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싱

해시넷
hangyuwon95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8월 14일 (수) 09:35 판 (새 문서: 언어학에서 parsing은 구문 분석이라고도하며 문장을 그것을 이루고 있는 구성 성분으로 분해하고 그들 사이의 위계 관계를 분석하여 문장...)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언어학에서 parsing은 구문 분석이라고도하며 문장을 그것을 이루고 있는 구성 성분으로 분해하고 그들 사이의 위계 관계를 분석하여 문장의 구조를 결정하는 것, 데이터를 조립해 원하는 데이터를 빼내는 프로그램을 한다.

개요

컴퓨터 과학에서 parsing은 일련의 문자열을 의미있는 token(어휘 분석의 단위) 으로 분해하고 그것들로 이루어진 Parse tree를 만드는 과정 어떤 문장을 분석하거나 문법적 관계를 해석하는 행위

특징

  • 프로그램을 compile하는 과정에서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시하는 문법을 잘 지켜서 작성하였는지 compiler가 검사하는 것

ex) XML parser는 XML 문서가 XML 문법에 맞게 작성되었는지 검사

  • XML 문서를 읽고 해석하여 태그명, 속성명, 속성값 및 엘리먼트 내용을 분리해 주는 프로그램
  • 인터넷에 주어진 정보를 내가 원하는대로 가공하여 서버에서 원하는 때 불러올 수 있도록 하는 것
  • 웹 브라우저인 explorer 또한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으로 XML parser가 parsing(해석)한 결과를 이용해 display 하도록 programming 되었었다
  • 어떤 data를 원하는 form으로 만들어 내는 것
  • 특정 문서(XML, HTML 등)을 읽어 다른 프로그램이나 서브루틴이 사용할 수 있는 내부의 표현 방식으로 변환해 주는 것

ex) 학교 홈페이지의 공지사항(태그 안의 text 내용이 있는 것)을 읽어와서 그 중 텍스트 내용만 따로 저장하는 등의 다른 프로그램이나 서브루틴이 사용할 수 있는 표현방식으로 변경 (의미를 파악하면서 읽는다- 값이 얼마인지 id 태그의 이름이 무엇인지 등을 파악)

  • <>와 같은 태그를 사용자가 입력하면 컴퓨터가 알아볼 수 있도록 바꿔주는 과정
  • 컴파일러의 일부로 원시 프로그램의 명령문이나 온라인 명령문, HTML 문서 등에서 Markup Tag 등을 입력으로 받아들여 구문을 해석할 수 있는 단위로 여러부분으로 분할해주는 역할
  • Parsing 기법으로 XMl 파싱 기법인 DOM과 SAX / JSON 파싱 기법이 있다