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도상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개발도상국'''(開發途上國, 영어: developing country) 또는 약칭 '''개도국'''은 선진국에 비해 산업의 근대화와 경제개발이 크게 뒤쳐지고 있...)
(차이 없음)

2022년 8월 26일 (금) 12:21 판

개발도상국(開發途上國, 영어: developing country) 또는 약칭 개도국은 선진국에 비해 산업의 근대화와 경제개발이 크게 뒤쳐지고 있어 현재 경제성장을 목표로 하는 나라를 일컫는다. 보통 후진국과 같은 뜻으로 통용되며, 발전도상국이라고도 한다. 지구 상의 대부분 국가는 개발도상국에 해당되며, 개발도상국 간에도 경제 및 산업의 발전 격차가 심하기 때문에, 상위권의 개발도상국들을 중진국(신흥 공업국)이라는 명칭으로 통칭하기도 한다.

세계은행은 1인당 국민총소득을 기준으로 세계경제를 고, 중, 중, 저, 저소득의 4개 그룹으로 분류하고 있다.최빈개도국, 육지로 둘러싸인 개발도상국, 작은 섬 개발도상국은 모두 개발도상국의 하위 그룹이다.스펙트럼의 반대편에 있는 국가는 일반적으로 고소득 국가 또는 선진국으로 불린다.

정의

소득 계층에 따른 용어

세계은행은 세계 경제를 1인당 국민총소득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분류하고 매년 7월 1일에 다시 설정한다.

  • 저소득 국가(최저개발국과 유사)
  • 중하위 소득국
  • 중상위 소득국
  • 고소득국(선진국과 유사)

'고소득'이 아닌 세 집단을 '저소득과 중산층 국가'(LMIC)라고 한다. 예를 들어 2022 회계연도의 경우 저소득 국가는 1인당 GNI가 1045달러 미만인 국가로 정의되며, 중산층 국가는 1인당 GNI가 1,046달러에서 4,095달러 사이이며, 중산층 상위 국가는 1인당 GNI가 4,096달러에서 1296달러 사이이다. 고소득 국가는 현재 US$[20]로 1인당 GNI가 12,696을 초과하는 국가이다

지역에 따른 용어

  • 소규모 섬 개발국
  • 육지로 둘러싸인 개발도상국(육지로 둘러싸인 국가들은 종종 경제적 및 기타 불이익을 겪는다)

특징

개발도상국은 역사나 지리적 이유로 공통되는 특징이 있다.

  • 안전하지 않은 식수
  • 낮은 위생조건
  • 에너지 빈곤
  • 높은 수준의 오염(예: 대기 오염, 실내 공기 오염, 수질 오염),
  • 높은 비율의 열대 및 전염성 질병(negec)을 가지고 있다.테드 열대성 질병)
  • 도로 교통 사고 발생 건수 증가
  • 일반적으로 품질이 낮은 인프라
  • 종종 빈곤
  • 높은 범죄율
  • 낮은 교육 수준
  • 정부 차원의 부패
  • 정치적 불안정
  • 의료 서비스에 대한 낮은 접근성
개발도상국 사람들은 보통 낮은 소득 수준과 더 나쁜 공중보건으로 선진국 사람들보다 평균 수명이 더 짧습니다.감염성 질환, 산모 사망률, 아동 사망률 및 유아 사망률은 일반적으로 이들 국가에서 상당히 높다. 기후변화의 영향은 고소득국보다 개발도상국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많은 개발도상국들은 20세기 후반 이후에야 완전한 자기 결정과 민주주의를 이루었습니다.많은 사람들이 탈식민지화되기 전까지 유럽의 제국주의 세력에 의해 통치되었다.개발도상국의 정치 체제는 다양하지만, 대부분의 국가는 21세기 초까지 다양한 성공과 정치적 [49]자유를 가진 어떤 형태의 민주 정부를 수립했다.개발도상국 주민들은 북부 주민들보다 더 늦게 그리고 더 갑작스럽게 민주주의 시스템에 도입되었고, 때로는 참여를 장려하기 위한 정부와 비정부적인 노력에 의해 표적이 되었다.'유효한 시민권'은 사회학자 패트릭 헬러에 의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시민과 정치 분야에서 공식적인 법적 권리와 그러한 권리를 의미 있게 실천할 수 있는 실제 능력 사이의 격차를 좁힌다."[50]

시민권을 넘어 개발도상국에서의 국경을 초월한 이동 정치 연구는 선진국에 [51]대한 전통적인 초점을 바로잡는 것으로 보여지는 이민 논쟁에서도 귀중한 빛을 발하고 있다.일부 정치학자는 [52]개발도상국에 걸친 '국유화, 개발 및 신자유주의 이주 관리 체제의 전형'을 식별한다.

20세기 독립과 탈식민지화 이후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은 새로운 인프라, 산업 및 경제 부양책이 절실히 필요했다.많은 사람들이 외국 투자에 의존했다.이 자금조달은 인프라와 산업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췄지만 체계적인 [citation needed]착취 시스템으로 이어졌다.그들은 고무와 같은 원자재를 헐값으로 수출했다.서양에 본사를 둔 회사들은 종종 개발도상국의 값싼 노동력을 [53]생산에 사용해 왔다.서방은 이 제도로부터 상당한 이익을 얻었지만, 개발도상국을 미개척국으로 만들었다.

이 협정은 때때로 신식민지주의라고 불리는데, 이것은 후진국이 선진국에 의해 이용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그것은 이전의 식민지가 여전히 이전의 식민지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식민지와 같은 착취를 의미한다.개발도상국들은 종종 [54]그들 스스로 발전하기 보다는 부유한 나라들을 더 발전시키는 것을 돕고 있다.이 제도의 [55]종식을 목표로 몇 개의 기관이 설립되었습니다.이러한 기관들 중 하나가 신국제경제질서이다.그들은 개발도상국이 남아 있거나 자급자족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조건 없는' 정책을 가지고 있다.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그들은 천연자원과 산업화에 대한 주권을 주장한다.

NIEO와 같은 개발도상국 연합은 세계 무대에서 동등성을 위해 자주 로비한다.중국의 부상은 브릭스 [53]국가들의 부상을 암시할지도 모른다.

국가

개발도상국

다음 국가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세계경제전망 데이터베이스(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2018년 10월)에 따라 개발도상국으로 간주된다.

  • 아프가니스탄
  • 알바니아
  • 알제리
  • 앙골라
  • 앤티가 바부다
  • 아르헨티나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바하마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바베이도스
  • 벨라루스
  • 벨리즈
  • 베냉
  • 부탄
  • 볼리비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보츠와나
  • 브라질
  • 브루나이
  • 불가리아
  • 부르키나파소
  • 부룬디
  • 캄보디아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차드
  • 중국
  • 칠리
  • 콜롬비아
  • 코모로
  • 콩고 민주 공화국
  • 콩고 공화국
  • 코스타리카
  • 코트디부아르
  • 크로아티아
  • 지부티
  • 도미니카
  • 도미니카 공화국
  • 에콰도르
  • 이집트
  • 엘살바도르
  • 적도 기니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스와질란드)
  • 에티오피아
  • 피지
  • 가봉
  • 감비아
  • 조지아 주
  • 가나
  • 그레나다
  • 과테말라
  • 기니
  • 기니비사우
  • 가이아나
  • 아이티
  • 온두라스
  • 헝가리
  • 인도
  • 인도네시아
  • 이란
  • 이라크
  • 자메이카
  • 조던
  • 카자흐스탄
  • 케냐
  • 키리바시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라오스
  • 레바논
  • 레소토
  • 라이베리아
  • 리비아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말리
  • 마셜 제도
  • 모리타니
  • 모리셔스
  • 멕시코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몰도바
  • 몽골
  • 몬테네그로
  • 모로코
  • 모잠비크
  • 미얀마
  • 나미비아
  • 나우루
  • 네팔
  • 니카라과
  • 니제르
  • 나이지리아
  • 북마케도니아
  • 오만
  • 파키스탄
  • 팔라우
  • 팔레스타인
  • 파나마
  • 파푸아뉴기니
  • 파라과이
  • 페루
  • 폴란드
  • 필리핀
  • 카타르
  • 루마니아
  • 러시아
  • 르완다
  • 사우디아라비아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사모아
  • 상투메프린시페
  • 세네갈
  • 세르비아
  • 세이셸
  • 시에라리온
  • 솔로몬 제도
  • 소말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남수단
  • 스리랑카
  • 수단
  • 수리남
  • 시리아
  • 타지키스탄
  • 탄자니아
  • 태국.
  • 동티모르
  • 포장이요
  • 통가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튀니지
  • 터키
  • 투르크메니스탄
  • 투발루
  • 우간다
  • 우크라이나
  • 아랍에미리트
  • 우루과이
  • 우즈베키스탄
  • 바누아투
  • 베네수엘라
  • 베트남
  • 예멘
  • 잠비아
  • 짐바브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