큰 채굴의 전기 소비량을 줄이고, [[에이식]] 채굴보다 코인이 앞서도록 하는 것이었다.
+
'''리라2알이'''(Lyra2RE)는 [[버트코인]]팀이 Scrypt-N 알고리즘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암호화폐]]를 위한 해싱 [[알고리즘]]이다. 목표는 VTC 토큰 채굴의 전기 소비량을 줄이고, [[에이식]] 채굴보다 코인이 앞서도록 하는 것이었다. 리라2알이가 적용된 화폐로는 [[버트코인]], [[모나코인]] 등이 있다.
  
 
== 개요 ==
 
== 개요 ==
  
리라2알이는 향후 에이식 위협을 차단하는데 유용한 사용자 정의 가능한 매개변수를 갖춘 [[니스트5]] 기반 체인 알고리즘이다. [[작업증명]] 알고리즘으로, 이름의 RE는 Reduced Efficiency의 약자이다. 실제로, 리라2알이는 Scrypt-N과 비교했을 때 최대 30% 적은 전력을 소비하고 [[X11]] 알고리즘보다 17% 적으며 부팅할 때 GPU 온도가 낮다. 이는 버트코인을 채굴하기 위한 엄청난 동기부여가 되었고, 버트코인을 더 효율적으로 만들자는 커뮤니티의 요구에 직접적으로 응하였다. 리라2알이를 사용하면 버트코인 개발자들이 메모리 사용량과 시간 비용을 독립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해준다.
+
리라2알이는 향후 에이식 위협을 차단하는데 유용한 사용자 정의 가능한 매개변수를 갖춘 [[니스트5]] 기반 체인 알고리즘이다. [[작업증명]] 알고리즘으로, 이름의 RE는 Reduced Efficiency의 약자이다. 실제로, 리라2알이는 Scrypt-N과 비교했을 때 최대 30% 적은 전력을 소비하고 [[X11]] 알고리즘보다 17% 적으며 부팅할 때 [[GPU]] 온도가 낮다. 이는 버트코인을 채굴하기 위한 엄청난 동기부여가 되었고, 버트코인을 더 효율적으로 만들자는 커뮤니티의 요구에 직접적으로 응하였다. 리라2알이를 사용하면 버트코인 개발자들이 메모리 사용량과 시간 비용을 독립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해준다.  
  
 
== 특징 ==
 
== 특징 ==
  
리라2알이는 [[키캑]], [[스케인]], [[그로스톨]], [[블레이크]] 및 [[리라2]]의 다섯가지 해시 함수로 구성된 체인화 알고리즘이다.
+
* 리라2알이는 [[키캑]], [[스케인]], [[그로스톨]], [[블레이크]] 및 [[리라2]]의 다섯가지 해시 함수로 구성된 체인화 알고리즘이다. Scrypt-N과 리라2알이의 가장 큰 차이점은 리라2알이가 현재 "N 스케줄"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N 스케줄"을 구현하는것이 필요할 경우, 리라2는 유연성을 제공하게 된다.
 +
* 리라2알이 알고리즘은 연쇄 특성으로 인해 GPU 채굴자들이 근본적으로 최적화하기가 힘들어서 전력 소모 및 발열을 줄일 수 있다.
 +
* 알고리즘을 모두 변경하지 않고 알고리즘 매개 변수를 변경하는 기능 덕분에 미래의 채굴자들의 혼란을 줄이는 동시에 에이식에 대한 내성을 목표로 한다. 또한 에이식 위협이 발생할 때마다 새로운 알고리즘을 지속적으로 구현하는 것에 대해 걱정할 필요없이 새로운 기능에 집중할 수 있는 개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
== 활용 ==
 +
 +
=== 버트코인 ===
 +
 +
2014년에 출시된 [[버트코인]]은 탈중앙화된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만든 [[암호화폐]]이다. [[비트코인]]이나 [[라이트코인]]과 마찬가지로 [[작업증명]](PoW)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버트코인은 다양한 암호화폐들이 사용하고 있는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는 [[LIT]] 기술을 적용하였다. 미국 [[MIT]] 학부생 연구원인 [[제임스 러브조이]]가 개발했다.
 +
 +
버트코인 플랫폼은 [[에이식]]에 내성을 가지고 있어, 에이식 하드웨어로 인해 비트코인에서 발생하는 채굴의 중앙집중화 현상이 나타날 수 없다. 즉, 버트코인은 중앙은행과 채굴 하드웨어 제조사들의 통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만들어진 코인이다. 개개인이 고유한 은행을 소유하는 것을 목표로 중앙은행 및 금융금리, 수수료 등에서 벗어나 개인 간의 거래 활성화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버트코인 채굴자들에게 쉬운 채굴과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므로 개인 간 이체, 교환 시 이체 수수료는 모든 채굴자들과 비례하여 평등하게 나눠진다. [[SHA-256]]대신 Scrypt-N 해시함수에서 업그레이드한 리라2알이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시가총액은 2019년 3월 기준 약 250억원으로 147위를 차지하고 있다.
  
 +
=== 모나코인 ===
  
== 활용 ==
+
[[모나코인]]은 라이트코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커뮤니티 코인으로, 2014년 1월 1일 출시된 일본 최초의 암호화폐이다. 와타나베라는 익명의 창시자가 개발했으며 모나코인을 통해 주로 해시를 찾아 게임의 독점 화폐로 사용했었다. 중앙 집권형이 아닌 PC에서 실행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해 유지되는 분산형 결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유저들은 모나코인의 모나피라는 사이트를 통해 물건을 거래할 수 있으며 일본 내에서는 모나코인을 상금으로 한 대회가 많이 열리기도 하였다. 그러나 북미에 있는 [[라이브코인]]이라는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모나코인이 탈취된 해킹 사건이 발생했던 적이 있다. 작업증명 방식을 기반으로 리라2알이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고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모나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827억원으로 88위를 기록하고 있다.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알고리즘|토막글}}
+
* 비트코인위키 - https://en.bitcoinwiki.org/wiki/Lyra2RE
 +
 
 +
{{알고리즘|검토 필요}}

2019년 7월 17일 (수) 14:43 판

리라2알이(Lyra2RE)는 버트코인팀이 Scrypt-N 알고리즘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암호화폐를 위한 해싱 알고리즘이다. 목표는 VTC 토큰 채굴의 전기 소비량을 줄이고, 에이식 채굴보다 코인이 앞서도록 하는 것이었다. 리라2알이가 적용된 화폐로는 버트코인, 모나코인 등이 있다.

개요

리라2알이는 향후 에이식 위협을 차단하는데 유용한 사용자 정의 가능한 매개변수를 갖춘 니스트5 기반 체인 알고리즘이다. 작업증명 알고리즘으로, 이름의 RE는 Reduced Efficiency의 약자이다. 실제로, 리라2알이는 Scrypt-N과 비교했을 때 최대 30% 적은 전력을 소비하고 X11 알고리즘보다 17% 적으며 부팅할 때 GPU 온도가 낮다. 이는 버트코인을 채굴하기 위한 엄청난 동기부여가 되었고, 버트코인을 더 효율적으로 만들자는 커뮤니티의 요구에 직접적으로 응하였다. 리라2알이를 사용하면 버트코인 개발자들이 메모리 사용량과 시간 비용을 독립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해준다.

특징

  • 리라2알이는 키캑, 스케인, 그로스톨, 블레이크리라2의 다섯가지 해시 함수로 구성된 체인화 알고리즘이다. Scrypt-N과 리라2알이의 가장 큰 차이점은 리라2알이가 현재 "N 스케줄"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N 스케줄"을 구현하는것이 필요할 경우, 리라2는 유연성을 제공하게 된다.
  • 리라2알이 알고리즘은 연쇄 특성으로 인해 GPU 채굴자들이 근본적으로 최적화하기가 힘들어서 전력 소모 및 발열을 줄일 수 있다.
  • 알고리즘을 모두 변경하지 않고 알고리즘 매개 변수를 변경하는 기능 덕분에 미래의 채굴자들의 혼란을 줄이는 동시에 에이식에 대한 내성을 목표로 한다. 또한 에이식 위협이 발생할 때마다 새로운 알고리즘을 지속적으로 구현하는 것에 대해 걱정할 필요없이 새로운 기능에 집중할 수 있는 개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활용

버트코인

2014년에 출시된 버트코인은 탈중앙화된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만든 암호화폐이다. 비트코인이나 라이트코인과 마찬가지로 작업증명(PoW)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버트코인은 다양한 암호화폐들이 사용하고 있는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는 LIT 기술을 적용하였다. 미국 MIT 학부생 연구원인 제임스 러브조이가 개발했다.

버트코인 플랫폼은 에이식에 내성을 가지고 있어, 에이식 하드웨어로 인해 비트코인에서 발생하는 채굴의 중앙집중화 현상이 나타날 수 없다. 즉, 버트코인은 중앙은행과 채굴 하드웨어 제조사들의 통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만들어진 코인이다. 개개인이 고유한 은행을 소유하는 것을 목표로 중앙은행 및 금융금리, 수수료 등에서 벗어나 개인 간의 거래 활성화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버트코인 채굴자들에게 쉬운 채굴과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므로 개인 간 이체, 교환 시 이체 수수료는 모든 채굴자들과 비례하여 평등하게 나눠진다. SHA-256대신 Scrypt-N 해시함수에서 업그레이드한 리라2알이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시가총액은 2019년 3월 기준 약 250억원으로 147위를 차지하고 있다.

모나코인

모나코인은 라이트코인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커뮤니티 코인으로, 2014년 1월 1일 출시된 일본 최초의 암호화폐이다. 와타나베라는 익명의 창시자가 개발했으며 모나코인을 통해 주로 해시를 찾아 게임의 독점 화폐로 사용했었다. 중앙 집권형이 아닌 PC에서 실행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해 유지되는 분산형 결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유저들은 모나코인의 모나피라는 사이트를 통해 물건을 거래할 수 있으며 일본 내에서는 모나코인을 상금으로 한 대회가 많이 열리기도 하였다. 그러나 북미에 있는 라이브코인이라는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모나코인이 탈취된 해킹 사건이 발생했던 적이 있다. 작업증명 방식을 기반으로 리라2알이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고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모나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827억원으로 88위를 기록하고 있다.

참고자료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리라2알이 문서는 알고리즘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