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컴퓨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가상머신(Virtual Machine)'''이란 하드웨어를 모방한 소프트웨어에 설치된 운영체제(OS) 애플리케이션 환경으로, 최종 사용자는...)
 
(문서를 비움)
1번째 줄: 1번째 줄:
'''가상머신(Virtual Machine)'''이란 [[하드웨어]]를 모방한 [[소프트웨어]]에 설치된 [[운영체제]](OS) [[애플리케이션]] 환경으로, 최종 사용자는 가상 사용자는 가상 시스템에서 전용 하드웨어와 동일한 환경을 제공한다.
 
  
 
==가상머신 종류==
 
'''가상머신(Virtual Machine)'''은 실제 컴퓨터의 어느 정도의 통신과 사용을 기반으로 '''시스템 가상머신''', '''프로세스 가상머신'''으로 나뉜다.
 
===시스템 가상머신===
 
시스템 가상머신은 각 운영 체제를 실행하는 가상 머신 사이의 기초가 되는 물리 컴퓨터를 다중화 한다. 가상화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계층은 가상 머신 모니터 또는 하이퍼바이저라고 한다. 하이퍼바이저는 하드웨어 또는 호스트 운영 체제 위에서 실행할 수 있고 여러 가지 OS를 제공하기 위해서 멀티부팅의 어려움을 겪지 않아도 되고 각각은 서로 독립되어 있어서 서로 끼리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시스템 가상 머신은 완전한 운영 체제(OS) 실행을 지원한다.
 
 
 
===프로세스 가상머신===
 
운영 체제 안에서 일반 [[응용 프로그램]]을 돌리고 단일 프로세스를 지원한다. [[프로세스]]가 시작하고, 끝내기되어 파괴될 때 만들어진다. 목적은 플랫폼 - 아무 플랫폼에서나 같은 방식으로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허용하고 기초가 되는 하드웨어나 운영 체제의 상세한 부분을 가져오는 독립 프로그래밍 환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프로세스 가상머신은  하나의 단일 프로세스를 지원한다.
 
 
 
== ==
 
가상머신의 중요한 특징은 안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가 가상머신이 정해놓은 환경과 자원에 대한 제약을 받아서 결국 가상 세계를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다.
 
 
 
==장점==
 
*가상화 시스템은 물리적 하드웨어 시스템에 대한 요구를 줄여서 비용을 제한한다.
 
 
*가상화 시스템은 하드웨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므로 하드웨어 및 관련 유지보소 비용이 절감되고 전력 및 냉각 수요가 줄어든다.
 
 
*가상화 하드웨어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관리자는 가상 환경을 활용하여 백업, 재해 복구, 새로운 구축 및 기본 시스템 관리 작업을 간소화가 가능하다.
 
 
==단점==
 
*하나의 하드웨어의 중단으로 인해서 자원이 과도하게 사용되거나 여러 VM에서 운영이 중단되는 통합에 따른 몇 가지의 위험이 있다. 
 
 
==같이 보기==
 
*[[가상 도스 머신]]
 
*[[XPM]]
 
[[분류:가상 머신]]
 

2018년 7월 18일 (수) 11:33 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