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견.png

"협조게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2번째 줄: 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협조게임은 참가자들이 각자의 전략 선택을 조정하기 위해 믿을 수 있거나 구속성이 있는 공약을 할 수 있는 게임이다. 이 게임은 비일정합 게임에서 큰 파이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사실상 모든 시장 교환의 행위는 협조 게임이 예로 볼 수 있다.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계약에서 조정된 전략은 판매자가 공급된 재화의 비용을 부담하고, 수요자는 판매자에게 비용을 보전하고 매매 양방이 거래의 결과로 좋아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측면지불을 하며 이 게임을 사용한다.<ref>쿨데레,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fhsr&logNo=220726189197&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게임이론'05. McCain의 게임이론 5부. 협조(16~17장)]〉, 《네이버블로그》, 2016-06-02</ref> A와 B 두 사람이 사업을 한다고 가정하면, 두 사람이 서로 협조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두 사람의 이윤이 달라질 수 있다. 둘 중 한 사람이 협조할 때 협조를 선택한 사람은 이윤은 2, 비협조를 선택한 사람의 이유은 14가 되고, 둘 다 협조적일 때는 각각 10의 이윤을, 둘다 비협조적일 때는 각각 4의 이윤을 얻는 상황이다. 두 사람이 자기 이익만 추구해 비협조를 선택한다면 두 사람의 총 이익은 8에 불과하다. 반면 두 사람 중 한 명만이 협조적으로 나온다면 16, 두 사람 모두 협조적이라면 20으로 총이익이 늘어난다. 개개인이 자기 이익만을 추구하는 비협조 균형상태보다 서로 상대방을 배려하는 협조 균형 상태가 사회 전체적으로는 이익이 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ref>한은,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08021593751 '한은과 함께하는 알기쉬운 경제' 협조게임이란]〉, 《한국경제》, 2008-02-17</ref> 1950년대, 1960년대에는 [[일반균형이론]]과 함께 협조게임이 전성기를 누렸으나 1970년대 후반 이후에는 [[비협조게임]]이 주류로 정착되었다.<ref>이재학, 〈[http://databaser.net/moniwiki/wiki.php/1%EC%9E%A5%EC%84%9C%EB%A1%A0 게임이론]〉, 《데이타베이서.넷》, 2018-04-13</ref>
+
협조게임은 참가자들이 각자의 전략 선택을 조정하기 위해 믿을 수 있거나 구속성이 있는 공약을 할 수 있는 게임이다. 이 게임은 비일정합 게임에서 큰 파이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사실상 모든 시장 교환의 행위는 협조 게임이 예로 볼 수 있다.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계약에서 조정된 전략은 판매자가 공급된 재화의 비용을 부담하고, 수요자는 판매자에게 비용을 보전하고 매매 양방이 거래의 결과로 좋아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측면지불을 하며 이 게임을 사용한다.<ref>쿨데레,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hfhsr&logNo=220726189197&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게임이론'05. McCain의 게임이론 5부. 협조(16~17장)]〉, 《네이버블로그》, 2016-06-02</ref> A와 B 두 사람이 사업을 한다고 가정하면, 두 사람이 서로 협조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두 사람의 이윤이 달라질 수 있다. 둘 중 한 사람이 협조할 때 협조를 선택한 사람은 이윤은 2, 비협조를 선택한 사람의 이유은 14가 되고, 둘 다 협조적일 때는 각각 10의 이윤을, 둘다 비협조적일 때는 각각 4의 이윤을 얻는 상황이다. 두 사람이 자기 이익만 추구해 비협조를 선택한다면 두 사람의 총 이익은 8에 불과하다. 반면 두 사람 중 한 명만이 협조적으로 나온다면 16, 두 사람 모두 협조적이라면 20으로 총이익이 늘어난다. 개개인이 자기 이익만을 추구하는 비협조 균형상태보다 서로 상대방을 배려하는 협조 균형 상태가 사회 전체적으로는 이익이 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ref>한은,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08021593751 '한은과 함께하는 알기쉬운 경제' 협조게임이란]〉, 《한국경제》, 2008-02-17</ref> 1950년대, 1960년대에는 [[일반균형이론]]과 함께 협조게임이 전성기를 누렸으나 1970년대 후반 이후에는 [[비협조게임]]이 주류로 정착되었다.<ref>이재학, 〈[http://databaser.net/moniwiki/wiki.php/1%EC%9E%A5%EC%84%9C%EB%A1%A0 게임이론]〉, 《데이타베이서.넷》, 2018-04-13</ref>
  
 
:{|class=wikitable width=600
 
:{|class=wikitable width=600

2019년 7월 30일 (화) 13:50 판

협조게임(cooperative game)이란 경기자들이 공동으로 추구할 전략과 관련해 피차의 행동을 규제할 (공식적)계약에 대해 협상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들어, 반도체 신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의 투자계획이 있다.[1]

개요

협조게임은 참가자들이 각자의 전략 선택을 조정하기 위해 믿을 수 있거나 구속성이 있는 공약을 할 수 있는 게임이다. 이 게임은 비일정합 게임에서 큰 파이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사실상 모든 시장 교환의 행위는 협조 게임이 예로 볼 수 있다.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계약에서 조정된 전략은 판매자가 공급된 재화의 비용을 부담하고, 수요자는 판매자에게 비용을 보전하고 매매 양방이 거래의 결과로 좋아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측면지불을 하며 이 게임을 사용한다.[2] A와 B 두 사람이 사업을 한다고 가정하면, 두 사람이 서로 협조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두 사람의 이윤이 달라질 수 있다. 둘 중 한 사람이 협조할 때 협조를 선택한 사람은 이윤은 2, 비협조를 선택한 사람의 이유은 14가 되고, 둘 다 협조적일 때는 각각 10의 이윤을, 둘다 비협조적일 때는 각각 4의 이윤을 얻는 상황이다. 두 사람이 자기 이익만 추구해 비협조를 선택한다면 두 사람의 총 이익은 8에 불과하다. 반면 두 사람 중 한 명만이 협조적으로 나온다면 16, 두 사람 모두 협조적이라면 20으로 총이익이 늘어난다. 개개인이 자기 이익만을 추구하는 비협조 균형상태보다 서로 상대방을 배려하는 협조 균형 상태가 사회 전체적으로는 이익이 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3] 1950년대, 1960년대에는 일반균형이론과 함께 협조게임이 전성기를 누렸으나 1970년대 후반 이후에는 비협조게임이 주류로 정착되었다.[4]

B
A 협조 비협조
협조 ( 10, 10 ) ( 2, 14 )
비협조 ( 14, 2 ) ( 4, 4 )

비교

비협조게임

비협조게임(Non Cooperative Game)이란 서로 담합하지 않고 상대방의 행위에 대해 추측된 변화에 입각한 의사결정을 하는 게임이다. 예를들어 가격, 산출량, 광고 경쟁 등이 있다.[1]

각주

  1. 1.0 1.1 ecomania, 〈[file:///C:/Users/c671/Downloads/154.pdf]〉, 《다음블로그》
  2. 쿨데레, 〈'게임이론'05. McCain의 게임이론 5부. 협조(16~17장)〉, 《네이버블로그》, 2016-06-02
  3. 한은, 〈'한은과 함께하는 알기쉬운 경제' 협조게임이란〉, 《한국경제》, 2008-02-17
  4. 이재학, 〈게임이론〉, 《데이타베이서.넷》, 2018-04-13

참고자료

같이 보기


  의견.png 이 협조게임 문서는 알고리즘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이 문서의 내용을 채워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