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본수익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해시넷
이동: 둘러보기, 검색
6번째 줄: 6번째 줄:
 
투자자본수익률(Return On Investment)은 수익성을 보고 앞으로 투자가 계속 이루어져야할지 아닐지에 대한 판단을 하기 위한 개념이다. 예를 들어, A라는 회사의 투자비용은 10억원이고 B라는 회사는 15억원일 때 A회사와 B회사 둘 다 1억원의 수익을 냈다고 가정하면 A회사가 훨씬 더 좋은 투자를 한 것이다. 이처럼 수익성에 대한 지표를 보고 얼마나 효율적으로 투자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알 수 있다.
 
투자자본수익률(Return On Investment)은 수익성을 보고 앞으로 투자가 계속 이루어져야할지 아닐지에 대한 판단을 하기 위한 개념이다. 예를 들어, A라는 회사의 투자비용은 10억원이고 B라는 회사는 15억원일 때 A회사와 B회사 둘 다 1억원의 수익을 냈다고 가정하면 A회사가 훨씬 더 좋은 투자를 한 것이다. 이처럼 수익성에 대한 지표를 보고 얼마나 효율적으로 투자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알 수 있다.
  
== 투자자본수익률의 특징 ==
+
== 원리 ==
 +
=== 투자자본수익률 공식===
 +
* '''투자자본수익률(ROI) = (순이익/총자산) X 100'''
  
 +
=== ROI 계산 방법 ===
 +
# 투자자가 100 달러의 주식을 구입하고 1년 후 주식을 120 달러에 판매한다 : ROI = (20/100) X 100 = 20%
 +
# 점포 투자비가 2억원이고 점포 영업이익이 연 6천만원이 생겼다 : ROI = (6천만원/2억원) X 100 = 30%
  
== 원리 ==
+
== 투자자본수익률의 사례 ==
=== 투자자본수익률 공식===
 
* ROI = (순이익/총자산) X 100
 
  
 
{{각주}}
 
{{각주}}
  
 
== 참고자료 ==
 
== 참고자료 ==

2019년 6월 25일 (화) 17:21 판

투자자본수익률(Return On Investment)이란 투자자들의 투자로 인해 얻어진 이익을 말하며 투자가 투자비용 대비 좋은 성과를 낸다는 것은 높은 투자자본수익률이라 한다.

개요

국내에서 자산수익률(Return On Assets), 자기자본이익률(Return On Equity), 투자자본수익률(Return On Investment) 등의 수익성과 효율성을 강조하는 경영평가기법에 관심을 많이 갖기 시작하였다.[1]

투자자본수익률(Return On Investment)은 수익성을 보고 앞으로 투자가 계속 이루어져야할지 아닐지에 대한 판단을 하기 위한 개념이다. 예를 들어, A라는 회사의 투자비용은 10억원이고 B라는 회사는 15억원일 때 A회사와 B회사 둘 다 1억원의 수익을 냈다고 가정하면 A회사가 훨씬 더 좋은 투자를 한 것이다. 이처럼 수익성에 대한 지표를 보고 얼마나 효율적으로 투자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알 수 있다.

원리

투자자본수익률 공식

  • 투자자본수익률(ROI) = (순이익/총자산) X 100

ROI 계산 방법

  1. 투자자가 100 달러의 주식을 구입하고 1년 후 주식을 120 달러에 판매한다 : ROI = (20/100) X 100 = 20%
  2. 점포 투자비가 2억원이고 점포 영업이익이 연 6천만원이 생겼다 : ROI = (6천만원/2억원) X 100 = 30%

투자자본수익률의 사례

각주

  1. 경제경영/용어정리, 〈[수익지표ROE,ROI,ROA]〉, 《U's Lifelog》, 2015-11-10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