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EB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역사)
57번째 줄: 57번째 줄:
 
==역사==
 
==역사==
  
 +
*KBS 3TV
 +
EBS는 과거에 KBS의 지상파 채널에 속했기 때문에 공식명칭으로 KBS 제3텔레비전이라 불렸다. 1981년투버 1990년까지 한국방송공사 소속으로 있었으며, 1981년 2월 2일부로 KBS 1TV와 KBS2TV에 이어서 3번째KBS 소속채널로 출범 및 방송을 시작하였다.
 +
원래는 교육 및 학습위주로 방영하게 된 채널이었으며 KBS의 소속채널이긴 하지만 KBS 1TV, KBS 2TV와는 달리 교육 및 학습위주의 프로그램을 방영하였기 때문에 독립적인 성향이 짙었으며 기존의 1TV와 2TV와는 달리 상업광고를 보내지 않았다. 1990년 12월 27일부터 한국교육개발원으로 지주사가 넘겨지게 되면서 교육텔레비전으로 분리독립해 독립법인 방송사로 출범하여 EBS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2000년부터 기존의 EBS를 재편해 한국교육방송공사가 출범하게 되었다.<ref name="KBS 3TV">〈[https://xe.rigvedawiki.net/w/KBS%203TV KBS 3TV]〉, 《위키코어》, 2014-07-02</ref>
  
 +
*EBS 교육방송
 +
1990년 12월 27일, KBS에서 분리독립한 후 KEDI 교육방송본부가 교육방송원으로 개편되면서 EBS TV, EBS FM이라는 이름으로 재개국했다. 이 때부터는 KBS와는 연관없이 한국교육개발원의 지원하에 송출했으며, 독립법인 방송사로서 본격적인 교육학습 채널임을 자임했다. 이후 1997년에는 한국교육방송원으로 법인명이 바뀌었다.
  
 +
*한국교육방송공사 체제
 +
2000년 6월에 한국교육방송원이 독립법인 한국교육방송공사로 출범하게 되면서 KBS, MBC, SBS와 함께 한국의 4대 지상파 방송으로 통하게 되었다. 2000년 12월에는 수능특강 인터넷 동영상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2004년에는 본격적으로 수능강의 서비스를 시작햇으며 2008년부터는 IPTV를 통한 실시간 송출이 실현되었다. 채널번호는 아날로그TV는 13번에서 송출하고 있고 디지털TV는 10-1번을 유지하고 있따. 2012년부터 어학 라디오은 i-Radio가 홈페이지를 통해 매일 20시간씩, 오전 5시와 새벽 1시 사이에 서비스 되고 있다.
  
 +
2017년 7월부터 한류월드 신사옥으로 이전했으며 9월 중 공식 입주가 완료되었다.
  
 
{{각주}}
 
{{각주}}

2019년 8월 13일 (화) 13:55 판

EBS는 한국교육방송공사(Korea 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로 방송을 통해 학교 교육을 보완하고, 국민의 평생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는 대한민국의 공영방송이다.

개요

EBS는 대한민국의 교육 전문 공영방송이자 출판사이다. 1990년 12월 KBS로부터 분리되어 한국교육개발원 부설 교육방송 EBS로 개국했다. 학교육전문 방송국으로 지상파 방송, 인터넷 방송 등을 통한 다양한 교육 서비스를 시청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조직은 3본부 (제작, 기술, 콘텐츠전략) 5센터 (정책기획, 편성, 경영지원, 교육제작, 영상아트) 1실(감사) 43팀으로 이루어져 있다. 1990년 이전에는 독립적인 교육 채널인 KBS 3TV와 KBS 교육라디오가 신설되면서 교육방송을 시작했다. 현재는 지상파TV와 라디오 채널, 위성 TV 채널, 영어교육채널등 다양한 채널을 갖추고 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에 있었고, 인근 서초구 우면동에 방송 센터를 두고 있었으나, 2014년 8월 5일 경기도 고양시 한류월드 부지에 디지털 신사옥을 착공, 본사와 방송센터를 통합하여 2017년 9월에 이전을 완료했다.

CI

2004년 3월부터 사용한 EBS CI는 사람을 먼저 생각하는 EBS, 그리고 EBS가 꿈꾸는 진정한 에듀토피아를 의미한다. 원은 원의 중심에서 무한한 가능성이 커져가는 것을 의미하고 시그니처의 주 색상인 블루 컬러는 EBS의 건강한 미래와 비전을, 그린 컬러는 EBS의 지속적인 성장을 그리고 오렌지 컬러는 활기찬 EBS의 분위기와 따뜻함으로 전 국민의 참여를 유도한다.[1]

대표이사

현 EBS 사장은 김명중 사장이다. 1957년생으로 제 10대 한국교육방송공사 사장으로 2019년 3월에 임명되었으며, 김명중 EBS 사장의 임기는 오는 2022년 3월 7일까지로 3년이다. 김명준 사장은 현재 호남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2]

학력
  • 뮌스터대학교 대학원 언론학 박사
  • 중앙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 석사
  •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 학사
경력사항
  • 2019년 : EBS 사장임명
  • 2017년 :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미래방전위원회 제1분과 위원장
  • 2015년 : 광주비엔날레 자문위원회 자문위원, 한국정치정보학회 부회장, 한국방송학회 집행이사, KBS 뉴미디어위원회 객원연구위원
  • 2008년 : 한국방송광고공사 감사
  • 2004년 : 국제방송교류재단 부사장
  • 1997년 : 한국언론학회 집행이사, 호남대학교 방송국 주간
  • 1994년 : 호남대학교 사회과학대 신문방송학과 조교수
  • 1990년 : 광주대학교 사회과학대 출판광고학과 조교수, 독일뮌스터대학교 언론학과 연구교수, 독일 카쎌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연혁

2017년 ~ 2004년
  • 2017.09 : 디지털 통합사옥 경기도 일산 이전
  • 2015.02 : 지상파 다채널 'EBS 2TV" 시범서비스 실시
  • 2014.08 : 디지털 통합사옥 착공
  • 2013.03 : 수학교육 사이트 'EBS MATH' 서비스 개시
  • 2012.07 : 지상파 N-스크린 'pooq'서비스 실시
  • 2012.05 : EBS 출자회사 '(주)EBS미디어' 설립
  • 2011.07 : 다문화 가정을 위한 '두리안' 서비스 개시
  • 2010.07 : 장애인용 화면해설, 자막, 수화 인터넷 서비스 개시
  • 2007.04 : 영어교육 전문방송 'EBS English'개국 및 인터넷 서비스 개시
  • 2006.07 : 외국어 전문 인터넷 서비스 'EBS lang' 개시
  • 2004.04 : 수능전문 인터넷 서비스 'EBSi' 개시
2003년 ~ 1951년
  • 2002.03 : 수능전문 채널 'EBS 플러스1', 초중학전문 채널 'EBS 플러스2' 개시
  • 2000.06 : 한국교육방송공사 설립
  • 2000.03 : 한국교육방송공사법 제정, 공포
  • 1997.08 : 위성TV 교육방송 개시
  • 1997.01 : 한국교육방송원 설립
  • 1990.12 : 한국교육개발원 부설 'EBS 교육방송' 개국 (EBS TV, FM)
  • 1981.02 : KBS 3TV(UHD)와 교육라디오(FM) 신설
  • 1980.09 : 'TV 고교 교육방송' 제작으로 TV방송 개시
  • 1975.12 : 한국 최초 컬러TV UHF 2개 채널 시험 전파 발사
  • 1974.03 : 방송통신고등학교 프로그램 (라디오) 제작방송, '라디오 학교' 인수
  • 1969.05 : TV학교방송 개시
  • 1951.06 : '라디오 학교'방송 개시 (문교부, KBS)

역사

  • KBS 3TV

EBS는 과거에 KBS의 지상파 채널에 속했기 때문에 공식명칭으로 KBS 제3텔레비전이라 불렸다. 1981년투버 1990년까지 한국방송공사 소속으로 있었으며, 1981년 2월 2일부로 KBS 1TV와 KBS2TV에 이어서 3번째KBS 소속채널로 출범 및 방송을 시작하였다. 원래는 교육 및 학습위주로 방영하게 된 채널이었으며 KBS의 소속채널이긴 하지만 KBS 1TV, KBS 2TV와는 달리 교육 및 학습위주의 프로그램을 방영하였기 때문에 독립적인 성향이 짙었으며 기존의 1TV와 2TV와는 달리 상업광고를 보내지 않았다. 1990년 12월 27일부터 한국교육개발원으로 지주사가 넘겨지게 되면서 교육텔레비전으로 분리독립해 독립법인 방송사로 출범하여 EBS로 명칭을 변경하였으며 2000년부터 기존의 EBS를 재편해 한국교육방송공사가 출범하게 되었다.[3]

  • EBS 교육방송

1990년 12월 27일, KBS에서 분리독립한 후 KEDI 교육방송본부가 교육방송원으로 개편되면서 EBS TV, EBS FM이라는 이름으로 재개국했다. 이 때부터는 KBS와는 연관없이 한국교육개발원의 지원하에 송출했으며, 독립법인 방송사로서 본격적인 교육학습 채널임을 자임했다. 이후 1997년에는 한국교육방송원으로 법인명이 바뀌었다.

  • 한국교육방송공사 체제

2000년 6월에 한국교육방송원이 독립법인 한국교육방송공사로 출범하게 되면서 KBS, MBC, SBS와 함께 한국의 4대 지상파 방송으로 통하게 되었다. 2000년 12월에는 수능특강 인터넷 동영상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2004년에는 본격적으로 수능강의 서비스를 시작햇으며 2008년부터는 IPTV를 통한 실시간 송출이 실현되었다. 채널번호는 아날로그TV는 13번에서 송출하고 있고 디지털TV는 10-1번을 유지하고 있따. 2012년부터 어학 라디오은 i-Radio가 홈페이지를 통해 매일 20시간씩, 오전 5시와 새벽 1시 사이에 서비스 되고 있다.

2017년 7월부터 한류월드 신사옥으로 이전했으며 9월 중 공식 입주가 완료되었다.

각주

  1. 나발올림픽, 〈각 방송사 CI 의미[KBS, MBC, SBS, EBS]〉, 《네이버 블로그》, 2018-08-08
  2. 강성원 기자, 〈EBS 신임 사장에 김명중 호남대 교수〉, 《미디어오늘》, 2019-03-08
  3. KBS 3TV〉, 《위키코어》, 2014-07-02

참고자료

  • 한국교육방송공사〉, 《위키백과》
  • 한국교육방송공사〉, 《나무위키》
  • 한국교육방송공사〉, 《네이버 지식백과》
  • EBS〉, 《EBS 공식 홈페이지》
  • 〈[주소 이름]〉, 《사이트이름》
  • 〈[주소 이름]〉, 《사이트이름》
  • 〈[주소 이름]〉, 《사이트이름》
  • 〈[주소 이름]〉, 《사이트이름》
  • 〈[주소 이름]〉, 《사이트이름》
  • 〈[주소 이름]〉, 《사이트이름》

같이보기

  검수요청.png검수요청.png 이 EBS 문서는 블록체인 미디어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